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2025 베트남 암호화폐 시장 분석: 2,100만 투자자 시장의 모든 것

본 보고서는 Tiger Research가 작성했으며, 2025 GM Vietnam 이벤트를 기념하여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의 선도적인 웹3 허브로 부상하는 과정을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바로 다운로드하기


 

Key Leaders Insights

 

 


Key Takeaways

 

  • 베트남의 젊은 세대는 기술 활용도가 높고 모바일을 우선시한다. 여기에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암호화폐 도입률까지 더해져 동남아시아 웹3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 베트남 정부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이 전환점을 맞았다. 기존 모호한 입장에서 벗어나 샌드박스와 라이선스 체계를 도입하고 있어, 2025-2026년 동남아 규제형 암호화폐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 베트남 암호화폐 시장은 개인투자자 중심으로 돌아간다. 거래량이 많고 P2P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기관투자자는 아직 참여가 저조하지만, 규제가 정비되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베트남엔 아직 자국 거래소가 없다. 하지만 규제 정비로 국내외 중앙화 거래소들이 공식 진출할 수 있게 되면서 시장 판도가 크게 바뀔 전망이다.

  • 베트남에서 펜들(Pendle), 카이버(Kyber) 같은 글로벌 디파이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현지 개발진의 혁신 능력을 보여주는 사례다. 다만 일반 사용자 교육과 신뢰 확산은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 정부 지원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베트남이 자체 웹3 인프라 구축에 본격 나서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 베트남 게임파이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과거 투기 열풍에서 벗어나 게임 품질과 지속가능한 플레이,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는 추세다.

  • 베트남 개발팀들은 월렛 개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기술력과 시장 대응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이제는 글로벌 대기업들과 신뢰성, 사용자 경험, 생태계 연동성으로 경쟁해야 한다.

  •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IT 인력이 가장 많다. 블록체인 교육이 체계화되면 지역 최고 수준의 웹3 개발자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다.

  • 베트남에선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곧 시장이다. 단순한 지지층이 아니라 실제 구매력을 가진 고객들이다. 성공하려면 광고비보다 커뮤니티 신뢰와 현지화, 지속적인 소통이 핵심이다.


 


 

1. 베트남의 경제 현황과 웹3 시장의 진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경제국 중 하나다. 젊고 모바일 중심적이며 기술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구 1억 100만 명에 중위연령이 33세 미만이고, 인터넷 보급률이 80%에 달해 신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 코로나19 이전 GDP 성장률이 연 6-7%로 지역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늘어나는 중산층이 전 산업 디지털화를 이끌고 있다.

베트남의 암호화폐 도입률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체이널리시스 등 업계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전 세계 암호화폐 도입률 순위에서 지속적으로 상위 5위 안에 든다. 기관 자금이 아닌 활발한 개인투자자층이 이를 이끌고 있다.

 

2024년 기준 약 2,120만 명의 베트남 성인이 암호화폐를 보유하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다. 연간 거래 규모는 1,000억 달러를 넘어서며, 개인 암호화폐 활동 부문에서 꾸준히 글로벌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도입률은 더 큰 디지털 트렌드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베트남 디지털 경제 규모는 2025년 4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모바일 우선 금융 서비스가 이를 견인하고 있다. 이런 디지털 기반 위에서 베트남의 높은 모바일 도입률과 대규모 인구가 글로벌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베트남의 웹3 여정은 2017-2018년 토모체인(TomoChain)과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 같은 초기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로 시작됐다.

하지만 진짜 변곡점은 2021년 스카이 마비스(Sky Mavis)가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와 전용 로닌(Ronin) 사이드체인을 출시하면서 왔다. 이후 P2E 열풍이 베트남을 글로벌 지도에 올려놓았고, 수백만 사용자를 끌어들이며 현지 생태계에 벤처캐피털 투자를 촉진했다.

