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Cardano) 블록체인이 일시적인 체인 분할(chain split) 사태를 겪었다. ‘형식 오류가 있는(malformed)’ 위임 트랜잭션이 기존 코드 결함을 자극하면서, 네트워크 노드 간의 트랜잭션 처리 방식에 충돌이 발생해 블록체인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체인으로 갈라졌다.
이번 사건은 카르다노 생태계 조직 인터섹트(Intersect)가 공개한 사고 보고서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인터섹트는 문제의 트랜잭션이 프로토콜 수준에서는 유효하지만, 네트워크의 코드 작동 방식에는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구조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운영에 활용되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의 오래된 버그를 악용해, 일부 노드에서는 이를 잘못 처리하면서 체인의 일관성이 깨지는 결과를 낳았다.
카르다노는 지분증명(PoS) 기반 블록체인으로, 사용자들은 에이다(ADA)를 스테이킹 풀에 위임하면서 네트워크 검증에 참여한다. 문제는 스테이킹 위임 과정에서 해당 트랜잭션이 등장했고, 이를 둘러싼 처리 방식의 차이가 결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리로 이어진 셈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스테이킹 풀 운영자들에게는 최신 노드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하라는 공지가 내려졌고, 대부분의 노드가 새 버전으로 통합되면서 네트워크는 다시 하나의 체인으로 복구됐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잠재적인 트랜잭션 손실이나 에이다 이중 지불(Double-spend)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실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카르다노 측은 재발 방지를 위해 관련 코드를 전면 점검하고 있으며, 보안 취약성에 대한 분석도 강화하고 있다. 체인 분할 자체는 일시적 현상으로 수습됐지만, 이번 사례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도 노드 간 코드 처리 일관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이번 카르다노 체인 분할 사태는 블록체인에서 ‘형식상 유효하지만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는’ 트랜잭션이 어떻게 시스템 전반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단순 소프트웨어 오류에서 출발했지만, 실제 네트워크의 무결성과 사용자 자산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신뢰도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 전략 포인트
-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핵심 코드와 실행 환경은 지속적인 감시와 감사가 필요
- 스테이킹 플랫폼 사용자들은 트랜잭션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 점검 필요
- 중앙집중형 요소가 없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네트워크 유지의 리스크도 고려해야 함
📘 용어정리
- 체인 분할(Chain split): 동일한 블록체인이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체인으로 갈라지는 현상
- 말포름드 트랜잭션(Malformed transaction): 형식은 문제 없어 보이지만 내부 구조나 파라미터에 오류가 있는 트랜잭션
- 이중 지불(Double-spend): 하나의 자산을 두 번 이상 사용하는 행위, 보통 블록체인에서 매우 심각한 보안 문제로 간주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