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한동훈 장관, 암호화폐 현행법 구멍 '공감' 外

프로필
박원빈 기자
댓글 10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한동훈 장관 / 법무부

사진 = 한동훈 장관 / 법무부

[한동훈 장관, 암호화폐 현행법 구멍 ‘공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암호화폐와 관련해 현행법 체계에서 처벌 규정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고 16일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오전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대한 법률 일부 개정안'과 관련한 "횡령도 있고 배임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요즘 나오고 있는 코인게이트 관련 가상자산을 피해액에 합산하는 그런 규정 없는 걸로 안다"는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한동훈 장관은 "실물이라든지 자산과 연계되지 않은 코인들 같은 경우 증권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며 "루나와 같은 경우 증권성을 인정할 수 있지만 다른 건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 형법 법리에 따라 처리해야만 한다"고 밝혔다.

[아비트럼 네트워크에 컴파운드 III 배포]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컴파운드(COMP)랩스가 트위터를 통해 "멀티체인 지원 세번째 버전 코멧(Comet, Compound III)이 아비트럼(ARB) 네트워크에 배포됐다. ARB, GMX, WETH, WBTC를 담보로 USDC를 빌릴 수 있다"고 전했다. 앞서 컴파운드 커뮤니티는 컴파운드 III를 아비트럼 네트워크에 배포하자는 제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신세틱스 "SNX Perps에 PEPE·SUI·XRP 등 마켓 추가 제안 상정"]

탈중앙화 합성자산 프로토콜 신세틱스(SNX)가 트위터를 통해 "무기한 선물 계약을 거래할 수 있는 SNX Perps에 PEPE, SUI, BLUR, XRP, DOT, TRX, FLOKI, INJ 마켓을 추가하자는 제안에 대한 투표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만약 제안이 승인되면 거버넌스가 매개변수(수수료, 미결제 약정 등)에 동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텐더파이 esTND 베스팅 기간 1년→6개월 단축]

아비트럼 기반 대출 프로토콜 텐더파이(Tender.fi)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스냅샷 투표 결과에 따라 esTND(에스크로TND) 베스팅 기간을 1년에서 6개월로 단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클레임 가능 잔액도 소급 적용된다(청구 가능 금액 2배 증가).

[DWF랩스, 다수 거래소로 $210만 LADYS 입금]

룩온체인은 "DWF랩스 관련 주소가 15.1조 LADYS($210만)를 MEXC, 후오비, 바이비트, 게이트아이오로 전송했다. 총 매입가는 5.3ETH($9903)인데, 만일 전량을 매도했다면 $200만 이상 차익을 실현했을 것"이라고 트윗했다.

[전날 비트코인 수수료 90 BTC...일주일 연속 감소세]

토큰뷰에 따르면 전날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수수료가 89.8 BTC를 기록하면서 일주일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앞서 5월 8일 비트코인 수수료는 사상 최대치인 635.35 BTC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연구원, MEV 소각 후속 안건 발표]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ETH 자동 소각 메커니즘인 EIP-1559에서 나아간 MEV 소각 후속 안건을 발표했다. 거래 순서 조정 인센티브를 줄이기 위해 MEV 추가 수입분을 소각하자는 게 골자다. MEV는 밸리데이터가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순서를 조정/최적화해 얻을 수 있는 추가 수입의 양을 말한다.

[라이도 V2 출시 후 774 stETH 출금 요청...공급량 0.1%]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라이도(LDO) V2 출시 이후 지금까지 총 774 stETH 출금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ETH 공급량의 0.1%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밤 라이도는 stETH의 ETH 환전 및 출금을 지원하는 V2 버전 업그레이드를 적용한 바 있다.

[매트릭스포트, 기관 대상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가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퍼(Copper)와 파트너십을 체결, 기관 고객 대상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매트릭스포트는 코퍼 산하 클리어루프(ClearLoop)와 통합, 기관 고객에게 장외(거래소 외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리어루프는 복수의 거래소를 하나의 안전한 거래 루프로 연결해 거래 체결 전까지 투자자의 안전한 자산 보유를 지원한다.

