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센티언트, 오픈소스 AI 생태계 '더 그리드' 공식 출시…블록체인·보상 시스템 연동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센티언트 파운데이션이 AI 수익화 플랫폼 '더 그리드'를 출시하고, 오픈소스 AI 생태계 확장을 선언했다. 해당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보상 시스템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통합해 자율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센티언트, 오픈소스 AI 생태계 '더 그리드' 공식 출시…블록체인·보상 시스템 연동 / TokenPost.ai

센티언트, 오픈소스 AI 생태계 '더 그리드' 공식 출시…블록체인·보상 시스템 연동 / TokenPost.ai

오픈소스 기반 인공지능 플랫폼 ‘센티언트 파운데이션(Sentient Foundation)’이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연결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더 그리드(The GRID)’를 공식 출시했다. 센티언트 측은 이 플랫폼이 기존 오픈AI나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의 폐쇄적 마켓플레이스와 달리 개발자 중심, 개방형 구조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밝혔다.

이번 출시와 함께 더 그리드는 40개 이상의 특화 AI 에이전트, 50개 이상의 데이터 소스, 그리고 10여 개의 AI 모델을 갖춘 채 가동에 들어갔다. 대표적인 에이전트로는 생성형 그래픽 엔진 ‘Napkin’과 빠르게 성장 중인 검색 스타트업 ‘Exa’ 등이 있으며, 베이스(Base), BNB, 폴리곤(Polygon), 셀로(Celo) 등 다수의 블록체인 환경에 걸쳐 연결된 에이전트들도 포함돼 있다.

더 그리드는 단순한 명령 수행에 그치지 않는 범용 에이전트 간 조합 수행 기능인 ‘컴포저빌리티(조합성)’를 핵심 기능으로 내세운다. 이용자들은 '센티언트 챗(Sentient Chat)'이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캘린더 예약, 코드 생성, 지갑 데이터 시각화, 검색 결과 종합 등 실제 업무 수행이 가능한 다수의 에이전트들을 자유롭게 탐색하고 연동할 수 있다.

센티언트의 공동 창업자 히만수 타이아기(Himanshu Tyagi)는 “더 그리드는 세계 최대의 오픈소스 인공지능 집합체이자 이를 확장 가능한 경제 구조 안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인프라”라며 “단순한 AI 앱 생태계를 넘어, 오픈소스 AI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기술적 토대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개발자들은 자신만의 에이전트나 모델, 툴을 연결해 구축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기반의 보상 시스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센티언트는 이를 위해 스테이킹 기반의 보상 메커니즘을 도입, 사용자가 신뢰하는 에이전트나 데이터 소스에 대한 투표와 상호작용을 통해 해당 요소들이 더욱 부각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더 그리드는 모델, 데이터셋, 컴퓨팅 리소스 등 다양한 AI 아티팩트를 연동하고 자율적으로 수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전체 생태계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단순히 AI 기술 구현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참여와 선택에 따라 자율적 운용이 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센티언트는 더 그리드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커뮤니티 가치에 맞춰 훈련된 충성형 AI 모델 ‘도비(Dobby)’, 고성능 검색 프레임워크 ‘오픈 딥 서치(Open Deep Search)’, 고차원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리커시브 메타 에이전트(Recursive Meta-Agent)’ 등을 이미 개발해 연동하고 있다. 아울러 분산형 훈련과 모델 지문 추적, 보안 기능까지 갖춘 범용 훈련 파이프라인도 구축했다는 설명이다.

타이아기는 “일부 폐쇄형 연구소들이 범용인공지능(AGI)을 자신들만의 기술로 잠그려 하고 있다”며 “더 그리드는 그 흐름을 뒤집고, 글로벌 커뮤니티가 함께 소유하며 개방된 방식으로 지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플랫폼”이라고 밝혔다.

센티언트 파운데이션은 지난해 7월 피터 틸의 파운더스 펀드(Founders Fund)를 포함해 판테라 캐피털, 프레임워크 벤처스, 로봇 벤처스, 해시키 캐피털, 델파이 벤처스 등 주요 투자사로부터 총 8,500만 달러(약 1,224억 원)의 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스타제이

06:59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