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모비우스, 215만 달러 해킹 피해…레저도 SNS 피싱 공격당해

작성자 이미지
유서연 기자
1
2

디파이 플랫폼 모비우스(MobiusDAO)가 스마트 계약 취약점을 통해 약 215만 달러 상당의 토큰을 탈취당했으며, 해커는 단 0.65달러 상당의 BNB로 공격을 감행했다.MBU 토큰은 해커가 9700조 개 이상을 무단 발행한 뒤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하면서 가치가 전면 붕괴되었고, 토큰 가격은 사실상 ‘제로’가 되었다.

모비우스, 215만 달러 해킹 피해…레저도 SNS 피싱 공격당해 / 셔터스톡

디파이 및 실물자산 토큰화 플랫폼 모비우스(MobiusDAO)가 스마트 계약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에 노출돼 215만 달러 상당의 토큰을 도난당했다. 이와 함께 하드월렛 업체 레저(Ledger)의 소셜 계정도 피싱 공격에 당하며 보안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블록체인 보안업체 사이버스(Cyvers)는 지난 11일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NB 체인)에서 악의적 스마트 계약이 배포되었고, 곧이어 모비우스 토큰(MBU)을 겨냥한 연속적인 공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공격자는 단 0.001개의 래핑된 BNB(약 0.65달러)를 예치한 후 9,700조 개 이상의 BEP-20 MBU 토큰을 발행해 이를 스테이블코인으로 교환하고 토네이도캐시(Tornado Cash)로 자금을 이동시켰다.

해킹 직후 MBU는 DEXscreener 기준으로 사실상 ‘제로(0)’까지 폭락했으며, 플랫폼의 공식 X 계정은 현재까지도 사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보안업체 서티크(CertiK)도 본 공격이 “무단 토큰 발행과 스왑 기반의 정교한 해킹”이었다고 분석했다.

이와 동시에, 프랑스의 하드월렛 제조사 레저(Ledger)는 또 한 차례 해킹 피해를 입었다. 이번 사건에서는 레저 디스코드 채널의 외부 계약 모더레이터 계정이 탈취되어 피싱 링크가 게시되었으며, 사용자들에게 “보안 취약점 확인”을 명목으로 시드 문구 입력을 유도하는 사기 메시지가 퍼졌다. 레저 측은 즉각 계정 통제를 되찾고 악성 링크를 제거했다고 밝혔지만, 사용자들의 피해 여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전 바이낸스 CEO 창펑 자오(Changpeng Zhao)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암호화폐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계정은 가장 약한 고리"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레저는 지난 2020년 데이터 유출 사고 이후 27만 명 이상의 고객 정보와 주소가 노출됐고, 이후 피싱 편지 사기 등 지속적인 위협에 노출돼 있다.

최근 이더리움의 업그레이드 '펙트라(Pectra)' 이후, 오프체인 서명만으로 지갑에서 자산이 유출될 수 있는 새로운 취약점이 제기되며, 업계 전반에 걸쳐 스마트 계약과 개인 보안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toko21

12:05

등급 아이콘

디스나

10:4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5.13 10:47:4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