그 이후 베트남은 사용자층뿐만 아니라 개발자층에서도 독특한 웹3 플레이어로 떠올랐다. 규제 명확성이 부족함에도 현지 팀들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디파이, 게임파이, 월렛, 인프라 프로젝트를 출시했다. 기술에 능숙한 인구, 탄탄한 경제 기초, 웹3 초기 성과가 합쳐져 베트남을 동남아시아 최고의 암호화폐 시장이자 도입 폭과 깊이를 모두 갖춘 몇 안 되는 시장으로 만들었다.

 

 

 


11,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2. 규제 환경과 정책 개발

 

 

베트남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은 전통적으로 신중한 접근을 해왔다. 암호화폐 보유와 거래는 허용하지만 법정화폐로 인정하지 않으며, 2017년부터 결제 수단 사용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규제 '회색지대'가 생겼다. 암호화폐 거래는 광범위하게 이뤄지지만 규제받지 않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입장이 이제 바뀌고 있다. 정부가 공식 감독 체계 구축에 나서기 시작했고, 2021년부터 규제 개발과 파일럿 사업의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업들에게는 단기적 도전이지만 장기적 기회를 만들고 있다. 샌드박스가 가동되고 라이선스 제도가 공식화될 때까지 기업들은 여전히 법적 애매함 속에서 운영해야 한다. 공식 라이선스도 없고 세금 규정도 불분명하며 불확실성이 남아있다.

하지만 일찍 참여해서 글로벌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따르고 규제당국과 협력하는 기업들은 정식 규제가 도입되면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세제는 라이선스 제도를 따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은 현재 암호화폐 세금 체계가 없지만, 기획재정부는 거래소가 합법화되면 양도소득세나 거래 기반 세금을 도입하겠다고 시사했다. P2P 거래로 인해 집행이 어려웠지만, 라이선스 거래소가 생기면 컴플라이언스 집행이 쉬워질 것이다.

정리하면, 베트남의 규제 전망이 소극적 제한에서 체계적 실험으로 바뀌고 있다. 2025-2026년이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파일럿 프로그램이 성공하면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의 규제형 암호화폐 허브로 떠오를 수 있다. 기업에게는 명확성을, 사용자에게는 보호를, 그러면서도 혁신은 지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3. 암호화폐 거래 현황

 

3.1. 개인투자자 vs 기관투자자 거래

 

글로벌 도입률 순위가 높음에도 베트남엔 아직 라이선스를 받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가 없다. 규제 불확실성 때문이다. 거래 활동은 거의 전적으로 개인투자자 중심이며, 대부분 글로벌 중앙화 거래소에서 이뤄진다.

약 1,700만 명의 베트남 사용자가 바이낸스(Binance), 바이비트(Bybit), MEXC, 빙엑스(BingX), HTX 같은 플랫폼에서 거래한다. 2023년 베트남 사용자들은 바이낸스에서 월간 거래량 기준 글로벌 4위를 기록했으며, 한 달에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곳 개인투자자들은 움직임이 빠르고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물, 선물, 마진 상품을 활발히 거래하며 단기 기회와 고수익 캠페인을 좇는 경우가 많다.

반면 베트남의 기관 활동은 거의 전무하다. 규제 애매함으로 은행, 자산운용사, 기업들이 시장에서 빠져있다. 라이선스를 받은 암호화폐 펀드나 ETF, 공식 투자상품이 현지에 없다.

그래도 기관 쪽 관심은 조용히 커지고 있다. 여러 기업이 더 명확한 법적 체계를 기다리면서 암호화폐 연계 상품을 연구하고 있다. 정식 규제가 도입되면 기관 참여로 더 많은 유동성과 전문적인 거래 인프라가 들어와 시장 판도가 바뀔 수 있다.

 

3.2. P2P 거래

 

베트남 사용자들은 라이선스를 받은 거래소나 법정화폐 연결 서비스가 없어 현지 은행 계좌로 암호화폐를 직접 거래할 수 없다. 그래서 P2P 거래가 필수 인프라가 됐다. 바이낸스(Binance) P2P 같은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이 현지 은행 이체로 베트남 동화를 써서 스테이블코인을 사고판다.

