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1.2TH/s의 연산력을 가진 비트코인 채굴자가 3.146BTC, 약 26만 6,000달러(약 3억 5,266만 원) 상당의 블록 보상을 획득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수백 대의 ASIC 채굴기를 돌리는 대형 채굴기업에 비하면 극히 작은 규모로, 업계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확률’을 뚫은 ‘기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해당 채굴자는 지난 5일 블록 번호 924,569를 단독으로 채굴하는 데 성공하며 풀 보상으로 3.125BTC와 거래 수수료로 0.021BTC를 추가로 획득했다. 전체 보상은 3.146BTC로, 시간당 수백엑사해시(EH/s)가 넘는 글로벌 해시레이트 풀 속에서 극히 예외적인 성과다.
CK풀(CKpool) 운영자인 콘 콜리바스(Con Kolivas)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내용을 공지하며 이 채굴자가 ‘믿기 힘든 행운’을 거머쥐었다고 밝혔다. 콜리바스는 “1.2TH/s 수준이면 하루에 보상을 획득할 확률은 약 120만 분의 1”이라며, “이런 경우는 거의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개인 채굴자가 대형 채굴 장비 없이 단독으로 블록 보상을 얻는 사례가 점점 드물어지고 있다고 본다. 전 세계 비트코인(BTC) 네트워크의 전체 해시레이트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채굴 보상은 대부분 대규모 채굴 기업이나 채굴 풀 중심으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사례는 개인 채굴 환경이 여전히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채굴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실에서 이러한 행운을 기대한 전략적인 접근보다는, 리스크 관리와 현실적인 수익 모델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 채굴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극소형 장비로 수백만 분의 1 확률을 뚫고 채굴에 성공한 사례가 등장하며 개인 채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전략 포인트
단독 채굴 기회의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높은 난이도와 희박한 확률을 고려할 때 안전한 수익모델은 아닐 수 있음. 따라서 채굴 풀 참여 또는 다른 암호화폐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 기여 방식 등, 대안 전략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TH/s(테라해시/초): 연산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TH/s는 1초에 1조 번의 해시 계산을 의미
- 블록 보상: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한 채굴자에게 지급되는 BTC
- 해시레이트(Hashrate): 네트워크의 총 연산력, 높을수록 채굴 경쟁이 치열함
- CK풀: 개인 채굴자가 풀 형태로 함께 채굴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기반 채굴 서비스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