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저녁 뉴스브리핑] 메타플래닛, 518 BTC 추가 매수...보유량 1만8천 BTC 돌파 外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비트코인 518개를 추가 매수하며 총 보유량을 1만 8113 BTC로 늘렸다. 투자 확대를 통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비트코인 비중을 강화하는 양상이다.

 메타플래닛, 518 BTC 추가 매수...보유량 1만8천 BTC 돌파 / Tokenpost

메타플래닛, 518 BTC 추가 매수...보유량 1만8천 BTC 돌파 / Tokenpost

메타플래닛, 518 BTC 추매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편입한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518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발표했다. 현재 보유량은 1만 8113 BTC다.

스마터 웹 컴퍼니, 295 BTC 추매

영국 소재 웹 개발사 스마터 웹 컴퍼니(SWC)가 295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SWC는 2395 BTC를 보유 중이다.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BTC·XRP, 광범위한 결제 수단 가능"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BTC, XRP 등 암호화폐는 화폐나 은행 예금을 대체, 은행 시스템 외부에서 광범위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中 아마존' 징둥닷컴, 디파이 시장 진출 준비

중국판 아마존으로 불리는 징둥닷컴이 디파이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징둥은 최근 디파이 전문가 채용 공고를 냈다. 지원 자격 요건은 탈중앙화거래소(DEX), 대출, 파생상품, 토크노믹스에 정통한 경력자다. 이에 대해 매체는 "징둥이 스테이블코인을 넘어 페이파이(PayFi) 사업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서 징둥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를 출원하고, 홍콩 라이선스 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맵프로토콜, MAPO 바이백 예고

맵프로토콜(MAPO) 공동 창업자 겸 코어 개발자 제임스가 MAPO 바이백을 예고했다. 그는 X를 통해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MAPO 가치는 1000만 달러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향후 크로스체인 수익으로 매일 바이백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SUI 일일 활성 주소, 3일간 79%↑

코인텔레그래프 소셜 미디어 책임자 마크 숀 브라운(Marc Shawn Brown)이 “지난 3일 동안 SUI의 일일 활성 주소가 79% 증가했다”고 밝혔다.

심플FX, 모바일 앱에 트랜잭션 분석 기능 추가

암호화폐, 주식, 외환 트레이딩 플랫폼 심플FX(SimpleFX)가 모바일 앱에 트랜잭션 분석 기능인 '트레이딩 칼큘레이터(Trading Calculator)'를 추가했다고 전했다. 이 기능은 거래 대금,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 일일 스왑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심플FX는 미국 US100 및 US500 지수에 포함된 자산 등 전 세계 주식 거래를 지원하며, 지난 4월 거래 가능한 금융 자산이 1000 종목을 돌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업비트, SCR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크롤(SCR)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따라 8월 19일 11시부터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POKT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포켓네트워크(POKT)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는 12일 18시부터 POKT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4% / 숏 51.6%

1.바이낸스: 롱 47.04% / 숏 52.96%

2.바이비트: 롱 47.23% / 숏 52.77%

3.게이트아이오: 롱 51.31% / 숏 48.69%

분석 "BTC 높은 가격에도 매도 과열 징후 없어"

BTC가 사상 최고가 부근에 있음에도 투자자들의 실현손익비율(Realized Profit to Loss Ratio)은 평균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가 전했다. 그는 "지금은 과거 과열 시기에 비해 급격한 추세 반전 리스크가 현저히 낮은 상태"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