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하락 가능성이 적다고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이번 하락에 하드페깅을 통해 디파이쪽이 크게 박살나지않았다는거임
-> 상대적으로..과거 코로나, 관세, 루나, FTX 대비
시장이 크게 가라앉게 된 주요 이유 중 하나인 ADL 메커니즘 작동이 있지만 디파이쪽에서 연쇄청산이 과거 폭락 대비 크게 이슈화되지않다는 점..
코인같이투자
어제 다행이라 여겨지기도 했지만, 나중에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점은 렌딩디앱들의 스테이블코인류 하드페깅이 아닐까 싶은데 이거때문에 루핑돌린 예치자들은 지옥을 면했지만, 플랫폼 입장에선 이 점을 이용당하기도 함.
근데 만약 제가 청산리스크가 생겨서 담보금 채우려고 해당 자금을 스테이블로 돌리려고 해보니 유동성이 좋지 않는 상황에 직면함. 프로젝트는 나중에 1:1 상환 열리면 해라가 기조라 그때까지 완벽한 유동성의 회수가 쉽지 않아짐. (GAIB은 곧 열리는 메인넷 이후 1:1 리딤이 가능함)
실제 GAIB와 같은 예치작 프로젝트들 역시 하드페깅으로 인해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분석 有
또한 주요 예치작 중 하나인 GAIB는 곧 열리는 메인넷 이후 1:1 리딤이 가능해지면서 또 다시 폭락이 올때 한번 더 견뎌낼 수 있는 생명 1코가 늘어날거라 생각하는데 다른 디파이 프로젝트도 한번 더 살아남을 수 있을까?
-> 그건 좀 의문임
그리고 gaib의 경우 곧 상장할거같은 스탠스를 보여주고 있음
-> 티커 공개, 재단 설립 등
결국 이번 폭락의 승리자는 Aave(청산 방지), Hyperliquid(가동 유지), Ethena(페그 유지)
패배자는 소매 트레이더, 과도한 레버리지 거래소, 유동성 부족 메이커로 정리해볼 수 있음
또한 이번 하락은 미-중 갈등 단일 이슈로 금일 중국 상무부에서 완화적인 입장을 발표한 바 있어 추가적인 급락은 없을거라 생각함
댓글 2개
1mini
2025.10.12 22:10:10
ㄱ ㅅ ㅇ
낙뢰도
2025.10.12 21:02:37
^^
2025.10.12 17:4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