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BTCFi #1 : 왜 비트코인과 DeFi의 결합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인가?

본 보고서는 Tiger Research가 작성했으며, BTCFi 시장의 개괄적인 현 상황을 분석하여, 비트코인 DeFi가 필연적 트렌드가 되는 이유를 검토합니다.


TL;DR

 

  • BTC가 유휴 상태로 방치되면서 비트코인은 이더리움 디파이 영역을 정의하는 자본 효율성이 부족하다. BTCFi는 BTC를 수익률 창출 자산으로 전환해 이런 잠자고 있는 유동성을 해제한다. 비트코인의 보안성을 기반으로 구축된 대출, 스테이킹, 보험 및 기타 탈중앙화 금융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 기관들이 BTC 네이티브 수익률에 대한 수요를 이끌고 있으며, 인프라는 준비가 완료됐다. 규제받는 커스터디 솔루션부터 실물 수익률 프로토콜까지, BTCFi 스택은 이제 기관 표준을 충족하는 ETF, 허가된 대출, 보험 모델, 스테이킹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 기술적 혁신과 레이어 2 혁신이 BTCFi를 확장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만든다. 탭루트 같은 업그레이드와 새로운 레이어 2 플랫폼들이 이제 비트코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토큰 발행, 조합 가능한 디파이를 가능하게 한다.


1. 자본 병목 현상: BTCFi가 존재하는 이유

 

Source: Glassnode

 

비트코인은 현재 1조 달러 규모 이상의 자산이지만 대부분 유휴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분석가들은 비트코인 시가총액의 99%가 '유휴 자본'이라고 추정한다. 즉, 거의 모든 비트코인이 지갑이나 콜드 스토리지에 보관되어 온체인 수익을 전혀 창출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는 온체인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400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장기 보관 상태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Source: DefiLlama

 

이는 이더리움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이더리움에서는 ETH의 상당 부분이 디파이와 스테이킹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더리움의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에는 1,420만 ETH(약 350억 달러)를 예치했다. ETH를 수익 창출 자산으로 전환시켜 활발한 온체인 경제를 견인한 셈이다.

이더리움의 디파이 열풍은 자본 효율성의 위력을 보여줬다. 스테이킹 보상, 대출 이자, 유동성 공급 등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에서 엄청난 가치가 창출됐다. 반면 비트코인은 이런 측면에서 활용도가 떨어진다. 막대한 유동성이 주로 0% 수익률에 머물러 있고, 베이스 레이어에서 추가적인 금융 상품으로 조합되지 못한다.

BTCFi 즉 비트코인 디파이는 이런 잠자고 있는 자본을 깨우는 것이다. 코인게코(CoinGecko)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디파이는 "비트코인을 수동적 자산에서 생산적 자산으로 전환"한다. 보유자들이 비트코인의 뛰어난 보안성을 활용하면서도 BTC로 수익을 창출하거나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질적으로 BTCFi는 디파이가 이더리움에 했던 일을 비트코인에서 구현하려는 시도다. 정적인 자산을 수익원이자 혁신의 구성 요소로 바꾸는 것이다.

 


11,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2. 다음 수익을 찾을 기관들

 

Long history of BTC ETF. Source: Fioderers

 

기관 투자자 수요는 BTCFi 성장의 가장 강력한 가속제가 될 수 있으며, 이런 변화는 이미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023년 말과 2024년에 주요 자산운용사들이 현물 비트코인 ETF 승인을 신청하고 획득했다. 드디어 BTC가 주류 투자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것이다.

 

이런 움직임은 더 깊은 트렌드를 보여준다. 기관들은 이미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본다. 하지만 동시에 수익률에도 민감하다. 전통 금융에서는 자본을 유휴 상태로 두지 않는다. 채권은 이자를, 주식은 배당을, 현금도 머니마켓 펀드에 넣어둔다. 반면 비트코인은 최근까지 아무것도 벌어주지 않았다.

