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디플레이션 회귀 없으면 '가치 저장 수단' 한계 우려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전문가 이그나스는 이더리움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자리 잡지 못하면 가격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디플레이션 체제로의 복귀가 핵심 과제로 지목된다.

 이더리움($ETH), 디플레이션 회귀 없으면 '가치 저장 수단' 한계 우려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디플레이션 회귀 없으면 '가치 저장 수단' 한계 우려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이 주요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자리 잡지 못하면, 그 가격 상승 여력 역시 제한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업계 전문가들은 ETH의 리벨런싱 가능성과 토큰화 내러티브의 한계, 그리고 디플레이션 기조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자이자 디파이 전문가인 이그나스(Ignas)는 최근 X(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 동력이 제한적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ETH를 지금 매수하고 보유하려면, 궁극적으로 ETH가 가치 저장 수단(SoV)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하다”며, “그렇지 않으면 단기 호재로는 큰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그나스는 이더리움의 디펙토한 ‘가치 저장 수단’ 지위 부족이 시장에서의 프리미엄을 제한하며, 이 프리미엄 없이 RWA(실물 자산) 토큰화나 스테이블코인 활성화 등의 다른 내러티브만으로는 장기적인 수요를 견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RWA 및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내러티브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수료가 낮고 거래 속도가 빠른 타 체인들이 프라이버시 기능까지 확보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희망적인 시나리오도 존재한다. 이그나스는 “이더리움은 탈중앙성이나 기술적 중립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독보적”이라며, EVM 외부의 L1 블록체인들이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ETH가 진정한 가치를 회복하려면, 디플레이션 구조를 다시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L2 수익 과세와 채택 확대를 통해 네트워크에서 더 많은 ETH를 소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EIP-1559 제안 이후 거래 수수료 일부를 소각하는 메커니즘을 갖췄지만, 2025년 현재는 신규 발행량이 소각량을 초과해 다시 인플레이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더스캔 기준으로 현재 이더리움의 연간 인플레이션률은 0.16% 수준이다. 가장 최근 디플레이션 상태는 2025년 1분기 초였다.

한편, 이그나스는 비트코인(BTC)의 보안 예산 고갈과 채굴 수익 저하 문제를 언급하며, 장기적으로는 ETH가 BTC를 앞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까지도 ETH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우수한 가치 저장 수단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ETH가 다시 디플레이션 기반의 구조로 전환된다면, 기관과 개인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내에서 본격적인 자산 배분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