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율두(ESPORTS)
현재가 0.484달러 | ATH 0.491달러 (−1.52%)
② 위파이(WFI)
현재가 2.40달러 | ATH 2.42달러 (−1.04%)
두 종목 모두 11월 27일자로 새로운 신고점을 기록한 뒤 소폭 조정을 받는 흐름을 보였다. 율두는 단기 차익 실현으로 1%대 조정이 나타났으나 상승 추세는 유지되고 있으며, 위파이 역시 강한 신고점 돌파 이후 가벼운 되돌림 구간에 진입했다. 전반적으로 상위 종목들은 신고점 근처에서 거래되며 단기 모멘텀과 투자심리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이슬람코인(ISLM)
현재가 0.0145달러 | ATL 0.0145달러 (−0.04%)
② 아프로(APRO)
현재가 0.209달러 | ATL 0.189달러 (+10.4%)
③ 아리아(ARIAIP)
현재가 0.0491달러 | ATL 0.0490달러 (+0.17%)
④ 잔크션(JCT)
현재가 0.00276달러 | ATL 0.00262달러 (+5.63%)
⑤ 마인블루(MB)
현재가 0.00754달러 | ATL 0.00576달러 (+31.1%)
총 5개 종목이 신저점을 기록하거나 저점 부근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종목이 저점 대비 강한 반등을 시도한 종목과 여전히 부진한 종목으로 나뉘며, 단기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흐름을 보였다. 특히 일부 자산은 ATL 대비 두 자릿수 반등폭을 보이며 매수세 유입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9만1219달러 | ATH 12만6038달러 (−27.6%)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3044달러 | ATH 4948달러 (−38.5%)
③ XRP(XRP)
현재가 2.22달러 | ATH 3.84달러 (−42.3%)
④ BNB(BNB)
현재가 896.78달러 | ATH 1369달러 (−34.5%)
⑤ 솔라나(SOL)
현재가 142.72달러 | ATH 293.65달러 (−51.4%)
최근 주요 상위 5개 가상자산은 모두 ATH 대비 20~50% 조정된 구간에 머물며 중기적 재평가 흐름 속에 있다. BTC·BNB는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제한되어 강한 체력과 수요를 재확인한 반면, SOL·XRP는 조정폭이 깊어 변동성 확대 구간이 지속됐다. ETH는 기술 이벤트 이후 조정을 거치며 방향성을 탐색 중이며, 전반적으로 상위 종목들은 매크로 불확실성 속에서도 장기 상승 구조 내의 고점 조정 구간을 유지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지캐시(ZEC) 현재가 521.65달러
ATH 5,942달러 (–91.2%) | ATL 16.13달러 (+3,134%)
② 플럼 네트워크(PLUME) 현재가 0.0253달러
ATH 0.247달러 (–89.8%) | ATL 0.0230달러 (+9.59%)
③ 자이온(XION) 현재가 0.697달러
ATH 10.45달러 (–93.3%) | ATL 0.326달러 (+113.7%)
④ 아스트로 노바(RVV) 현재가 0.00607달러
ATH 0.0204달러 (–70.2%) | ATL 0.00396달러 (+53.2%)
⑤ 포트3 네트워크(PORT3) 현재가 0.00623달러
ATH 0.328달러 (–98.1%) | ATL 0.00548달러 (+13.8%)
최근 국내 트렌딩 상위권에 오른 5개 종목은 공통적으로 ATH 대비 큰 폭의 조정 상태에 있으며, 일부는 ATL 부근에서 반등 흐름을 보이며 단기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XION, RVV, PORT3처럼 저가 구간에서 거래량이 붙는 소형 알트코인 중심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투자자들은 급락 이후 바닥 인식·단기 반등 기대감, 혹은 신규 내러티브 탐색 수요로 진입하는 모습이며, 전반적으로 변동성이 매우 큰 단기 매매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