 

이런 플랫폼들은 에스크로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백 명의 검증된 상인들을 보유하고 있다. 절차가 빠르고 널리 신뢰받으며, 바이낸스, 바이비트(Bybit), OKX 같은 주요 거래소들이 베트남 맞춤형 P2P 기능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대형 투자자들도 직접 P2P 채널을 운영한다. 이런 거래자들은 종종 그룹 채팅이나 개인 거래를 통해 같은 P2P 시스템을 이용해 큰 규모 거래를 한다. 일부는 다른 P2P 참여자들에게 유동성을 공급하기도 한다.

위험요소도 여전히 있다. 비공식 거래 그룹에서 사기가 문제가 되고, 일부 은행들이 암호화폐 이체나 자금세탁과 연결된 계좌에 제재를 가하거나 동결시켰다. 이에 당국도 대규모 법정화폐-스테이블코인 흐름을 더 면밀히 추적하기 시작했다.

라이선스를 받은 거래소가 생기면 이런 마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규제가 나와도 P2P는 베트남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오고 나가는 핵심 채널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리포트 바로 다운로드하기


 

4. 부문별 심층 분석: 베트남의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생태계

 

베트남의 암호화폐 생태계는 폭넓고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현지 플레이어들이 가치사슬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레이어1 인프라와 디파이 프로토콜부터 게임파이, 월렛까지 베트남 개발자들은 단순히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들어가고 있다.

이 섹션에서는 베트남 팀들이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는 핵심 부문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현지 맥락과 글로벌 중요성을 모두 다룬다.

 

4.1. 중앙화 거래소

베트남은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현지 중앙화 거래소(CEX)가 없다. 그래서 CEX 시장이 글로벌 플랫폼에 완전히 장악되어 있다. 코인스토어(Coinstore) 같은 신규 플레이어들도 시장에 진입했지만, 기존 사용자 충성도와 경쟁 때문에 이 분야 진출은 여전히 어렵다.

Binance P2P interface in Vietnamese, using Vietnamese Dong (VND) as the transaction currency. Source: Binance

 

바이낸스(Binance), 바이비트(Bybit), MEXC, 빙엑스(BingX), 비트겟(Bitget), HTX가 시장을 이끌고 있다. 이들 거래소는 현지화 전략으로 베트남에서 입지를 다졌다. 베트남어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고, VND 기반 P2P 거래를 구축하고, 현지 팀을 고용하고, 이벤트를 후원하고, 베트남 사용자 맞춤 마케팅을 진행했다.

선물과 현물 상품이 특히 인기가 높다. 베트남 사용자들은 이런 플랫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한 사용자층 중 하나다.

앞으로 두 가지 변화가 베트남 거래소 시장을 바꿀 수 있다. 첫째는 현지 베트남인이 완전히 운영하는 거래소의 등장이다. 규제 애매함 때문에 시장에 없었던 부분이다. 자국 CEX가 생기면 현지 니즈에 더 밀착하고, 국내 결제 시스템과 더 깊이 연동하고, 장기적인 브랜드 신뢰를 쌓을 수 있다.

Ben Zhou, CEO of Bybit & Nguyen Van Thang, Minister of Finance of Vietnam. Source: Bybit

 

둘째, 규제 환경이 바뀌고 있다. 2025년 3월 기획재정부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샌드박스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이게 시행되면 해외와 현지 플랫폼 모두 공식 체계 하에서 합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OKX, 빙엑스, 바이비트 같은 거래소들이 이런 변화에 주목하며 준비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들이 합쳐지면 베트남 거래소 시장이 회색지대에서 더 규제되고 성숙한 생태계로 바뀔 수 있다. 글로벌 플랫폼과 현지 혁신을 모두 지원하는 환경 말이다.

