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클린스파크, 비트코인 채굴 수익 흑자 전환…순이익 3,579억 원 기록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클린스파크가 분기 매출 2,761억 원, 순이익 3,579억 원을 기록하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50EH/s를 돌파한 첫 미국 상장 채굴 기업이 됐다.

 클린스파크, 비트코인 채굴 수익 흑자 전환…순이익 3,579억 원 기록 / TokenPost.ai

클린스파크, 비트코인 채굴 수익 흑자 전환…순이익 3,579억 원 기록 / TokenPost.ai

비트코인(BTC) 채굴 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익성과 매출을 달성했다.

회사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의 회계 연도 3분기 동안 총 1억 9,860만 달러(약 2,76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1억 400만 달러, 약 1,446억 원) 대비 91% 급증한 수치이며, 시장 전망치였던 1억 9,500만 달러(약 2,711억 원)를 소폭 웃돌았다. 잭 브래드퍼드(Zach Bradford) 클린스파크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분기는 클린스파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로, 우리의 전략과 실행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3분기 순이익도 눈에 띄게 개선됐다. 회사는 총 2억 5,740만 달러(약 3,579억 원)의 순이익을 거둬 전년 동기 기록했던 2억 3,620만 달러(약 3,284억 원) 적자를 단숨에 뒤집었다. 희석 주당순이익(EPS)은 78센트를 기록해 시장 기대치였던 20센트의 약 4배를 웃돌았다. 클린스파크 최고재무책임자(CFO) 개리 베키아렐리(Gary Vecchiarelli)는 “이번 분기는 중요한 분기였으며, 비트코인 채굴로 발생한 수익만으로 모든 운영 비용을 충당하는 동시에 우리 비트코인 보유량도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클린스파크는 미국 내 상장 채굴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해시레이트 50EH/s(엑사해시/초)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전체 글로벌 해시레이트의 5.8%를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브래드퍼드는 “모두 미국 내 인프라를 활용한 결과”라며 자사의 기술력과 지역화를 강조했다.

회사는 추가적인 지분 발행 없이 올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비트코인 가치를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클린스파크의 현재 비트코인 보유량은 총 12,703개로, 시가 기준 약 14억 8,000만 달러(약 2조 584억 원)에 달한다. 이는 전 세계 상장사 중 아홉 번째로 많은 보유량으로 꼽힌다.

그러나 눈부신 실적 발표에도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클린스파크($CLSK) 주가는 실적 발표 당일 기준 2.5% 하락한 10.72달러(약 1만 4,897원)에 장을 마감했고, 장 마감 후 약간의 반등이 있었지만 상승 폭은 1%에도 못 미쳤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6:17

등급

엠마코스모스

14:51

등급

사계절

13:30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8.08 14:51: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08 13:30:3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