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가격이 약 한 달간 눈에 띄는 움직임 없이 박스권을 유지하며, 향후 향방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이어진 상승세는 주요 저항선을 뚫고 회복세를 달리며 100일과 200일 이동평균선인 각각 약 513만 원, 약 403만 원 지점을 되찾았다. 이러한 기술적 지표는 이더리움의 중기적인 상승 가능성을 암시하지만, 단기적인 방향성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좁은 상승 채널 내에서 천천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 채널은 더 큰 상승 채널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이 좁은 채널이 하방 이탈된다면 가격은 다시 4,000달러(약 5,560만 원) 수준까지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 반면 4,800달러(약 6,672만 원) 저항선을 뚫는다면 사상 최고치 경신 기대감과 함께 5,000달러(약 6,950만 원)를 향한 강한 반등이 예상된다.
4시간 봉 기준으로 보면, 이더리움은 현재 4,300달러(약 5,987만 원) 수요 구간과 4,800달러(약 6,672만 원) 공급 구간 사이에서 횡보 중이다. 녹색 상승 채널 하단이 점차 가격과 가까워지면서, 방향성 결정이 임박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구간을 하방 이탈하면 약 3,850달러(약 5,357만 원)까지 조정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수요 구간에서 반등 시에는 5,000달러(약 6,950만 원) 돌파 시도 가능성이 높아진다.
온체인 분석도 이러한 전망을 뒷받침한다. 7일 이동평균 기준 이더리움의 펀딩 비율은 여전히 ‘양의 영역’을 유지하고 있어, 선물 시장에서 매수 우위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 수치는 2024년 3월과 하반기 기록했던 최고치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현재 시장 과열 우려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지만, 펀딩 비율이 계속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경우 갑작스러운 청산(리퀴데이션) 위험도 동시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신중한 대응이 요구된다.
이처럼 기술적 패턴과 파생시장의 흐름이 교차하는 시점에서 이더리움은 현재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4,800달러 지지선 돌파 여부가 향후 시장 추세를 결정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CryptoPotato 측은 향후 몇 주간 이 구간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이더리움이 급락 혹은 급등이라는 상반된 시나리오로 갈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