BTCFi가 이를 바꾸고 있다. 기관들은 이제 다음 단계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보유한 BTC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점점 더 많은 기관이 대출, 스테이킹, 담보 활용 방식을 찾고 있다. 익숙한 전통 금융 모델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익률을 창출하려는 것이다.

이런 옵션들이 등장하면서 BTCFi에 대한 기관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BTC로 연 3~5% 수익률은 소소해 보일 수 있지만, 수십억 달러를 운용할 때는 이런 추가 수익률이 엄청난 가치를 갖는다. BTCFi 생태계가 성숙해지면서 BTC 보유자들은 이제 탈중앙화 프로토콜을 통해 연 10~20%의 더 높은 수익률까지 접근할 수 있다. 기회가 점점 더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는 셈이다.

더 많은 기관과 개인이 BTC를 장기 준비 자산으로 채택하고 있다. 최근 사이클에서 비트코인이 대부분의 알트코인 대비 확실히 우수한 수익률을 보여준 것이 이런 트렌드를 뒷받침한다. 유휴 보유 자산으로 수익률을 창출해야 한다는 인센티브가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강화된다면, 미국 국채가 전통 자본시장을 뒷받침하듯,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금융의 수익률 기반층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출 금리부터 디파이 프로토콜 밸류에이션까지 모든 것의 벤치마크를 설정하는 것이다.

 

3. 기관 수요를 맞을 준비를 마친 인프라

 

BTCFi 생태계는 기관 채택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새로운 상품과 프레임워크로 이 순간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3.1. 규제권 내 커스터디 & 유동성 토큰

 

피델리티 디지털 자산,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비트고 같은 회사들이 엄격한 커스터디 컴플라이언스 하에서 디파이 참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특히 바운스비트의 BBTC 같은 리퀴드 커스터디 토큰(LCT)이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토큰화 방식 덕분에 기관들은 자격을 갖춘 커스터디에서 BTC를 보유하면서도 온체인에 배치해 수익률을 창출할 수 있게 됐다. 결과적으로 기관들은 규제 안정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디파이의 상승 여력까지 잡을 수 있다.

 

3.2. ETF & 수익률 통합 상품

 

Europe’s first yield-bearing Bitcoin ETP. Source: CoreDAO

 

유럽에서는 수익률을 제공하는 비트코인 ETP가 이미 운영 중이다. 밸러(Valour)의 BTCD ETP는 BTC를 비트코인 레이어 2에 스테이킹하며 2024년 말 기준 약 5.6% 연 수익률을 지급했다. 이와 동시에 기관들은 BTC 연계 구조화 상품, 이중 수익률 상품, 베이시스 트레이드 전략을 적극 탐색하고 있다. 전통 금융 상품과 암호화폐 네이티브 수익률 엔진을 융합하려는 시도다.

BounceBit ambition is to enable institutions to earn yield on BTC. Source: BounceBit

 

대표적인 사례가 바운스비트 프라임(BounceBit Prime)이다. 이 상품은 토큰화된 미국 국채와 BTC 수익률 전략을 하나로 결합했다. 패밀리 오피스나 헤지펀드 같은 전통 자산 배분자들에게 익숙한 이중 수익 구조를 제공한다. 월스트리트를 위해 특별히 구조화된 비트코인 수익률인 셈이다.

또 다른 혁신 사례는 샛레이어(SatLayer)다. 수익률을 창출하는 BTC를 담보로 하는 탈중앙화 보험 상품을 선보였다. "비트코인 버크셔 해서웨이"로 불리는 샛레이어는 모든 BTC 보유자가 자산을 온체인 보험 풀에 재스테이킹할 수 있게 한다. 참여자들은 보험료 수익의 일부를 나눠 받는다.

샛레이어의 차별점은 폭넓은 파트너십에 있다. 넥서스 뮤추얼(Nexus Mutual), 렐름(Relm) 등 암호화폐 네이티브와 전통 언더라이터 모두와 협력해 BTC가 뒷받침하는 새로운 탈중앙화 보험 상품군을 구축하고 있다.

