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스테이블코인 규제 지니어스법' 일부 수정..."해외 발행사도 미국서 규제 감독"
미국 상원에서 발의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지니어스법(GENIUS)이 최근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한 가운데, 언체인드가 수정된 지니어스법 일부를 공개했다. 테더와 같은 해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미국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해당 발행사 소재지와 관계없이 미국 규제 당국의 감독을 받을 수 있도록 미국 관할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외에도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자의 정의를 개발자, 밸리데이터 노드, 셀프 커스터디 월렛 서비스 제공자까지 확대, 이들에게도 자금세탁방지법(AML) 준수를 의무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라이선스 취득, 100% 준비금 확보, 공시 의무 등을 부여하겠다는 안으로,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기준점이 될 수 있어 업계에서 주목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 1Q 블랙록 BTC 현물 ETF 보유량, 전분기 比 28% ↑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지난 1분기 기준 블랙록 BTC 현물 ETF인 IBIT 보유량을 3080만주(14억 달러)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크립토브립핑은 매크로스코프를 인용, "골드만삭스는 1분기 기준 IBIT에 대한 지분을 기존 2400만주에서 28% 늘렸다. 다만 피델리티 BTC 현물 ETF인 FBTC의 보유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고 전했다.
1분기 VC 암호화폐 업계 투자액 $48억...전 분기 比 54%↑
지난 1분기 벤처캐피털(VC)의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업계 투자액은 48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54% 늘었다고 언폴디드가 전했다. 이는 지난 2022년 3분기 이후 분기 기준 가장 큰 규모로, 아부다비 투자 업체 MGX의 바이낸스 20억 투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나스닥 상장 넥스트테크놀로지, 1Q 기준 5,833 BTC 보유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프트웨어 개발사 넥스트테크놀로지(Next Technology Holding)가 1분기 BTC 보유량을 크게 늘린 사실이 공개되면서 9일(현지시간) 주가가 600% 이상 급등했다. 이날 넥스트테크놀로지는 1분기 기준 약 5,833 BTC를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833 BTC에서 대폭 늘어난 것이다. 넥스트테크놀로지는 3월 주식 및 워런트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암호화폐를 대량 매수했다고 설명했다.
디파이 테크놀로지, 美 나스닥 상장 승인
스위스 암호화폐 ETP 제공업체 밸러의 모회사인 디파이 테크놀로지(DeFi Technologies)가 미국 나스닥 상장 승인을 받았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티커는 DEFT로 오는 12일(현지시간) 부터 거래가 가능하다. 한편 디파이테크놀로지는 지난해 비트코인을 주요 준비자산에 편입, BTC를 매수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CEO “세일러식 BTC 매입 전략 고민했지만 포기...리스크 컸다”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한때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설립자의 BTC 매입 전략 도입을 검토했지만 유동성 리스크 등을 이유로 철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X를 통해 “지난 12년간 우리도 자산의 80%를 비트코인에 투자해야 하는지 고민한 순간이 있었다. 당시 코인베이스는 상장 초기 기업으로 현금 흐름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과도한 암호화폐 보유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판단했고 BTC 매입 전략을 포기했다”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알레시아 하스는 “코인베이스는 고객과 이해충돌 상황에 놓이지 않기 위해 조심스러운 스탠스를 유지해왔다. 다만 암호화폐 보유는 앞으로 늘려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반(反)크립토 미 상원의원 "메타 등 빅테크,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해야"
암호화폐 반대파로 알려진 미국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런이 코인데스크에 보낸 성명을 통해 "메타(Meta)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거나 관련 기업과 제휴하는 것을 명확히 금지해야 한다. 빅테크가 금융 데이터를 장악하고 중소기업이나 정치적 반대 세력을 결제 인프라에서 배제하는 사태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 상원은 현재 논의 중인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지니어스법(GENIUS)’을 반드시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블랙록, ETH 현물 ETF '현물환매' 수정안 제출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가 X를 통해 “블랙록이 ETH 현물 ETF ‘ETHA’에 대한 수정안(S-1)을 제출했다. 이번 수정안에서 주목할 점은 ETH 현물 ETF의 현물 환매(In-kind) 방식을 허용하는 문구가 추가됐다는 점이다. SEC가 올해 중 승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ICO 고래, $444만 ETH 크라켄 입금
최근 이더리움(ETH) 랠리에도 불구, 2015년 이더리움 ICO에 참가했던 투자자가 ETH 매도를 지속하고 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ICO에서 7.6만 ETH를 매수한 익명 고래 주소가 3시간 전 1900 ETH(444만 달러)를 크라켄에 입금했다. 해당 고래는 최근 10일 간 4336만 달러 상당 ETH를 매도한 바 있다.
TRUMP 팀, $5266만 TRUMP 거래소 입금
TRUMP 팀 추정 주소가 350만 TRUMP(약 5266만 달러)를 중앙화 거래소로 입금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테라울프, 올해 1Q 순손실 $6140만
비트코인 채굴업체 테라울프가 올해 1분기 순손실 6,14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960만 달러) 대비 크게 늘어난 수치다.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3440만 달러를 기록했다. 테라울프 측은 수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비트코인 반감기에 따른 채굴 난이도 상승과 뉴욕주 북부 채굴 시설의 극심한 기상 악화를 꼽았다.
고래들 한 달간 8.8억 XRP 매집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는 샌티멘트 데이터를 인용, "지난 한 달간 고래들이 8.8억 XRP를 매집했다"고 전했다.
마이클 세일러 "장기적 관점으로 BTC 매수 않는 투자자 많아"
장기적 관점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지 않는 투자자들이 많아 BTC가 아직 15만 달러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설립자가 지적했다. 그는 뉴스 앵커 나탈리 브루넬(Natalie Brunell)의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 "경제적 관심이 없는 많은 투자자들이 BTC에서 빠져나가고 있다. 다만 동시에 ETF와 등을 통해 새로운 투자자들이 시장에 진입 중이다. 암호화폐 시장은 지금 이 같은 로테이션을 겪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근 BTC에 대한 미국 정부의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보다 급진적이어서 놀랐다"고 덧붙였다.
퍼지펭귄, TON 기반 게임 '펭구 클래시' 출시
유명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PENGU)이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기반 게임 '펭구 클래시(Pengu Clash)'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펭구 클래시는 퍼지펭귄 캐릭터를 활용, 다트, 축구, 폭격 등 다양한 미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40...전일比 9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보다 9 포인트 오른 40을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70...탐욕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3 포인트 내린 70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위축됐지만 탐욕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빗썸, KSM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쿠사마(KSM) 네트워크 이슈로 10일 8시 15분 KSM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