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UAE)가 제정한 새 금융법이 디파이(DeFi)와 웹3 산업 전반을 명확한 규제 틀 안으로 편입시킨다. 중동 지역이 디지털 자산 허브로 주목받는 가운데, 이번 법 개정은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기업들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UAE 중앙은행은 ‘연방법령 제6호(Federal Decree Law No. 6 of 2025)’를 통해 디지털 자산 분야까지 포괄하는 금융 규제를 공표했다. 해당 법은 2025년 9월 16일부터 발효되며, 암호화폐 관련 결제, 거래, 대출, 수탁, 투자 활동에 관여하는 플랫폼이나 인프라 제공자 등도 모두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UAE 현지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인 이리나 히버(Irina Heaver)는 “디파이 프로토콜, 미들웨어, 인프라 제공자 등 기술적 기반을 갖춘 누구라도 특정 서비스(예: 결제, 보관, 거래 등)를 제공한다면 반드시 중앙은행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법 조항 중 제61조와 제62조는 중앙은행이 관할하는 면허 제도를 강조한다. 제62조에는 ‘어떤 수단, 방식, 또는 기술을 통해서든 면허가 필요한 금융 활동을 수행하거나 이를 제안, 발행, 지원하는 모든 개인과 기업은 전부 중앙은행 감독 범위에 들어온다’고 명시했다. 이는 중앙화 거래소뿐 아니라 탈중앙화 금융기반 프로젝트까지 법적 책임과 규제 대상이 된다는 의미다.
히버 변호사는 “UAE에서 활동 중이거나 진출을 준비하는 프로젝트는 이번 법을 주요 규제 이정표로 보고, 2026년 9월까지 내부 시스템과 운영방식을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조치는 자금세탁 방지, 이용자 자산 보호, 시장 투명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UAE는 두바이, 아부다비를 중심으로 글로벌 웹3 기업 유치에 적극적인 가운데, 선진 규제 도입을 통해 제도권 안에서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UAE의 적극적인 규제 입법은 글로벌 자본 유치를 위한 신호탄이자, 디파이 산업의 제도화 속도를 가속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중동 지역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규제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도 주목된다.
💡 전략 포인트
UAE 진출 예정인 국내외 암호화폐 기업은 조기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특히 탈중앙화 특성을 내세운 프로젝트도 관할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법령 적용 범위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 용어정리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 중개기관 없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중앙은행 면허: 금융서비스를 합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중앙은행에서 부여하는 공식 인가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