 

4.2. 탈중앙화 금융(DeFi)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한 디파이 사용자 시장 중 하나다. 대부분의 활동이 글로벌 디파이 플랫폼에서 고수익 기회를 찾는 대규모 개인투자자층에서 나온다.

베트남에서 몇 개의 뛰어난 프로젝트가 나왔다. 예를 들어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는 2017년 베트남 엔지니어들이 공동 창립한 세계 최초 주요 디파이 프로토콜 중 하나다. 이들이더리움 초기 디파이 생태계에서 기초적인 역할을 했다.

최근 사례로는 베트남 개발자가 공동 창립한 펜들 파이낸스(Pendle Finance)가 있다. 펜들은 토큰화된 수익률의 2차 시장을 만들어 사용자들이 자산의 미래 수익률을 거래할 수 있게 했다. 이 프로토콜은 2024년 TVL 2억 5,000만 달러를 넘어섰고 현재 디파이에서 가장 혁신적인 고정 수익 플랫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런 성공들은 베트남이 글로벌 수준의 프로토콜을 구축할 역량이 있음을 보여준다. 카이버와 펜들 같은 프로젝트는 베트남 개발자들이 현지 시장을 넘어서 장기적 혁신에 집중할 때 무엇이 가능한지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사례들은 여전히 예외다. 시장에는 단기 프로젝트나 슬로우 러그풀이 너무 많아서 현지와 해외 모두에서 신뢰가 떨어졌다. 이런 맥락에서 진지한 개발자들의 성공은 드물지만 중요한 신호를 준다. 비전이 올바르면 베트남이 글로벌 경쟁력 있는 디파이 인프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 측면에서 베트남은 활발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개인투자자층으로 알려져 있지만, 디파이를 깊이 이해하고 다루는 사용자 수는 상대적으로 적다. 고급 디파이 전략이나 복잡한 프로토콜 메커니즘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장벽이다. 하지만 핵심 동기인 고위험 고수익 추구와 끊임없는 수익 창출 의지가 베트남을 디파이 성장에 이상적인 시장으로 만든다.

모든 웹3 분야 중에서 디파이는 자체 프로토콜과 적극 참여하는 사용자층 모두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베트남의 존재감을 높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잠재력을 가진 부문이다.

 

4.3. 인프라 및 레이어1

베트남의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은 초기 글로벌 주목을 받은 기술적으로 탄탄한 레이어1 프로젝트들을 배출했다. 하지만 지속적인 개발자 생태계를 유지하거나 대규모 장기 사용을 이끌어낸 경우는 많지 않다.

초기에는 토모체인(TomoChain)과 카르디아체인(KardiaChain) 같은 프로젝트들이 베트남의 첫 레이어1 개발 진출을 알렸다. 이런 네트워크들은 기술적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기초 노하우를 쌓았지만, 도입률은 미미했고 이후 더 새롭고 전문화된 프로젝트들에 밀렸다. 토모체인은 빅션(Viction)으로 리브랜딩했지만 생태계는 여전히 조용하다.

베트남의 레이어1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는 스카이 마비스(Sky Mavis)가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한 로닌 네트워크(Ronin Network)다. 로닌은 수백만 건의 일일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고처리량 이더리움 사이드체인으로 설계되어, 베트남 팀들이 글로벌 규모의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원래는 게임 중심이었지만, 로닌은 웹3 생태계에서 널리 인정받는 독립형 L1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5년 초 대전환이 일어났다. 베트남 대표 테크 대기업인 원마운트 그룹(One Mount Group)이 국가 레이어1 블록체인 구축에 2억-5억 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이 체인은 디지털 신원, 금융 인프라, 공급망 관리 같은 실제 사용 사례를 위해 설계되고 있다. 외부 프로토콜에 의존하기보다는 국내에서 핵심 블록체인 인프라를 소유하고 통제하려는 베트남 기업 부문의 전략적 움직임을 반영한다.

