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내부에서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호소한 직원을 상대로 징계위원회가 부적절한 질의를 던진 정황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피해자 보호보다 조직의 입장을 우선시했다는 비판과 함께 협회의 징계 절차가 공정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논란은 최근 열린 KPGA 징계위원회 과정에서 드러났다. 노동조합이 공개한 녹취에 따르면 일부 징계위원은 괴롭힘 피해자에게 “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폭언이 나온 것 아니냐”는 식의 질문을 했고, “윗사람이 소리도 지르고 야단치는 것은 직장 생활의 일부”라고 말하는 등 2차 가해로 볼 수 있는 발언을 이어갔다. 이는 피해자의 피해 진술을 무시하거나 정당성을 훼손할 수 있는 태도로, 징계위의 공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말 KPGA 고위 임원 A씨의 직장 내 괴롭힘 의혹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A씨는 최근 관련 사안으로 해임됐지만, 협회는 오히려 괴롭힘을 증언한 일부 직원들에게 징계를 가하며 2명을 해고하기에 이르렀다. 노조는 이 같은 징계가 "보복성 조치"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징계 절차에서 피해자 측의 증언과 증거에 대한 제출이 배제되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이번 사안을 공론화하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 해고 구제 신청을 준비 중이다. 나아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손솔 의원과 협력해 문화체육관광부와 고용노동부에 KPGA의 전반적인 근로 실태에 대한 감사와 감독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징계 논란을 넘어 운동단체 전반의 조직문화와 노동권 보장 문제로 번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KPGA는 김원섭 회장 명의로 담화문을 발표해 공식 입장을 내놨다. 김 회장은 “보복성 조처는 없었으며 징계는 업무상 과실에 따른 정당한 절차”였다고 해명했다. 이어 징계 절차 또한 공정하게 운영됐다고 강조하며, 이를 부당한 보복이라 주장하는 것은 허위사실 유포이자 협회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향후 이 사안은 단순한 노사 갈등 차원을 넘어, 체육계 조직의 내부 자정 기능과 피해자 보호 체계의 신뢰도에 직결되는 이슈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 부처의 철저한 조사와 국회 차원의 감시가 촉진되면, 체육계 내 노동 인권 보호 기준이 재정립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