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삼성넥스트, 탈중앙화 거래소 크립톤 투자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5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삼성넥스트 홈페이지 / 삼성넥스트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 = 삼성넥스트 홈페이지 / 삼성넥스트 홈페이지 갈무리

[삼성넥스트, 탈중앙화 거래소 크립톤 투자]

삼성전자 투자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탈중앙화거래소(DEX) 크립톤에 투자했다. FTX 파산 여파로 중앙화 거래소가 신뢰를 잃어가면서 DEX가 인기를 얻은 게 배경으로 풀이된다. 크립톤은 프레임워크 벤처스가 주도한 700만 달러 시드라운드 투자를 유치했으며, 삼성넥스트를 포함해 해시키 캐피탈, 파이널리티 캐피탈 파트너스, 폴사이트 벤처스, GSR, MEXC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앞서 삼성넥스트는 FTX 시리즈 B-1 펀딩 라운드에 참여한 바 있으나 FTX가 파산하면서 자금 회수가 어렵게 된 바 있다.

[코인베이스재팬, 인력 감축 계획]

코인베이스의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부사장이자 일본 사업 담당자인 나나 무루게산(Nana Murugesan)이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코인베이스 재팬의 인력 감축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장 상황으로 인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외에 아직 결정된 건 없지만 모든 옵션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있다. 추후 관련 추가 사항을 공지하겠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는 앞서 직원의 약 5분의1에 해당하는 950명을 정리해고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 암호화폐 자산 자발적 신고자에 일시적 감세 검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마사 경제부장관이 자국민의 자발적 암호화폐 자산 신고를 장려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법안은 법률 시행 후 90일 이내 보유 중인 암호화폐 자산을 신고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양도소득에 대해 2.5% 세율을 적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세율은 90일마다 점진적으로 인상돼 최종적으로는 국가 표준 세율인 15%에 도달한다.

[원컨퍼메이션,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펀드 투자 지속]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원컨퍼메이션(1confirmation)의 닉 토마이노(Nick Tomaino) 설립자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연말 LP서한을 공개했다. 그는 서한에서 "원컨퍼메이션 펀드I과 펀드II는 1억 1,9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진행했으며, 이더리움을 포함해 오픈씨, 코스모스, dYdX, 수퍼레어 등 암호화폐 프로젝트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원컨퍼메이션은 펀드III과 NFT펀드를 통해서도 암호화폐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엑시인피니티, 오리진 시즌2 출시]

블록체인 기반 P2E 게임 엑시인피니티(AXS)가 오리진(Origin) 시즌2를 출시했다고 공식 채널을 통해 발표했다. 시즌2는 42일 간 진행되며, 새로운 시스템인 Eras가 도입된다. Eras는 전체 시즌 동안 플레이어에게 총 112,000 AXS를 보상하는 새로운 보상 랭킹 시스템이다.

[깃코인, 1/17 2차 알파 라운드 실시]

암호화폐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깃코인(Gitcoin)이 오는 17일부터 31일까지 2차 알파 라운드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라운드에서 깃코인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이더리움 인프라 및 기후 솔루션 관련 200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총 100만 달러를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깃코인은 기존 중앙집중식 자금지원 프로그램인 깃코인 그랜트를 탈중앙화 그랜트 프로토콜로 전환하기 위한 5개 알파 라운드를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GALA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71,472

2. GALA $14,440

3. ANKR $8,066

4. SHIB $4,085

5. CRV $1,526

6. CHZ $1,339

7. FORT $404

[빗썸 SIX 거래유의...시세 급변동]

빗썸이 현재 식스(SIX)의 시세 변동성이 매우 큰 상태라며 거래에 유의할 것을 안내했다.

