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마리나 프로토콜(BAY)
현재가 0.150달러 | ATH 0.151달러 (-0.48%)
마리나 프로토콜은 11월 17일 신고점을 기록했으며, 11월 2일 기록한 저점 대비 62.7% 상승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전체 1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젠트리(ZENT)
현재가 0.00578달러 | ATL 0.00578달러 (-0.001%)
② 오리진 파운데이션(OGY)
현재가 0.00141달러 | ATL 0.00136달러 (+3.69%)
③ 포털(PTB)
현재가 0.0196달러 | ATL 0.0197달러 (-0.50%)
④ 나틱스 네트워크(NATIX)
현재가 0.000441달러 | ATL 0.000441달러 (-0.04%)
⑤ 블라스트(BLAST)
현재가 0.00106달러 | ATL 0.00104달러 (+2.02%)
이 외에도 ▲캠프 네트워크(CAMP) ▲게임빌드(GAME) ▲플룸 네트워크(PLUME) ▲핀링크(PIN) ▲화이트록(WHITE) ▲모리 코인(MORI) ▲센드(SEND) 12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젠트리는 2021년 12월 기록한 역대 최고가 3.22달러 대비 99.8%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포털과 나틱스 네트워크도 각각 ATH 대비 75.4%, 77.7% 급락하며 장기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핀링크는 ATL 대비 4.95% 반등하며 단기 저점 탈출 시도를 보였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9만4942달러 | ATH 12만6038달러 (-24.7%)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134달러 | ATH 4948달러 (-36.7%)
③ XRP(XRP)
현재가 2.24달러 | ATH 3.84달러 (-41.8%)
④ BNB(BNB)
현재가 930.91달러 | ATH 1369달러 (-32.0%)
⑤ 솔라나(SOL)
현재가 138.92달러 | ATH 293.65달러 (-52.7%)
시가총액 상위 5개 암호화폐 모두 역대 최고가 대비 24.7%~52.7%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조정폭을 보이며 ATH 대비 24.7% 하락에 그친 반면, 솔라나는 52.7% 급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이더리움과 BNB는 각각 36.7%, 32.0% 하락하며 중간 수준의 조정을 나타냈고, XRP는 41.8% 하락하며 주요 알트코인 중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리졸브(RESOLV) 현재가 0.201달러
ATH 104.06달러 (-99.8%) | ATL 0.0341달러 (+491.1%)
② 월렛커넥트 토큰(WCT) 현재가 0.148달러
ATH 1.35달러 (-89.0%) | ATL 0.0784달러 (+88.6%)
③ 스타크넷(STRK) 현재가 0.223달러
ATH 5.30달러 (-95.8%) | ATL 0.0720달러 (+209.6%)
④ 파이버스(PIEVERSE) 현재가 0.305달러
ATH 0.366달러 (-16.4%) | ATL 0.116달러 (+163.2%)
⑤ 이바 프로토콜(EVAA) 현재가 1.41달러
ATH 13.61달러 (-89.6%) | ATL 1.09달러 (+30.1%)
국내 트렌딩 상위권에 오른 5개 종목 중 리졸브와 스타크넷은 ATH 대비 각각 99.8%, 95.8% 급락하며 극심한 약세를 보였으나, ATL 대비로는 491.1%, 209.6% 반등하며 저점 탈출 시도에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파이버스는 ATH 대비 16.4% 하락에 그치며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고, 월렛커넥트 토큰과 이바 프로토콜은 각각 89.0%, 89.6% 급락 후 반등 국면에서 단기 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 기회를 노리는 수요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