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급락에 27조 원 증발…트럼프 관세 발언, 암호화폐 시장 강타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 100% 관세 발언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패닉에 빠지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주요 종목 급락과 대규모 청산 사태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투매를 구조적 불안의 신호로 보고 있다.

 비트코인 급락에 27조 원 증발…트럼프 관세 발언, 암호화폐 시장 강타 / TokenPost.ai

비트코인 급락에 27조 원 증발…트럼프 관세 발언, 암호화폐 시장 강타 / TokenPost.ai

암호화폐 시장이 금요일 발생한 사상 최대 규모의 투매 사태 이후 침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당시 중앙화 거래소에서만 약 200억 달러(약 27조 8,000억 원)에 달하는 레버리지 청산이 발생했고, 디파이 시장에서도 수백억 원에 이르는 손실이 잇따랐다. 전문가들은 이번 급락이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구조적 불안 요인을 드러내는 전조라고 보고 있다.

시장에는 뚜렷한 트리거 요인이 존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갑작스럽게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글을 올리며, 시장은 극도의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이에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가 급락했고, 레버리지 롱 포지션은 대거 청산되면서 가격 붕괴는 더욱 심화됐다.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현재 110,000달러(약 1억 5,290만 원)를 힘겹게 지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더리움(ETH)은 전일 대비 3.74% 하락했고, 솔라나(SOL) 역시 7.0% 가까이 밀렸다. 변동성이 큰 이례적 장세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참여자들은 관망세를 보이며 시장에 재진입하지 않고 있다. 오픈 이자 규모가 급감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 방증한다. 거래소와 디파이 모두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 규모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투자자 심리가 극도로 위축됐음을 말해준다.

크립토 시장은 주말 동안 추가 매도 압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과 미국 증시 선물시장이 일요일 밤(미국 기준) 재개될 때까지는, 하방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주말 동안의 가격 변동성 확대에 주의가 요구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정책 리스크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하나에도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음을 감안하면, 향후 그의 메시지는 더욱 정제된 분석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광란의우덩

07:40

등급

광란의셔터

07:0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우덩

2025.10.12 07:40: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5.10.12 07:05:0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