 

3.3. 프로토콜 성숙도 & 기관 신뢰

 

바빌론(Babylon), 롬바드(Lombard) 같은 BTCFi 프로토콜은 이미 수십억 달러의 TVL을 돌파했다. 보안 감사를 통과했고 SOC2 컴플라이언스를 향해 진전하고 있다.

특히 많은 프로토콜이 자문위원회에 월스트리트 베테랑들을 영입하고 있다. 설계 단계부터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으로 두는 것이다. 이런 변화들이 세계 최대 자본 배분자들과의 신뢰를 차근차근 쌓아가고 있다.

이 모든 움직임은 BTC 수익률이 기관 포트폴리오의 핵심이 되는 미래를 가리킨다. 전통 시장에서 미국 국채가 차지하는 위치처럼 말이다. 이런 변화는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BTCFi로의 기관 자금 유입은 비트코인 보유자들에게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체인 전반의 유동성을 강화하고 더 많은 디파이 표준을 장려한다. 신뢰받고 생산적인 자본의 기반층으로 전체 암호화폐 경제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간단히 말해, BTCFi는 기관들에게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제공한다. 완벽한 자산으로서 비트코인의 신뢰성과 수익률 창출 기회를 함께 말이다. 이런 모멘텀이 계속된다면, 비트코인은 곧 탈중앙화 금융의 중심에 자리잡을 것이다.

 

4. 지금이 시점인 이유: BTCFi 약진을 이끄는 기술 스택

 

BTCFi는 더 이상 이론적 개념이 아니다. 세 가지 영역의 혁신 덕분에 실용적인 현실이 되고 있다. 비트코인 생태계의 기술적 업그레이드, 강화된 인프라가 뒷받침하는 시장 수요 증가, 규제 명확성이 지원하는 기관 관심 확대가 그것이다.

 

4.1. Taproot부터 BitVM까지

 

How the Taproot upgrade improves Bitcoin privacy and efficiency. Source: chaindebrief

 

최근 비트코인 프로토콜과 생태계 업그레이드가 더 복잡한 금융 애플리케이션의 문을 열었다.

2021년 탭루트(Taproot) 업그레이드는 비트코인의 프라이버시, 확장성,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효율성을 높여 "비트코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사용을 장려"하기까지 했다. 탭루트는 또한 비트코인 원장에서 토큰과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타로(Taro, 현재 탭루트 애셋) 같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BitVM explanation. Source: Bitcoin Illustrated

 

마찬가지로 BitVM 같은 개념은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 스타일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허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테스트넷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비트코인 네이티브 레이어 2 네트워크와 사이드체인의 등장이다.

스택스(Stacks), 루트스톡(Rootstock, RSK), 새로운 BOB 롤업 같은 플랫폼들이 비트코인 궤도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가져오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해시 파워로 보안을 확보하는 비트코인 레이어 2인 스택스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한다. sBTC를 통한 크로스체인 토큰화와 전송 증명(PoX) 스태킹을 통한 네이티브 BTC 수익률을 제공한다. 빌더와 기관 모두에게 비트코인을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생산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 다른 사례는 BOB(Build on Bitcoin)다. 최종성을 위해 비트코인을 앵커로 사용하는 EVM 호환 L2다. 비트VM을 활용해 비트코인 보안에 고정된 튜링 완전 컨트랙트를 구현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Merlin's current TVL is higher than many ETH L2s like ZkSync, Linea, and Scroll. Source: Merlin

 

한편 바빌론(Babylon) 프로토콜은 다른 체인을 보호하기 위한 비트코인 스테이킹을 도입했다. 이미 수만 개의 BTC를 유치했다. 2024년 말 바빌론은 57,000개 이상의 BTC(약 60억 달러)를 시스템에 스테이킹해 TVL 기준 최상위 디파이 프로토콜 중 하나가 됐다.

최대 TVL을 기록한 비트코인 L2인 멀린(Merlin)도 주목할 만하다. 출시 후 단 50일 만에 약 39억 달러에 도달하며 BTCFi 영역을 대폭 확장하고 있다.

