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암호화폐 전략 투자 기업, 사모 투자자 매도세로 주가 반토막 위험"
사모투자(PIPE)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 암호화폐 전략 투자 기업들의 주가가 사모 투자자들의 매도 압력으로 인해 50%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PIPE는 사모 투자자들이 시장가보다 낮은 가격에 신주를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크립토퀀트는 보고서를 통해 "현재 암호화폐에 전략 투자 중인 일부 기업들의 주가가 PIPE 공모가보다 높은 수준에 거래되고 있어 의무 보유기간 종료가 가까워진 사모 투자자들의 물량이 시장에 쏟아져나올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기업 주가는 최대 50%까지 하락할 수 있다. BTC에 전략 투자하는 카인들리MD와 스트라이브, 캔터 에퀴티 파트너스(CEP)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분석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청산 규모: $4.4억, 청산 비율: 롱 89.86%
BTC 청산 규모: $2.8억, 청산 비율: 롱 96.34%
SOL 청산 규모: $8556만, 청산 비율: 롱 92.93%
익명 고래, 7일간 $2.4억 ETH 매집
익명 고래 주소가 지난 7일 동안 윈터뮤트와 코인베이스 장외거래(OTC)를 통해 총 60,333 ETH(2.4억 달러)를 매입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현재 1600만 달러 규모의 미실현 손실을 기록 중이다.
맵프로토콜, 스테이블코인 상품 출시 계획
맵프로토콜(MAPO) 공동 창업자 겸 코어 개발자 제임스가 "연 7% 이상 수익률(APR)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 금융 상품을 X레이어에서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멘텀 유동성 공급 캠페인, 오픈 1시간만 예치액 $3,000만 돌파
수이(SUI) 생태계 최대 ve(3,3) 탈중앙화 거래소(DEX)이자 유동성 허브 모멘텀(Momentum)이 비들패드와 함께 진행 중인 유동성 공급 기반 수익 캠페인 '호들 일드'(HODL Yield)의 유동성 풀에 3,0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이 예치됐다. 풀이 오픈된 지 약 1시간만이다. 앞서 모멘텀은 26일 11시 30분부터 10월 19일 11시까지 해당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사용자는 SUI, BTC, 스테이블코인으로 유동성을 공급해 예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일부 풀의 경우 최대 155%의 연이율(APY)과 2배의 포인트 보상이 제공된다.
다날, ‘양자보안 스테이블코인 정산 네트워크’ 운용 검증
다날이 양자보안 기술 기업 BTQ 테크놀로지와 양자보안 스테이블코인 정산 네트워크 PoC(개념증명)를 시작했다고 디지털투데이가 전했다. 양사는 외부 해킹 원천 차단이 가능한 양자보안을 스테이블코인에 적용하고, 이를 글로벌 표준화하기 위해 검증 단계에 나섰다.
타이거리서치 "플룸, RWA 투자자 과반수 확보"
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사 타이거리서치가 보고서를 통해 "플룸(PLUME)은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춘 디파이 전략으로 토큰화 실물자산(RWA) 투자자의 50% 이상을 확보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보고서는 "플룸은 미국과 아시아 각국 규제당국과의 직접 소통 채널을 구축해 규제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는 동시에 경쟁사의 진입장벽을 세우고 있다. 나아가 '프로그래머블 캐피털' 전략을 통해 비트코인 시장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포필러스 “트리하우스, 디파이 한계점 극복의 열쇠”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최근 ‘트리하우스: 디파이의 다음 장을 바라보다’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트리하우스는 디파이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설적인 접근을 선택했다. 시장의 비효율을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면서, 동시에 그 비효율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의 솔루션은 두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탈중앙화된 지표금리를 만드는 DOR이며, 시장의 괴리를 적극 활용해 시장의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것을 도모하는 티에셋(tAsset)이다. 이에 더해 트리하우스는 초기 구현체로써의 리스크 관리를 고려, tETH에 대해 현재는 레버리지 과정을 단 한 번만 수행하도록 설정했다. 또 모든 wstETH를 대출 플랫폼에 담보로 제공하지 않고, 일부 유동성을 긴급 상황시 상환 용도로 남겨두는 방식으로 tETH의 리스크를 낮췄다. 40년 전 LIBOR가 600조 달러 고정수익 시장을 만들어낸 것처럼, DOR은 디파이의 새로운 시대를 열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커니즘캐피털 설립자 “’톰 리, ETH 가격 끌어올리고 그 틈에 고래들 탈주”
암호화폐 트레이딩 업체 메커니즘캐피털 공동 설립자 앤드류 캉(Andrew Kang)이 “톰 리는 최근 이더리움(ETH)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으며 시장 분위기를 끌어올렸고, 결과적으로 이더리움 재단을 포함한 큰 손들에게 엑시트(매도 또는 현금화) 유동성을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2021~2022년 셀시우스 파산 사태 당시와도 매우 유사하다. 베이비붐 세대 투자자(톰 리 지칭 추정)는 혁신적이지 않은 기술을 밀어준다“고 지적했다. 톰 리는 최근 “연말까지 ETH가 1만~1.2만 달러에 달할 것“,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비트코인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유망하다” 등의 발언을 한 바 있다.
모멘텀, 유동성 공급 기반 수익 캠페인 진행
수이(SUI) 생태계 최대 ve(3,3) 탈중앙화 거래소(DEX)이자 유동성 허브 모멘텀(Momentum)이 액세스 플랫폼 비들패드와 함께 호들 일드(HODL Yield)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이 캠페인은 한국시간 기준 9월 26일 11시 30분부터 10월 19일 11시까지 진행된다. 사용자는 SUI, BTC, 스테이블코인으로 유동성을 공급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일부 풀의 경우 최대 155%의 연이율(APY)과 2배의 보상을 제공할 방침이다.
OKX, ORBS 등 4종 마진 거래 페어 상폐
OK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0월 2일 15~19시(한국시간) ORBS/USDT, GODS/USDT, VINE/USDT, METIS/USDT 마진 거래 페어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KSM·DOT 입출금 일시 중단
바이낸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KSM과 DOT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에 따라 KSM 입출금을 한국시간 기준 10월 7일 16시부터, DOT 입출금을 11월 4일 16시부터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99% / 숏 51.01%
1. 바이낸스: 롱 48.03% / 숏 51.97%
2. 바이비트: 롱 47.34% / 숏 52.66%
3. 게이트아이오: 롱 49.84% / 숏 50.16%
한국 방문한 자오창펑 “최애 음식은 삼계탕과 바베큐 ”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 겸 전 CEO가 한국에 방문해 “한국의 바베큐, 삼계탕, 그리고 암호화폐를 좋아한다”고 X에 포스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