One Mount Group’s CEO Nguyen Thi Diu (centre) receives a commemorative medal from Party General Secretary To Lam

 

디핀(DePIN)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프로젝트는 베트남 팀이 개발한 DAG 기반 레이어1인 U2U 체인(U2U Chain)이다.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DAG(방향성 비순환 그래프)는 거래를 단일 체인이 아닌 그래프 구조로 구성해 더 높은 처리량과 확장성을 가능하게 한다.

2024년 11월 U2U 네트워크는 펀딩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감하며 쿠코인 벤처스(KuCoin Ventures), 체인 캐피털(Chain Capital), JDI 벤처스(JDI Ventures) 등 유명 투자자들로부터 총 1,380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 중요한 자금 조달로 U2U 네트워크가 디핀 종합 솔루션 제공이라는 미션을 더욱 추진하게 됐다.

결론적으로 베트남이 로닌을 넘어서는 지배적인 범용 레이어1을 아직 만들어내지는 못했지만, 이 나라 사용자들은 이미 이더리움, 솔라나, 수이 같은 주요 생태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는 신규 레이어1들이 의미 있는 견인력을 얻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초기 사용자들에게 제한적인 금전적 이익이나 토큰 인센티브만 있을 때는 더욱 그렇다.

게다가 베트남 최초의 국가 지원 레이어1이 현재 개발 중이어서, 신뢰할 만하고 목적에 맞게 구축된 베트남 블록체인 플랫폼이 나올 수 있다는 새로운 희망이 생겼다. 국가의 디지털 전환 의제에 부합하고 진정한 국내 도입 잠재력을 가진 플랫폼 말이다.

 

4.4. 게임파이(GameFi)

게임파이는 베트남이 지금까지 만들어낸 가장 눈에 띄는 웹3 성공 스토리지만, 동시에 가장 포화되고 도전적인 분야 중 하나가 됐다.

2021년 플레이투언 열풍이 베트남을 글로벌 지도에 올려놓았다.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가 최고점에서 일일 사용자 280만 명을 넘어서며, 베트남 팀들이 글로벌 규모의 제품과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액시의 성공은 대형 VC 자금을 끌어들였고 전 세계 웹3 게이밍의 선례를 만들었다.

베트남 VC들이 게임파이 붐에서 핵심 역할을 했고 최고점과 최저점을 모두 경험했다. 많은 현지 펀드들이 테탄 아레나(Thetan Arena) 같은 프로젝트에 초기 투자해서 큰 수익을 올리며 신뢰도와 자본을 쌓았다.

하지만 그 성공 이후 공간이 빠르게 저품질 단기 게임파이 프로젝트들로 넘쳐났다. 많은 프로젝트가 토큰 상장과 출구만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베트남에서 수십 개의 모방 게임들이 출시됐는데, 게임플레이는 약하고 토큰 모델은 지속 불가능하며 출시 후 개발은 거의 없거나 아예 없었다.

VC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같은 VC들 중 일부가 부실 프로젝트 투자로 손실을 봤다. 이는 현지 사용자와 해외 투자자 모두에게 "베트남 웹3 게임"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문제를 만들었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사이퍼(Sipher)와 히어로즈 오브 마비아(Heroes of Mavia) 같은 후발 프로젝트들이 더 높은 품질의 게임 디자인과 장기 전략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동시에 에인션트8(Ancient8) 같은 기존 길드들이 인프라 구축사로 전환하며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롤업 스택과 개발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길드에서 인프라로" 움직임은 성숙한 사고방식을 반영한다. 지난 세대를 쫓기보다는 차세대 게임파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게임파이 하락 추세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개인투자자층의 게이밍 잠재력은 여전히 강하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고 적극적인 게이밍 커뮤니티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에서 그렇다.

오늘날 베트남 게임파이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과 개발자들에게는 기준이 상당히 높아졌다. 게임파이 과대광고와 환멸의 완전한 사이클을 겪은 후, 베트남 사용자들은 기준을 크게 높였다. 게임플레이 경험과 금융 모델을 더 꼼꼼히 살펴보게 되어 저품질 단기 제품이 들어설 여지가 거의 없다. 시장이 투기적 흥분에서 더 안목 있고 가치 중심적인 사고방식으로 바뀌었다. 재미있는 게임과 지속 가능한 경제 모두를 요구한다.

