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에코맵] 암호화폐 전 섹터 하락…기술·내러티브 중심 섹터부터 방어 테마까지 전방위 조정

프로필
정민석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이번 주 암호화폐 시장은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 강화로 대부분의 섹터가 일제히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조정세에 들어섰다.

 [크립토 에코맵] 암호화폐 전 섹터 하락…기술·내러티브 중심 섹터부터 방어 테마까지 전방위 조정

이번 주 암호화폐 시장은 전 섹터가 일제히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6일 기준 아르테미스가 집계한 최근 7일간 섹터별 시가총액 변동률에 따르면 스테이킹 부문은 –11.5%로 전체 중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어 ▲비트코인 생태계(–9.8%) ▲AI(–9.5%) ▲데이터 서비스(–9.5%) ▲데이터 가용성(–8.9%) ▲밈코인(–8.9%) 등도 10%에 가까운 낙폭을 기록, 매도 압력이 확인됐다.

▲DePIN(–7.9%) ▲오라클(–7.5%) ▲디파이(–7.3%) 섹터 역시 이번 주 조정세로 전환되며 단기 과열에 대한 해소 흐름이 나타났다.

▲소셜(–6.7%) ▲파일 저장(–6.3%)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6.0%) ▲게이밍(–6.0%) ▲NFT 애플리케이션(–5.7%) ▲1세대 스마트컨트랙트(–5.6%) 부문도 줄줄이 낙폭을 키웠다.

그 외에도 ▲프라이버시 코인(–5.5%) ▲이더리움(–5.1%) ▲유틸리티 및 서비스(–5.1%) ▲브리지(–4.7%) ▲거래소 토큰(–4.6%) ▲퍼페추얼 DEX(–4.6%) 등이 동반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3.1%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며 ▲실물자산 토큰화(RWA)는 –2.8% ▲가치저장은 –1.1%로, 전주 유일한 플러스였던 흐름마저 약세로 전환됐다.

전주에는 프라이버시 부문(-1.2)을 제외한 전 부문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고 절반 이상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번 주는 전반적인 상승분을 되돌리는 조정 흐름이 전 섹터로 확산된 모습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7:11

등급

1mini

15:37

등급

위당당

13:46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8.06 17:11: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8.06 15:37:0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