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 '푸사카' 업그레이드, 세폴리아 테스트넷 적용 완료…확장성 돌파구 될까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이더리움의 차세대 업그레이드 푸사카가 세폴리아 테스트넷에 성공적으로 적용돼 처리 성능과 데이터 가용성 확보 가능성이 검증됐다. 블록 가스 한도 확장과 PeerDAS 기법은 네트워크 확장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더리움 '푸사카' 업그레이드, 세폴리아 테스트넷 적용 완료…확장성 돌파구 될까 / TokenPost.ai

이더리움 '푸사카' 업그레이드, 세폴리아 테스트넷 적용 완료…확장성 돌파구 될까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의 차세대 업그레이드 ‘푸사카(Fusaka)’가 세폴리아(Sepolia) 테스트넷에 성공적으로 적용됐다. 지난 10월 1일 홀스키(Holesky) 테스트넷에서의 첫 번째 단계를 거친 후 이뤄진 이번 업그레이드는 총 3단계 중 두 번째 단계로, 향후 후디(Hoodi) 테스트넷과 본 네트워크 적용을 앞두고 있는 핵심 과정이다. 이번 업데이트는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처리 성능 강화를 위한 기술적 이정표로 평가된다.

세폴리아 테스트넷에 도입된 이번 단계에서는 특히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블록 가스 한도를 6천만으로 확장하고, 동시에 새로운 데이터 가용성 시스템을 실전 환경에서 점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과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능력을 확대하면서도, 전체 노드 네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이를 감당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조치다.

컨센시스(Consensys) 소속 베수(Besu) 클라이언트의 프로토콜 엔지니어로 이번 업그레이드에 참여한 가브리엘 트린티날리아(Gabriel Trintinalia)는 “현재의 노드 구성과 네트워크 인프라가 6천만 가스 블록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팀들이 강력한 엔지니어링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블록 크기의 증가로 인해 노드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게 되면서, 새로운 피어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PeerDAS) 기법도 병행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블록 생성자들이 전체 데이터를 내려받는 대신, 여러 노드(peer)로부터 일부 조각만 무작위로 샘플링해 검증함으로써 속도와 확장성을 높이며 탈중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동일 회사의 또 다른 클라이언트인 테쿠(Teku) 소속 프로토콜 엔지니어 폴 해리스(Paul Harris)는 “PeerDAS를 통해 검증자들이 더는 전체 데이터를 보관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노드 운영에 드는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푸사카는 기존 한계를 넘는 확장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전환점”이라고 덧붙였다.

푸사카 업그레이드는 올해 상반기에 있었던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의 뒤를 잇는 대형 업데이트다. 이더리움재단은 지난 9월 26일 푸사카 테스트넷 일정을 공개하면서, 오는 10월 28일 마지막 테스트넷인 후디에서의 적용을 예고한 바 있다. 본격적인 메인넷 적용은 12월로 계획돼 있다.

이더리움은 지난 2015년 7월 메인넷을 출범한 이후 수차례의 구조적 업그레이드를 단행해 왔다. 가장 최근인 지난 5월 7일에는 펙트라 업그레이드가 적용됐다. 펙트라는 외부 소유 계정이 스마트컨트랙트처럼 작동하며 가스 요금을 ETH 외 토큰으로도 지불 가능하도록 하고, 검증자 스테이킹 한도를 기존 32 ETH에서 2,048 ETH로 대폭 상향한 것이 핵심 내용이다. 아울러 블록당 허용되는 데이터 블롭(data blob) 수도 확대됐다.

이보다 앞서 3월 13일에는 덴쿤(Dencun) 업그레이드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적용돼 가스 요금이 최대 95%까지 절감되는 효과를 냈다. 덴쿤은 프로토-덴크샤딩(proto-danksharding)이라는 새로운 구조를 기반으로 레이어2 확장 전략을 지원한다.

푸사카는 덴쿤과 펙트라를 잇는 다음 세대의 대형 기술 업그레이드로서,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성능 향상이라는 최대 과제를 정면으로 겨냥한 기술적 진화로 평가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더리움이 향후 수년 간 네트워크 경쟁력을 유지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광란의셔터

07:23

등급

릴라당

05:01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10.15 05:01: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