 

4.5. 지갑

웹3 지갑은 베트남 팀들이 지속적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출시해온 몇 안 되는 웹3 제품 카테고리 중 하나다.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코인98 웹3 지갑(Coin98 Wallet)서브월렛(SubWallet), 홀드스테이션(Holdstation)이 있으며, 각각 베트남 지갑 구축 씬 내에서 다른 전략을 보여준다. 코인98은 지갑 기능을 광범위한 디파이 도구 모음과 결합한 멀티체인 슈퍼 앱으로 성장했다. 서브월렛은 생태계 중심 접근법을 취해 폴카닷(Polkadot) 전용으로 구축하며 개발자와 사용자들 사이에서 틈새시장을 개척했다. 홀드스테이션은 한편 zkSync나 베라체인(Berachain) 같은 신흥 체인의 "더 나은 메타마스크"로 자리매김하며, 온체인 파생상품과 매끄러운 사용자 경험에 집중해 초기 모멘텀을 얻었다.

베트남의 웹3 지갑 구축 열정은 현지 개발자 사고방식의 두 가지 핵심 특징을 반영한다. 1) 초기 인프라 공백을 포착하는 속도와 2) 배포 우선 제품에 대한 강한 직감이다. 웹3 지갑은 사용자와 생태계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점 역할을 해서, 규모와 도입에 집중하는 팀들에게 자연스러운 선택이다. 베트남 개발자들은 지속적으로 빠르게 움직여왔고, 베라체인이나 zkSync 같은 신흥 생태계에서 널리 인기를 얻기 전에 지갑이나 연동 서비스를 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선점 효과는 기술적 민첩성과 사용자 확보가 생태계 관련성을 이끈다는 깊은 이해를 모두 반영한다.

그렇긴 하지만 베트남 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메타마스크(MetaMask)와 래비(Rabby) 같은 글로벌 지갑이 EVM 공간을 장악하고, 팬텀(Phantom)이 솔라나를 이끌며, OKX 웹3 지갑, 바이낸스 웹3 지갑, 바이비트 웹3 지갑 같은 CEX 지원 지갑들이 거래소 네이티브 사용자 유입경로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여기서 웹3 지갑 시장은 사용자 경험뿐만 아니라 신뢰성, 기능 완성도, 생태계 연동에서도 경쟁한다.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웹3 지갑은 베트남의 가장 강력한 웹3 제품 카테고리 중 하나로 남아있다. 현지 팀들이 어떻게 초기 내러티브를 파악하고 빠른 속도로 그 주변에 구축하는지 보여주는 명확한 사례다. 하지만 이 카테고리의 특성상 취약함이 남아있다. 단일 생태계에 너무 밀착한 웹3 지갑들은 그 생태계가 관련성을 잃으면 침체되거나 쇠퇴할 위험이 있다.

 

4.6. 개발자 생태계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기술 인재 풀을 보유하고 있다. 56만 명 이상의 IT 전문가와 매년 5만-6만 명의 신규 졸업생이 있다. 개발자 대부분이 35세 미만으로 젊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블록체인 같은 신기술에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 대학에서 정식 블록체인 교육이 없음에도 많은 베트남 개발자들이 자기주도학습과 커뮤니티 지원을 통해 숙련도를 높였다. 유튜브, 깃허브, 현지 부트캠프가 이런 공백을 메웠다.

Vietnam has a quality workforce of developers. Source: Topdev

 

RMIT 베트남이 블록체인 관련 선택 과목을 제공하지만, 전반적으로 더 많은 기술 교육이 필요하다. 풀뿌리 이니셔티브인 VBI 아카데미(VBI Academy)가 현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를 양성하는 무료 실습 블록체인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였다.

