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의 미래, 양자 컴퓨터가 바꾼다?...크립토닷컴, '선제 대응' 강조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크립토닷컴은 양자 컴퓨팅이 비트코인 보안에 중장기적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선제적인 대응과 기술 이해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NIST의 PQC 표준 발표 이후 생태계 전반의 보안 재편이 진행 중이다.

 타이틀/크립토닷컴(Crypto.com)

타이틀/크립토닷컴(Crypto.com)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기업 크립토닷컴(Crypto.com)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양자 컴퓨팅 기술이 비트코인(BTC)과 가상자산 보안에 미칠 수 있는 중장기적 영향에 대해 분석하며, 이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비트코인 사용자를 비롯한 암호화폐 투자자라면 이 기술의 위협과 기회를 면밀히 이해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quantum bit)의 중첩성과 얽힘이라는 양자역학 원리를 활용해 기존 컴퓨터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른 연산 능력을 갖춘다. 현재의 디지털 보안 체계인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전제로 설계됐지만, 고성능 양자 컴퓨터는 이러한 문제들을 단시간에 풀 수 있어 보안의 근간을 위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의 키와 지갑 정보도 장기적으로는 취약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크립토닷컴은 현재로서는 양자 컴퓨팅이 실제로 비트코인의 암호화 체계를 무력화할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어 구글의 Willow 양자 컴퓨터는 105개의 큐비트를 구현했으나, 비트코인 암호를 풀기 위해서는 현 추정치 기준 약 1,500개 이상의 안정적 큐비트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범죄자들이 미래의 양자 복호화를 염두에 두고 지금부터 암호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제적 보안 강화는 현재부터 준비해야 할 과제가 된다.

양자 컴퓨팅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는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PQC) 표준으로 세 가지 알고리즘—일반 암호화용 ML-KEM, 범용 디지털 서명용 ML-DSA, 상태 비저장 디지털 서명용 SLH-DSA—를 최근 발표했다. 비트코인 개발자 커뮤니티도 PQC 도입을 위한 기술 검토와 BIP(비트코인 개선 제안서)를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를 진행 중이며, 이는 전체 블록체인 생태계의 보안 구조 재편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한편 양자 컴퓨팅은 단순한 위협에 그치지 않고, 보안 기술 발전의 기폭제가 되기도 한다. 크립토닷컴은 양자 키 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나 다자간 연산 프로토콜(MPC), 격자 기반 암호화 같은 새로운 기술이 보안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할 잠재력을 지녔다고 밝히며, 양자 기술이 창출할 수 있는 기회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개별 투자자 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 첫째, 양자 내성 암호화 관련 주요 기술과 도입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둘째, 자산을 분산하고 콜드 월렛 등 오프라인 저장 방식을 고려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셋째, 향후 양자 내성 기능이 탑재된 지갑이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장기적인 보안 강화에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공격자들이 저장 중인 암호화 데이터를 미래의 양자 컴퓨터로 복호화할 수 있다는 전제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점은 암호 자산 보유자들이 경각심을 가져야 할 사안이다.

종합하면 양자 컴퓨팅은 2025년 현재 시점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즉각적 위협은 아니지만, 향후 기술 발전속도에 따라 급격한 환경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생태계는 단순히 위험을 회피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기술표준을 접목한 보안 인프라 재설계로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블록체인 기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