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RWA 온체인] 미국 국채 하락에도 '금·펀드·민간대출' 약진…토큰화 자산 시장 253억 달러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온체인 RWA 시장이 253억 달러를 넘어서며 다시 성장세에 진입했다. 금 기반 자산과 대안펀드, 민간 대출 중심으로 자금 유입이 확대된 반면, 미국 국채와 상장 주식 부문은 하락세를 보였다.

 [RWA 온체인] 미국 국채 하락에도 '금·펀드·민간대출' 약진…토큰화 자산 시장 253억 달러

실물자산(Real-World Asset, RWA) 토큰화는 미국 국채, 금, 부동산, 주식 등 실물자산의 소유권이나 수익을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토큰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뜻한다. 전통 금융과 온체인 생태계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로 주목받으며, 글로벌 자산 운용사와 핀테크 기업들의 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전통 금융 자산의 블록체인 이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토큰화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미국 국채, 금, 주식 등 주요 실물자산의 온체인 흐름을 자산군별로 짚어본다. [편집자주]


온체인 RWA 시장 규모가 전월 대비 1.7% 이상 성장하며 253억 달러를 넘어섰다.

RWA.xyz에 따르면 8월 5일 기준 온체인 RWA 시장 규모는 총 253억1000만 달러(약 35조2289억원)로, 전월 대비 1.71% 증가했다. 보유자는 20.88% 증가한 34만2205명, 발행사는 257곳으로 집계됐다.

토큰화된 자산 중 '미국 국채'가 최대 토큰화 시장을 이루고 있다. 약 66억2260만 달러 규모로, 시장 점유율 50.98%를 기록 중이다.

'민간 대출'은 29억9080만 달러(23.02%), '원자재'는 18억3770만 달러(14.15%)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기관 대안펀드(6.36%) ▲상장 주식(2.89%) ▲비미국 국채(2.19%) ▲회사채(0.13%) 등이 토큰화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한 달 동안 가장 빠르게 성장한 부문은 ▲액티브 운용 전략(+30,012%) ▲기관 대안펀드(+22.34%) ▲원자재(+13.16%) 순이다. 반면 미국 국채(–10.32%)와 상장 주식(–3.68%)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현재 시가총액 기준 토큰화 자산 상위 5개는 ▲비들(BUIDL, 블랙록·시큐리타이즈) ▲팍소스 골드(PAXG, 팍소스) ▲테더골드(XAUT, 테더) ▲OUSG(온도) ▲벤지(BENJI, 프랭클린 템플턴) 순이다.

비들(BUIDL)은 23억2126만 달러 규모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팍소스 골드는 9억5300만 달러, 테더골드는 8억2900만 달러 규모를 기록 중이다. 온도의 OUSG는 7억90만 달러, 벤지는 6억9280만 달러로 집계됐다.

최근 30일 기준 토큰화 자산 시가총액 상위 10종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자산은 위즈덤트리의 WTGXX(+52.47%)였다. 이어 팍소스 골드(PAXG)가 +2.23%, 온도 달러일드(USDY)가 +0.37%로 뒤를 이으며 상대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자산은 슈퍼스테이트의 USTB(–34.61%)로, 한 달간 시가총액이 급감했다. 이어 비들(BUIDL, –18.33%)과 벤지(BENJI, –13.12%)가 각각 2위와 3위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블록체인 TOP 5

현재 토큰화 자산의 53.67%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ZKsync 에라(18.77%), 앱토스(5.54%) 등이 뒤를 잇고 있다. 발행된 토큰 개수 기준으로는 폴리곤이 494개로 가장 많고, 이더리움 319개, 아비트럼 107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앱토스(Aptos)는 33.86%의 30일 성장률을 기록하며 강한 확장세를 보였고, 플룸(Plume)이 31.69%, 아비트럼이 11.51% 증가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반면 알고랜드는 9.85%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고, 이더리움은 –7.82%, 솔라나는 –1.57%의 조정 흐름을 보였다.

발행사별 점유율은 블랙록이 21.77%로 가장 높았으며 팍소스(8.99%), 테더 홀딩스(7.81%), 온도 I(6.61%), 프랭클린 템플턴(6.53%)이 뒤를 이었다.

위즈덤트리는 52.47%의 30일 자산 증가율을 기록하며 가장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PACT가 44.45%, 테더 홀딩스가 23.31%로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반면 슈퍼스테이트는 –20.23%, 블랙록 –18.41%, 프랭클린 템플턴 –13.12%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팍소스는 2.05%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고, 스파이코(Spiko)도 3.24% 증가하며 10위권을 유지했다. 온도 USDY는 0.37% 증가해 소폭 상승 흐름을 보였다.

토큰화|미국 국채|온체인에 토큰화된 미국 국채 및 현금성 자산의 총 규모는 66억2000만 달러로, 일주일 전보다 1.78% 감소했다. 현재 48종의 자산이 유통 중이며, 평균 만기 수익률(YTM)은 4.12%, 보유자 수는 5만2759명으로 전주 대비 1.49% 증가했다.

현재 시가총액 기준 미국 국채 및 현금성 자산 기반 토큰화 상품 상위 5종은 ▲BUIDL(블랙록) ▲OUSG(온도) ▲BENJI(프랭클린 템플턴) ▲USDY(온도) ▲WTGXX(위즈덤트리) 순이다.