개발자들은 오픈 길드(Open Guild, 폴카닷), 솔라나 슈퍼팀(SolanaSuperteam, 솔라나) 같은 커뮤니티 허브나 밋업, 해커톤 이벤트에서 찾을 수 있다. 현지 페이스북 그룹과 디스코드 서버도 개발자와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베트남 개발자들은 웹3 전 영역의 프로토콜에 기여해왔고, 여러 분야에서 성과를 보면서 현지 인재의 품질에 대한 의문은 거의 없다. 부족한 것은 더 탄탄한 교육 기반이다. 적절한 훈련과 체계적인 프로그램만 있다면 베트남의 개발자 기반이 지역 최고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다.

정부가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면서 생태계가 장기적인 개발자 성장에 더 유리해지고 있다. 베트남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축하는 지역 허브가 될 좋은 위치에 있다.

 

5. 커뮤니티 현황

 

베트남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단순한 관객이 아니라 엔진이다. 이 커뮤니티는 제품이 견인력을 얻고, 내러티브가 퍼지고, 평판이 구축되는 방식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베트남의 웹3 성장은 기관이 주도한 적이 없다. 모두 리테일에서 시작됐다. 카이로스 벤처스(Kyros Ventures)에 따르면 베트남 암호화폐 보유자의 76%가 추천에 기반해 결정을 내린다. 주로 텔레그램 그룹, 트위터 스레드, 친구와의 대화에서 나온다.

신뢰는 커뮤니티 증명에서 나오지 프로젝트 스스로의 자격증명에서 나오지 않는다. 프로젝트들은 시장에서 돈으로 자리를 사는 게 아니라 노력으로 얻어야 한다. 커뮤니티 지원이 강력한 초기 모멘텀을 만들 수 있지만, 일단 정서가 바뀌면 아무리 많은 유료 홍보로도 되돌릴 수 없다. 베트남에서는 당신을 지지했던 같은 편들이 당신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이런 영향력은 투기와 초기 단계 기회에 대한 문화적 성향에서 나온다. 베트남 사용자들은 적극적이고 민첩하며 빠르게 움직이려 한다. 수익이 주요 동기지만 인정, 평판, 일찍 참여했다는 집단적 흥분도 마찬가지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개인투자자 중심인 암호화폐 커뮤니티 중 하나를 만들었다.

베트남의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4가지 핵심 유형으로 조직되는 경향이 있다:

  • 거래 중심 그룹, 특히 현물과 선물 거래. (예: TCCL, Margin ATM, Pho Tai Chinh)

  • 에어드랍 사냥 그룹, 새 캠페인을 모니터링하고 에어드랍 전략을 조율. (예: HC Gem Alerts, Airdrop Hidden Gems)

  • 뉴스와 교육 중심 그룹, 업데이트를 큐레이션하고 리서치를 공유하며 복잡한 아이디어를 설명. (예: Upside, 5 Phut Crypto, Coin68, ThuanCapital, Bigcoin)

  • 올라운더 커뮤니티, 위의 모든 것을 결합하며 종종 개인투자자들이 이 분야에 진입할 때 주요 접점 역할. (예: HC Capital, Tradecoinvietnam, Nghien Crypto)

텔레그램이 이 생태계의 심장부다. 여기서 정서가 바뀌고 트렌드가 떨어지며 새 프로젝트들이 성공하거나 묻힌다. 하지만 텔레그램이 전국적으로 차단되면서 이런 의존성이 부각됐다. 대부분 사용자들이 VPN과 프록시를 통해 빠르게 활동을 재개했지만, 이 혼란은 단일 플랫폼 의존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그 기간 동안 일부 그룹들이 대안으로 디스코드로 확장하기 시작했다.

