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기업 집중 매입에 '1971년 금 국유화' 시나리오 우려 확산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기업들의 대량 BTC 보유가 미국의 자산 통제 가능성을 키운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분석가 윌리 우는 비트코인의 중앙집중화가 1971년 금 국유화와 유사한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트코인(BTC), 기업 집중 매입에 '1971년 금 국유화' 시나리오 우려 확산 / TokenPost.ai

비트코인(BTC), 기업 집중 매입에 '1971년 금 국유화' 시나리오 우려 확산 / TokenPost.ai

비트코인(BTC)의 기업 채택이 급증하면서, 일각에서는 이를 1971년 금의 국유화 경로와 유사하다고 보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는 최근 “기업들의 BTC 대량 보유는 비트코인을 새로운 ‘포트 녹스’로 만들 수 있다”며, 이 같은 움직임이 미국 정부의 국유화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업이 보유한 비트코인 및 다른 암호화폐의 총 규모는 1,000억 달러(약 139조 원)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비트코인만 해도 약 791,662 BTC로, 이는 현재 시세 기준 약 950억 달러(약 132조 5,500억 원) 수준이며 전체 유통량의 3.98%에 해당한다. 여기에 이더리움(ETH) 등을 포함한 기타 암호화폐 보유량이 더해지면서, 기업의 디지털 자산 보유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우는 최근 라트비아 리가에서 열린 '발트 허니배저 2025' 행사 패널 토론에서 “달러의 구조적 약세와 중국의 국제 위상 부상이라는 변수 속에서, 미국이 과거처럼 기업 보유 자산을 집중 매입하거나 통제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며 “그 행위가 곧 디지털 금융 시대의 ‘1971년’을 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971년 미국은 더 이상 달러를 금으로 교환하지 않는 금태환 중단 조치를 발표하며, 사실상 금의 자유 거래와 개별 보유를 제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당시 개인이나 기관의 금은 강제 매각 대상이 됐고, 대부분의 금이 정부의 포트 녹스로 흘러들어갔다. 그의 발언은, 만약 비트코인이 대중적으로 인정받은 디지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자리 잡는다면, 미국이 유사한 방식으로 기업 자산을 규제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경고하는 것이다.

그는 이어 “비트코인의 중앙 집중화된 보관이 이뤄지는 순간, 디지털 자산도 과거 금처럼 정부 개입의 문턱에 서게 된다”며 “역사는 똑같은 방식으로 반복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고는 단지 이론적 가능성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의 정치 및 경제 구조 변화, 특히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가능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래의 디지털 자산 정책이 보다 강경하게 바뀔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따라, 현재의 기업 비트코인 보유 확대가 장기적으로는 예상치 못한 리스크로 전환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00:1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8.12 00:15:3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