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BTC·ETH·XRP에서만 13억 달러 이상이 빠져나가고 USDT·USDC로 10억 달러 이상이 쏠렸다.
21일 크립토미터 집계에 따르면 원화(KRW) 기반 자금 4960만 달러가 유입됐다. 이 중 4370만 달러가 USDT로 전환됐으며 일부는 TRY·UNI·NEAR 등으로 소액 분산됐다.
엔화(JPY) 자금 1380만 달러는 대부분 BTC(1270만 달러)와 ETH(120만 달러)로 흘러들어갔다. 터키 리라화(TRY) 기반 자금 2520만 달러 중 1230만 달러가 USDT, 930만 달러가 TNSR로 이동했다.
달러(USD) 자금은 ETH로 1070만 달러가 전환되며 단일 종목 쏠림을 보였다. 브라질 헤알화(BRL) 자금 1030만 달러 가운데 840만 달러가 USDT로 유입됐다.
6400만 달러가량이 유입된 USDT에서 2억1390만 달러가 움직였다. 1억6750만 달러가 USDC로, 1110만 달러가 USD1로, 980만 달러가 TNSR로 흘러갔다. 나머지는 USD1·BFUSD·XMR·PENGU 등 다양한 종목으로 소액 분산됐다.
USDC에서는 1억7500만 달러 규모의 이동해 XRP(930만 달러), USDE(320만 달러), TNSR(230만 달러) 등이 주요 유입처로 나타났다. FDUSD 기반 자금 1억770만 달러는 BTC(8020만 달러), ETH(1670만 달러), BNB(1080만 달러) 순으로 유입됐다.
비트코인(BTC)에는 9280만 달러가 유입됐고 일부가 ETH(950만 달러), BNB(540만 달러) 등으로 이동했다. 이더리움(ETH)으로는 3900만 달러가 들어와 WBETH(940만 달러), SOL(540만 달러)로 일부가 빠져나갔다.
이밖에 TNSR에 2140만 달러, BNB에 1690만 달러, USD1에 1110만 달러, XRP에 930만 달러, WBETH에는 940만 달러, SOL에는 750만 달러가 각각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유출 흐름을 보면 BTC에서는 9억2500만 달러의 자금 유출이 나타났다. 자금은 ▲달러화 3억8770만 달러 ▲USDT 3억7910만 달러 ▲USDC 9540만 달러 ▲유로화 4160만 달러 ▲원화 2120만 달러로 이동했다.
XRP에서는 2억2430만 달러 규모의 대규모 유출이 발생했다. 자금은 ▲USDT 1억6370만 달러 ▲달러화 3060만 달러 ▲원화 2190만 달러 ▲FDUSD 810만 달러로 분산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더리움(ETH)에서는 총 2억1610만 달러가 유출됐다. 유출 자금은 ▲USDT 1억9700만 달러 ▲원화 1150만 달러 ▲유로 750만 달러로 이동했다.
솔라나(SOL)에서는 6520만 달러 규모의 유출이 발생했다. 해당 자금은 ▲FDUSD 2490만 달러 ▲USDT 1800만 달러 ▲달러화 1310만 달러 ▲USDC 920만 달러로 이동했다.
USDE에서는 4750만 달러가 빠져 전량 USDT로 전환됐으며 WBTC에서는 2510만 달러가 유출돼 모두 BTC로 되돌아갔다.
이밖에 ZEC·BNB·SUI·STRK·ASTER·ENA·GRASS 등에서도 소규모 매도 흐름이 이어졌다.
이날 USDT에는 9억1860만 달러가 결집했다. USDC는 1억2200만 달러가 들어왔다. FDUSD에는 3300만 달러가 모였다가 일부가 ▲USDC 1100만 달러로 이동했다.
법정화폐 중에서는 ▲달러화 4억6250만 달러 ▲원화 6990만 달러 ▲유로화 4910만 달러로의 현금화 흐름이 확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