트위터(X)는 한때 보조 플랫폼이었지만 이제 입지를 넓히고 있다. 특히 수익 창출 도구들이 더 많은 현지 KOL들을 공개 인물로 만들도록 밀어붙이면서다. 하지만 여기서 영향력은 계층적이고 비공식적이다. 관계가 중요하고, 피상적인 KOL 캠페인은 커뮤니티 맥락 없이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 홍보만으로는 안 되고 신뢰는 얻고, 유지하고, 지켜야 한다.

베트남의 일상적인 암호화폐 생활에서는 두 가지 행동이 지배적이다: 에어드랍과 거래. 많은 사람들이 에어드랍 참여를 체계적인 루틴으로 다룬다. 새 캠페인을 추적하고, 전략을 공유하고, 여러 지갑에 걸쳐 참여를 조율한다. 동시에 선물과 CEX 거래가 지속적인 논의를 이끌며,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변동성과 보상을 추구한다. 시장의 큰 부분에게 이런 활동들이 계속 참여하는 이유다. 베트남의 높은 위험 선호도, 속도, 비대칭적 상승에 대한 갈망을 반영한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성숙해지고 있다. 과거 불장 사이클이 승자와 혹독한 교훈을 모두 만들어냈다. 오늘날의 사용자들은 더 안목이 있다. 과대광고에 회의적이고, 위험 신호를 빠르게 감지하며, 프로젝트 펀더멘털에 점점 더 집중한다. 많은 KOL들이 적응해서 맹목적 홍보에서 교육, 실사, 지속 가능한 참여를 우선시하는 콘텐츠로 바뀌었다.

베트남에 진출하는 글로벌 프로젝트들에게 중요한 것은 커뮤니티가 마케팅 수단이 아니라 시장 자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개발자들은 메시지를 현지화하고, 네이티브 채널에 나타나고, 베트남어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피상적인 접근으로는 안 된다. 장기적 신뢰에 투자하고, 진짜 가치를 보여주고, 관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들이 사용자뿐만 아니라 파트너를 찾을 것이다.

 


11,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 More from Tiger Research

 

이번 리서치와 관련된 더 많은 자료를 읽어보세요.

 

Disclaimer

 

이 보고서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그리고 적합성을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보증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본 보고서나 그 내용을 이용함에 따른 모든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결론과 권고사항, 예상, 추정, 전망, 목표, 의견 및 관점은 작성 당시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 및 타조직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거나 반대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 사업, 투자, 또는 세금에 관한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증권이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언급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투자 권고나 투자 자문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자료는 투자자나 잠재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타이거리서치 리포트 이용 안내

 

타이거리서치는 리포트의 공정 사용을 지지합니다. 이는 공익적 목적으로 콘텐츠를 인용하되 상업적 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넓은 사용을 허용하는 원칙입니다. 공정 사용 규칙에 따라, 리포트를 사전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타이거리서치 리포트를 인용 시에는 1) 출처로 '타이거리서치'를 분명히 밝히고, 2) 타이거리서치 로고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자료를 재구성하여 출판할 경우에는 별도의 협의가 요구됩니다. 사전 허가 없는 사용은 법적 조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64,399,340 (+0.53%)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277,344 (+0.73%)
XRP 로고 XRP (XRP)
4,319 (+0.87%)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388 (-0.02%)
BNB 로고 BNB (BNB)
1,105,396 (+1.47%)
Solana 로고 Solana (SOL)
246,416 (-0.32%)
USDC 로고 USDC (USDC)
1,388 (0.0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03.1 (+0.33%)
TRON 로고 TRON (TRX)
455.1 (+0.79%)
Cardano 로고 Cardano (ADA)
1,063 (+0.49%)
왼쪽
2025 7월  31(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07.31 (목) ~ 2025.08.01 (금)

28명 참여

정답 93%

오답 7%

진행기간 2025.07.30 (수) ~ 2025.07.31 (목)

42명 참여

정답 57%

오답 43%

진행기간 2025.07.28 (월) ~ 2025.07.29 (화)

42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07.25 (금) ~ 2025.07.26 (토)

41명 참여

정답 71%

오답 29%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