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 시험비행 실패]
홍스페이스X가 20일(혀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 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하지만 비행 도중 기체가 폭발하며 시험비행은 실패로 돌아갔다. 폭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홍콩증권거래소 "ETF 등 간접투자 통한 가상자산 시장 진입 권고"]
홍콩증권거래소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ETF·가상자산 생태계 개발'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ETF 등 간접투자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투자자에게 더 안전하고 리스크 관리도 수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가상자산은 암호화폐 거래소 등을 통해 직접 매매할 수 있다. 간접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주식을 매수하거나, 암호화폐 선물 및 ETF, 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다. 우리는 직접 투자보다는 간접 투자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프로젝트 갤럭시, zkSynk 지원]
웹3 자격 증명 데이터 네트워크 Galxe(GAL, 구 프로젝트 갤럭시)가 트위터를 통해 롤업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k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확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갤럭시는 설명했다. 또 갤럭시는 셀러네트워크 등 9개 프로젝트도 zkSynk 관련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테이블랜드, 시리즈 A 라운드서 800만 달러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랜드가 시리즈 A 라운드에서 8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코인펀드가 주도했으며, 멀티코인 캐피털, 블루야드, 에이 캐피털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테이블랜드의 메인넷 출시, 새로운 개발자 도구 출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레이어1 프로젝트 아이언피쉬, 메인넷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언 피쉬가 메인넷을 출시했다. 미디어는 "아이언 피쉬는 개인정보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난 2022년부터 올 1분기까지 총 3단계에 걸쳐 테스트넷을 내놓았다. 가장 최근 테스트넷을 종료할 때, 노드 수는 총 6만 개 이상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아이언피쉬는 지난 2021년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주도한 시리즈A 라운드에서 276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방코르, 온체인 거래 플랫폼 '카본'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 방코르가 온체인 거래 플랫폼 카본(Carbon)을 출시했다. 방코르는 "카본은 중앙화 거래소의 거래 기능을 통해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의 투명성을 높여 탈중앙화 거래소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ENS, 문페이와 파트너십...법정화폐로 도메인 네임 구매 가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암호화폐 결제 스타트업 문페이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은 법정 화폐로 .eth 도메인 네임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ENS는 현재 0.25% 내린 13.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베라체인, 시리즈 A 라운드서 4200만 달러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파이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베라체인이 시리즈 A 라운드에서 4억2691만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42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폴리체인 캐피털이 주도했으며, 핵(HACK) 벤처캐피털, DAO5, 트라이브 캐피털, 시마 캐피털, 로봇 벤처스, 기타 CEX 등이 참여했다.
[디포스, 기본 모듈식 DEX 테스트넷 출시]
디파이 프로토콜 디포스 네트워크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본 모듈식 DEX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DEX는 제로 수수료 기본 풀, 자본 효율성 제고, 유동성 레버리지 등이 특징이라고 디포스는 설명했다. 디포스는 "이 DEX는 모듈식 아키텍처로 제작돼 변동성 자산은 물론 고정 및 안정자산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이 가운데 변동성 자산은 유니스왑 V2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