이런 업그레이드와 새로운 레이어의 조합이 기존 장벽들을 해결했다. 비트코인이 이제 모듈러 방식으로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 크로스체인 이동을 지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4.2. 오디널스에서 BRC-20까지

 

2023 is the peak year of Ordinals and BRC-20 tokens. Source: Dune @dataalways

 

지난 2년간 비트코인의 더 표현력 있는 활용에 대한 명확한 수요가 드러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3년 오디널스(Ordinals)와 BRC-20 토큰의 폭발적 성장이었다. 사용자들이 satoshi에 자산과 NFT를 새기기 시작하면서 온체인 활동이 급증했다.

2023년 말까지 5,280만 개 이상의 오디널 인스크립션이 생성됐다. 2024년 말에는 약 6,970만 개까지 급증했다. 이와 함께 수억 달러의 수수료가 채굴자들에게 지급됐다. 2024년 3분기까지 6,900 BTC 이상의 수수료로 약 4억 5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런 열풍은 사용자들이 단순한 보유나 결제를 넘어 비트코인 블록 공간을 활용할 의향이 있음을 증명했다. 비트코인 기반 NFT, 토큰, 나아가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 모든 발전이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존재하지 않았던 인프라 스택을 형성했다. 비트코인 생태계는 이제 핵심 자산을 중심으로 한 완전한 디파이 스택을 지원할 준비가 됐다.

요약하면, 이 모든 촉매제들이 바로 지금 결합되면서 BTCFi 논리를 시의적절하게 만들고 있다. 비트코인 디파이는 더 이상 가설이 아니다. 필요한 요소들이 제자리를 찾았고 초기 버전들이 이미 운영 중이다. 앞으로 몇 년간 이런 트렌드의 가속화를 목격하게 될 것이다.

 

5. BTCFi 생태계 시나리오

 

BTCFi는 비트코인을 수동적인 가치 저장 수단에서 탈중앙화 금융 내에서 적극적으로 배치되는 금융 자산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1. 비트코인의 디파이 진입

 

BTCFi 생명주기는 일반적으로 BTC 보유자가 자신의 자산을 브릿지나 커스토디언에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중앙화, 연합형, 탈중앙화 방식 모두 가능하다. 원본 BTC가 잠기면 1:1 비율로 토큰화된 버전이 발행된다. 이렇게 래핑된 BTC가 자산 레이어에서 생태계에 진입해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파이 프로토콜과의 통합을 가능하게 만든다.

 

5.2. BTCFi 스택 탐색

 

토큰화가 완료되면 BTC는 구조화된 레이어를 통해 BTCFi 스택을 이동한다. 자산 수준에서 솔브 프로토콜(Solv Protocol)은 SolvBTC와 스테이킹 추상화 레이어(SAL)를 통해 BTC가 크로스체인, 수익률 창출 담보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구조화 상품과 자본 효율적 사용 사례를 촉진하는 것이다.

기관 채택은 메이플 파이낸스(Maple Finance)가 코어DAO(CoreDAO)와 파트너십으로 제공하는 lstBTC 같은 상품으로 지원된다. 이는 코어의 듀얼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활용한다. 비트레이어(Bitlayer)는 Peg-BTC가 스마트 컨트랙트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신뢰 최소화된 비트코인 네이티브 레이어 2 환경을 지원한다.

규제 측면에서는 IXS가 컴플라이언트 금융 구조를 통해 BTC 기반 실물 수익률을 제공한다. 동시에 보타닉스(Botanix) 같은 인프라 지향 프로젝트들이 EVM 호환성을 도입하고 BTC를 가스로 사용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가능하게 해 비트코인의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5.3. 담보와 스테이킹을 위한 BTC 활용

 

기반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BTC를 담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비트스마일리(bitSmiley)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해 수익률 창출이나 스테이블코인 기반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스테이킹 모델도 BTC 유틸리티를 확장하고 있다. 바빌론(Babylon) 같은 프로토콜은 네이티브 BTC가 지분 증명 네트워크 보안에 참여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한다.

