암호화폐 투자가로 활동 중인 산티아고 로엘 산토스는 최근 "암호화폐는 실제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지 않음에도 이를 반영한 과도한 가치 평가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메트칼프의 법칙이 암호화폐의 가치를 정당화하기보다는 오히려 거품을 드러낸다고 분석했다.
산토스는 최근 서브스택(Substack) 블로그를 통해 “페이스북은 사용자 1,000만 명이 늘어도 서비스 품질이 나빠지지 않았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늘수록 수수료가 상승하고 속도가 느려져 사용자 경험이 악화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새로운 블록체인이 거래 처리 속도를 개선하더라도 이는 단순한 마찰 감소일 뿐, 가치의 기하급수적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다른 전문가들은 산토스의 분석이 암호화폐 기반 기술에 대한 오해라는 반론을 내놨다. 크립토 시장 조성사 윈터뮤트(Wintermute)의 전략가 재스퍼 드 마에르는 “레이어1(L1) 블록체인을 사용자 관점의 소비자 앱 논리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며 “L1의 진짜 네트워크 효과는 검증자(Validator), 보안, 유동성 계층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트코어(Heartcore)의 투자자 토마스 판타 역시 “레벨이 높은 체인에서는 사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수수료는 의미 없는 수준에서 유지되며, 오히려 유동성이 증가하고 수익률도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키락(Keyrock)의 리서처 벤 하비는 “레이어1 블록체인의 과대 평가에는 동의하지만, 모든 체인이 동일한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다”라며, 프로토콜 확장성과 인공지능 통합 여부에 따라 평가 차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암호화폐의 펀더멘털을 이용한 가치 분석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산토스는 온체인 사용자 기준 가치 산정 예시로, 비트코인을 제외한 암호화폐 시총 약 1조 2,600억 달러(약 1,852조 원)를 4,000만~7,000만 명 사용자 수로 나눴을 때, 사용자 1인당 가치는 약 1,800만 원~4,600만 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반면, 31억 명 월간 사용자를 가진 메타(페이스북)의 경우 시총 1조 6,000억 달러(약 2,352조 원)에서 환산된 1인당 가치는 약 75만 원이다.
산토스는 이러한 수치가 암호화폐 시장의 ‘사용자 당 가치’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돼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소셜미디어 하나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플랫폼을 함께 운영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반면, 암호화폐는 아직 명확한 수익모델이나 고정 수익이 없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직접 비교는 무리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암호화폐 네트워크가 가진 진정한 네트워크 효과가 무엇인지, 그리고 기존의 소비자 인터넷 기업 가치평가 방식이 블록체인 인프라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암호화폐의 가치 평가가 과도한지 여부에 대한 논쟁은 블록체인이 인프라인지 소비형 애플리케이션인지에 대한 시각 차이에서 비롯된다. 핵심 네트워크 효과가 사용자 층이 아니라 프로토콜 기반 구조에서 발생한다는 분석이 주목된다.
💡 전략 포인트
- 네트워크 효과를 구조적 측면에서 재해석해야
- 프로토콜 확장성과 유동성 기반 수익성이 핵심 가치 요인
- 단순 사용자 수보다 실제 거래, 보안, 유동성 지표가 중요
📘 용어정리
-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사용자 수 증가에 따라 가치가 상승하는 현상
- 메트칼프의 법칙(Metcalfe’s Law): 네트워크 가치가 참여 노드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이론
- 레이어1(L1):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블록체인의 기본 인프라 계층
- 검증자(Validator): 트랜잭션을 확인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 역할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