[저스틴 선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 빈곤 문제 해결 가능"]

저스틴 선 트론(TRX) 창시자가 벤징가와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가 전세계 빈곤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사실 미국인을 제외한 세계 인구의 90%는 미국 은행 계좌가 없다. 달러화 접근이 쉽지 않다. 이런 문제를 USDT가 해결해준다. USDT는 가치 저장 수단이자 결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빈곤의 가장 큰 원인은 금융 서비스의 불균형이다.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비용이 들지 않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론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돈을 주고 받으며 가치 저장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룩온체인 "지난주 3개 고래 지갑 LDO 대규모 매집"]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라이도(LDO)의 V2 버전 출시에 앞서 지난주 3개 고래 지갑이 LDO를 매집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분석했다. 룩온체인은 "온체인 이체 기록 기준 0x9EA7로 시작하는 지갑은 평단가 2.01 달러에 바이낸스에서 152만 달러 상당의 724,822 LDO를 출금했으며, 0x4E4e 지갑은 평단가 1.83 달러에 138만 달러 상당의 655,641 LDO를 출금했다. 또 0x9eda 지갑은 5월 12일(현지시간) 평단가 1.71 달러에 97.4만 달러 상당인 570,883 LDO를 매집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라인 핀시아, 5/25 메인넷 업그레이드 진행]

라인링크(LN) 3세대 메인넷 핀시아가 5월 25일 09~20시 메인넷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이에 맞춰 기존 다프네 메인넷 데이터가 핀시아로 통합된다. 가상자산 LINK 명칭은 FINSCHIA로, 심볼은 FNSA로 공식 변경된다.

[분석 "애플 MR 헤드셋 출시 임박, 단기간 메타버스 토큰 가격 견인은 힘들 듯"]

애플이 오는 6월 5일 출시할 것으로 알려진 MR(혼합현실) 헤드셋이 메타버스 토큰 가격을 견인할지는 의문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올해 초 애플 헤드셋 출시 소문으로 인해 메타버스 토큰이 급등하기는 했지만, 디센트럴랜드(MANA), 샌드박스(SAND) 등 개발사 측은 VR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태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투자회사 이토로(eToro) 애널리스트인 조시 길버트(Josh Gilbert)는 "완전한 몰입형 메타버스 경험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라며 "MANA, SAND 등 암호화폐는 향후 메타버스 인기에 따라 그 성과가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토카막네트워크, 6월 L2 메인넷 출시]

토카막네트워크(TON) 개발사 온더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옵티미스틱 롤업 기반 토카막네트워크 L2 메인넷을 6월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 번째 테스트넷 다리우스(Darius)를 통해 L2 메인넷 기능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토카막네트워크는 ZK롤업 기반 메인넷도 개발할 계획이다.

[리플엑스 "리플레저, 6개월 간 140만개 이상 NFT 발행"]

리플(XRP)의 자금조달 및 개발분야 자회사인 리플엑스(RippleX)는 "XRP레저(Ledger)가 2022년 10월 NFT 기능을 도입한 뒤 현재까지 140만개 이상 NFT가 발행됐다. 거래수는 17만건 이상, 거래액은 $910만 수준이다. 대부분의 NFT 거래는 onXRP에서 이뤄졌다"고 전했다.

[시카고 연은 "지난해 암호화폐 플랫폼 코인런, 고액 자산가 주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연구 결과 지난해 셀시우스 등 암호화폐 플랫폼의 '코인런'을 고액자산가와 기관 고객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시카고 연은은 "셀시우스의 경우 회사가 출금을 동결하고 파산을 신청하기 직전인 6월 전체 출금 건수의 35%가 1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계좌에서 이뤄졌다. 투자금이 50만 달러 이상인 계좌의 출금 속도가 특히 빨랐으며, 인출 규모도 컸다. FTX의 경우 단 하루만에 예치금의 4분의 1이 인출됐다. 보이저디지털은 지난 5월 전체 자산의 14%가 출금된 이후, 6월 12일부터 7월2일까지 단 20일 만에 고객 예치금의 39%을 잃었다"고 전했다.

[우라늄 파이낸스 해커, 현재까지 550 ETH 세탁]

펙쉴드에 따르면 우라늄 파이낸스 해커는 현재까지 550 ETH($99.55만)를 토네이도캐시를 통해 세탁했다. 우라늄 파이낸스는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기반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로, 2021년 해킹으로 50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블루레인

2023.05.17 12:36:09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5.17 10:32:30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5.17 09:35:2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크라운

2023.05.17 08:30:12

멋지다 한동훈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durst0224

2023.05.17 06:37:14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키리나

2023.05.16 22:31:4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oinchoi

2023.05.16 22:18:0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Atomy찰리

2023.05.16 22:04:49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쿠루마폭주족

2023.05.16 20:08:34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3.05.16 19:21:59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