 

5.4. 리스크 관리와 포지션 종료

 

이 전체 과정에서 BTC 보유자들은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적 익스포저를 유지하면서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나오는 수익률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런 포지션들은 되돌릴 수 있다. 사용자들은 포지션을 해제하고 래핑된 BTC를 상환해 레이어 1에서 원본 비트코인을 되찾을 수 있다. 발생한 수수료나 수익을 차감한 순액으로 말이다.

 

5.5. 프로토콜 인센티브와 수익 모델

 

이런 흐름의 기저에는 다양한 수익화 모델들이 있다. 대출 플랫폼은 개시 수수료와 이용 수수료로 수익을 얻으며, 차용자와 대출자 간 스프레드를 포착한다. DEX는 거래당 유동성 수수료를 부과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유동성 공급자와 프로토콜 재무부가 나눠 갖는다.

스테이킹과 브릿징 서비스는 얻은 보상에서 수수료를 가져가며, 가동시간과 네트워크 보안 유지에 대한 인센티브를 조정한다.

일부 프로토콜은 네이티브 토큰을 사용해 사용량을 보조하거나 활동을 부트스트랩하거나 재무부를 관리한다. 커스터디 상품들은 종종 전통적인 자산 관리 모델을 채택해 커스터디나 관리 중인 자산에 대해 연간 수수료(예: 0.4~0.5%)를 부과한다.

추가로 스프레드 포착은 덜 보이지만 의미 있는 수익원을 제공한다. 프로토콜들은 크로스체인 차익거래나 금리 차이와 베이시스 트레이드를 활용하는 구조화 수익률 전략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런 모델들은 BTCFi 프로토콜들이 유휴 비트코인을 활성화하면서 지속 가능한 수익 기반을 구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더 많은 BTC가 이 레이어드 시스템에 진입할수록 단순히 순환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작용해 수익률을 창출하고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평행 경제를 지원한다.

 

 


11,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 More from Tiger Research

 

이번 리서치와 관련된 더 많은 자료를 읽어보세요.

 

Disclaimer

 

이 보고서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그리고 적합성을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보증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본 보고서나 그 내용을 이용함에 따른 모든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결론과 권고사항, 예상, 추정, 전망, 목표, 의견 및 관점은 작성 당시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 및 타조직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거나 반대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 사업, 투자, 또는 세금에 관한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증권이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언급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투자 권고나 투자 자문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자료는 투자자나 잠재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타이거리서치 리포트 이용 안내

 

타이거리서치는 리포트의 공정 사용을 지지합니다. 이는 공익적 목적으로 콘텐츠를 인용하되 상업적 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넓은 사용을 허용하는 원칙입니다. 공정 사용 규칙에 따라, 리포트를 사전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타이거리서치 리포트를 인용 시에는 1) 출처로 '타이거리서치'를 분명히 밝히고, 2) 타이거리서치 로고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자료를 재구성하여 출판할 경우에는 별도의 협의가 요구됩니다. 사전 허가 없는 사용은 법적 조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9,291,049 (-0.58%)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127,275 (-1.41%)
XRP 로고 XRP (XRP)
4,216 (-2.22%)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350 (0.00%)
BNB 로고 BNB (BNB)
1,097,291 (-3.73%)
Solana 로고 Solana (SOL)
244,899 (-4.65%)
USDC 로고 USDC (USDC)
1,350 (+0.0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04.4 (-4.93%)
TRON 로고 TRON (TRX)
456.9 (+4.26%)
Cardano 로고 Cardano (ADA)
1,063 (-3.81%)
왼쪽
2025 7월  29(화)
오른쪽
진행기간 2025.07.28 (월) ~ 2025.07.29 (화)

42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07.25 (금) ~ 2025.07.26 (토)

41명 참여

정답 71%

오답 29%

진행기간 2025.07.24 (목) ~ 2025.07.25 (금)

42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07.23 (수) ~ 2025.07.24 (목)

37명 참여

정답 43%

오답 57%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