[코인쉐어스, 20만 자사주 매입]

런던 소재 암호화폐 투자펀드 코인쉐어스(Coin Shares)가 2명 주주에게서 자사주(보통주) 19만6654주를 매입하는 거래를 체결했다고 CISION이 전했다. 주당 24 스웨덴 크로나(SEK)로, 총 472만 SEK 규모다. 코인쉐어스는 1월 20일 전까지 현금으로 거래대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김프 노린 1조원대 불법 외화송금 공모 은행원 징역 3년]

대구지법이 11일 외국환거래법, 은행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3년에 벌금과 추징금 2천500만원씩을 선고했다. 우리은행 전 지점장 A씨는 공범이 보내온 가상자산을 국내 거래소에서 매각한 뒤 유령법인을 통해 수입 대금인 것처럼 꾸며 모두 1조원대 규모 외화를 중국, 홍콩 등지 계좌로 송금하는 사건데 가담했으며, 대가로 현금과 상품권 2천500만원 상당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치 프리미엄'을 노리고 유령 법인을 설립해 불법 외화 송금을 주도한 중국계 한국인 B씨에게는 징역 4년과 추징금 14억 4천200만원, C씨에게는 징역 3년과 추징금 8억 1천700만원이 선고됐다.

[솔라나 NFT 팻챗츠 캐피털, Ape16z 인수]

솔라나 기반 NFT 프로젝트 팻캣츠 캐피털(FatCats Capital)이 솔라나 웹3 액셀러레이터 Ape16z를 인수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Ape16z 깃허브 코드베이스, 런치패드, DAO 트레저리, 커뮤니티 등 모든 자산과 IP가 팻캣츠 캐피털로 이전된다.

[사이퍼마이닝, 지난해 12월 225 BTC 채굴...39 BTC 매도]

시킹알파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사이퍼 마이닝(Cipher Mining)이 지난해 12월 총 225 BTC를 채굴했다고 밝혔다. 전월 대비 137% 증가한 규모다. 또한 사이퍼 마이닝은 12월 39 BTC를 매도했다. 현재 보유량은 394 BTC다.

[pSTAKE, 코스모스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stkATOM 출시]

코스모스 생태계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pSTAKE가 12일 ATOM 유동성 스테이킹 상품 stkATOM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pSTAKE는 지난해 11월 8일 출시 예정이었으나, Persistence Core-1 체인 정지 및 stkATOM-ATOM 환율 조작 공격을 당해 출시가 미뤄졌다. pSTAKE는 블록 업그레이드 및 45개 stkATOM 추가 민팅을 통해 환율 정상화를 계획했으며, 해당 업그레이드 및 stkATOM 출시 제안이 통과돼 이번에 정식 출시된다.

[유럽 대형 암호화폐 VC, 크라켄 거래소로 100만 LDO 이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유럽 ​​암호화폐 전문 벤처캐피털 KR1의 주소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으로 197만 달러 규모의 100만 리도(LDO)가 이체된 정황이 포착됐다. 해당 주소에는 2020년 12월 17일 1,500만개의 LDO가 입금되었으며, 현재는 2,758만 달러 상당의 1,400만 LDO가 남아있는것으로 전해졌다.

[크립토다트, 코인플러그·우리펀드서비스와 MOU]

가상자산 전자공시 플랫폼 크립토다트가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코인플러그, 우리금융그룹 계열의 우리펀드서비스와 통합 가상자산 공시 서비스 플랫폼 운영 지원 및 블록체인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크립토다트는 이번 MOU를 통해 가상자산 프로젝트에 대한 공시 정보 및 전문 신용평가 기관의 가상자산 평가정보를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테더, 지난 6개월간 USDT 보유 월렛 158개 동결]

토큰뷰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6개월간 테더는 총 158개 USDT 보유 월렛을 동결했으며,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은 USDC 보유 월렛 112개를 동결했다.

[NFT 프로젝트 디지다이가쿠 개발사, 자체 로열티 솔루션 도입]

NFT 프로젝트 디지다이가쿠(DigiDaigaku) 개발사 리밋 브레이크(Limit Break)가 공식 미디엄을 통해 옵트인(opt-in) 방식 자체 개발 로열티 솔루션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개발 NFT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열티를 가질 수 있게 되며, NFT 제작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로열티 분배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5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토큰부자

2023.01.12 09:51:43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슨리

2023.01.12 08:09:53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ㅣ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1.12 06:53:21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선우할매

2023.01.12 00:52:1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01.12 00:27:54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투명잉크

2023.01.12 00:13: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3.01.11 23:20:1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랑이

2023.01.11 22:50:53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기쁨이

2023.01.11 22:28:4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eneralyup

2023.01.11 21:45:41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