BUIDL 시가총액 23억926만 달러 / 보유자 82명
OUSG 시가총액 7억90만 달러 / 보유자 75명 / 수익률 4.07%
BENJI 시가총액 6억9280만 달러 / 보유자 886명
USDY 시가총액 6억8759만 달러 / 보유자 1만5465명 / 수익률 4.29%
WTGXX 시가총액 4억8306만 달러 / 보유자 560명

30일 기준 최근 30일간 순유입 상위 자산은 ▲WTGXX(+1억6600만 달러) ▲TBILL(+6500만 달러) ▲VBILL(+22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BUIDL은 –5억2100만 달러, USTB는 –2억6400만 달러, USYC는 –1억800만 달러, BENJI는 –8700만 달러, JTRSY는 –5200만 달러 순으로 순유출을 기록했다.

토큰화|민간 대출|토큰화된 민간 대출은 기업이 온체인에서 자금을 빌리고, 투자자는 이자를 수취하는 구조다. 대출 실행부터 상환까지 전 과정은 신용 프로토콜이 관리한다.

현재 시장에서 실행 중인 대출 규모는 153억1000만 달러, 누적 대출 규모는 283억6000만 달러다. 지금까지 총 2563건의 대출이 집행됐으며, 평균 연 수익률(APR)은 9.76% 수준이다.

대표 상품은 시럽 USDC(Maple), 버클리 스퀘어(PACT), 하이일드 담보 대출(Maple) 등으로, 모두 조건부 참여가 가능한 대출 풀(Pool) 형태로 운영된다.

시럽 USDC (Maple) 이더리움 기반 USDC 대출 풀 / APR 7.02%
버클리 스퀘어 (PACT) 앱토스 기반 대출 풀 / APR 11.31%, 63.99% 등
하이일드 담보 대출 (Maple) 이더리움 기반 USDC 대출 풀 / APR 8.47%

프로토콜별 누적 대출 규모는 피겨(Figure)가 140억5300만 달러로 가장 크고, 트레이더블(Tradable)이 50억2300만 달러, 메이플(Maple)이 38억64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피겨는 실행 중인 대출 규모만 해도 약 110억7700만 달러에 달하며, 트레이더블은 현재 활성 대출 규모 21억7800만 달러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토큰화|원자재|토큰화 원자재 시장의 시가총액은 18억4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3.16% 증가했다. 월간 전송량은 13억4000만 달러로 29.36% 감소했으며, 보유자 수는 8만840명으로 2.87% 증가했다. 월간 활성 주소 수는 8738개로 3.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큰화된 원자재 자산은 금(Gold) 기반 토큰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1위 토큰은 팍소스의 PAXG로, 시가총액은 9억5340만 달러, 시장 점유율은 약 51.88%다. 2위는 테더홀딩스의 테더골드(XAUT)로, 시가총액 8억2780만 달러, 점유율은 45.05%를 기록 중이다. 매트릭스독(Matrixdock)은 컴테크골드를 밀어내고 3위로 올라섰다. 시가총액 3790만 달러 규모이며, 두 종의 RWA를 발행 중이다.

전체 토큰화 원자재 자산의 98.22%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바이낸스 스마트체인(1.10%) ▲XDC(0.62%, Comtech Gold) ▲스텔라(0.06%, WisdomTree Gold) 등에서 유통되고 있다.

이더리움 기반 토큰화 자산은 PAXG, XAUT, TXAU, VNXAU, TXAG, TXPT 등 거의 모든 주요 금·은·백금 토큰이 포함된다. XDC는 CGO, 스텔라는 WTGOLD를 단독 발행 중이다.

토큰화|상장 주식|상장 주식 기반 토큰화 자산 시장 규모는 3억7531만 달러로, 전월 대비 3.68% 감소했다. 월간 거래량은 3억2470만 달러로 72.51% 증가했으며, 활성 주소 수는 6만383개(+59.12%), 보유자 수는 6만470명(+28.77%)으로 집계됐다.

시가총액 기준 1위는 엑소더스 무브먼트(Exodus Movement Inc. Class A)로, 전체 시장의 83.04%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 ▲테슬라(3.08%) ▲마이크로스트래티지(1.96%) ▲iShares S&P500 ETF(1.68%) ▲코인베이스(1.49%) ▲엔비디아(1.46%) 등의 주식 기반 자산도 발행되고 있다.

블록체인별로는 알고랜드가 전체의 70.79%를 차지하며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으며, XRP 레저(14.75%), 솔라나(11.40%), 노시스(1.52%), 아비트럼(0.81%)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토큰화|기관 대안펀드| 토큰화된 대안펀드 시장의 총 규모는 8억2558만 달러로, 전월 대비 22.34% 증가했다. 활성 주소 수는 4만2427개로 29.36% 감소했으며, 전체 보유자는 10만4868명으로 37.82% 증가했다. 현재 온체인에 등록된 펀드는 총 26개다.

토큰화된 기관 펀드 중에서는 미국 기반의 '슈퍼스테이트 크립토 캐리 펀드(USCC)'가 시가총액 2억2233만 달러로 가장 규모가 크다. 2위는 싱가포르 기반의 블록체인캐피털 디지털 벤처 펀드(BCAP, 시총 2억1480만 달러), 3위는 아폴로 다이버시파이드 크레딧 펀드(ACRED, 시총 1억9976만 달러)가 자리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20:21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05 20:21:4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