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페이팔 사장 "비트코인,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로 만드는 게 목표"]
페이팔 사장 출신으로 메타(구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디엠(구 리브라)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데이비드 마커스(David Marcus) 라이트스파크(Lightspark) 최고경영자(CEO)가 11일 CNBC 스쿼크박스(Squawk Box)에 출연해 "비트코인을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오늘날 국가간 글로벌 결제는 '팩스 시대'에 가깝게 뒤쳐져 현대화가 시급하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실리는 오프체인 거래를 허용한다. 이는 비트코인 거래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그런 의미에서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순 결제 레이어'로 볼 수 있다. 비트코인 자체는 일상적인 거래를 위한 통화가 아닐 수 있지만,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비트코인을 결제용 통화로 만들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FTX, $70억 자산 보유 중…현금 $26억]
FTX가 현재 총 70억달러 상당 자산을 보유 중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법원에 제출된 자료를 인용해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FTX는 작년 11월 11일 기준 보유 중이던 11억달러 이외 15억달러 현금을 더 확보했다. 또한 콘도, 펜트하우스 등 소유 중인 바하마 소재 38개 부동산 가치는 2억달러 상당이다. 보유 중인 암호화폐는 8월 31일 기준 약 34억달러로, 여기에는 11.6억달러 상당 SOL, 5.6억달러 상당 BTC 등이 포함된다. 앞서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트레이더 라크 데이비스는 FTX 보유 암호화폐가 OTC(장외거래)를 통해 매도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한 바 있다. 한편, 언급된 FTX의 총 자산 70억 달러 외에도 438개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45억 달러가 투자된 내역이 공개됐다. 포트폴리오에는 제네시스와 유가랩스, 패러다임 등이 포함됐다.
[BTC $25,000 반납]
BTC가 $25,000를 반납했다. 현재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3.01% 하락한 24,9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6월 15일 이후 최저 수준이다.
[보안기업 시크파, INX와 CBDC 서비스 기업 설립]
글로벌 보안기업 시크파(SICPA)가 뉴욕 기반 디지털 자산 중개업체 INX와 함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서비스 기업 나바테크를 설립했다고 CISION이 전했다. 나바테크는 분산원장기술 인프라, 디지털 신원 기술을 활용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보안, 개인정보보호 등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분석 “BTC 단기 홀더 보유량 83.7%, 미실현손실 중”]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가 주간 보고서에서 “암호화폐 시장의 온체인, 오프체인 거래량 모두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BTC 장기 홀더는 여전히 시장을 신뢰하고 있지만 단기 홀더의 경우 보유량의 83.7%가 미실현손실 상태다. 이들은 점점 더 가격 변동에 민감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USDT를 제외한 모든 주요 스테이블코인에서 환매가 지속되면서 작년 4월부터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USDC 공급량은 작년 11월 대비 167억달러 감소한 반면 USDT 공급량은 133억달러 이상 늘어났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USDT 점유율은 69%로 작년 6월 대비 25%p 늘었다”고 덧붙였다.
[고정금리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노셔널, 9/25 V3 베타 출시]
고정금리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노셔널파이낸스(NOTE)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9월 25일(현지시간) 노셔널 V3 베타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셔널 측은 "V3 베타 버전은 USDC, DAI, USDT, FRAX, ETH, wstETH, rETH 등 암호화폐에 대한 대출, 차입, 유동성 기여 등 전략을 제공한다. 또 베타 테스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익률 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NOTE는 현재 3.32% 내린 0.129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택스 창업자 "STX 거래량 최소 60% 한국서 나와...미스터리한 시장"]
비트코인 확장성 솔루션 스택스(STX)의 공동 창업자인 무닙 알리(Munib Ali)가 최근 비인크립토와의 인터뷰에서 "STX 거래량의 최소 60%는 한국에서 나온다. 높을 땐 70~80%까지 치솟기도 한다. 한국은 미스터리한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스택스는 한국에서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순수하게 자생적으로 발생한 수치다. 개인적으로도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싶다. 커뮤니티와 소통하려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내년 1분기 스택스의 비트코인 기반 디파이 플랫폼 '나카모토'를 출시할 예정이다. 솔리디티 언어로 이더리움에서 무언가를 개발할 수 있다면, 클래리티(Clarity) 언어로 스택스에서도 동일한 것을 개발할 수 있다. 오히려 보안 측면에서는 스택스가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FT "겐슬러, SEC '개입주의적' 규제 주도...의회 기능상실이 원인"]
파이낸셜타임스(FT)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개입주의적 태도가 법원의 반대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는 제목의 오피니언에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로 암호화폐부터 탄소배출, 자산 커스터디, 국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개입주의적인 규제 의제를 상정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FT는 "미 상공회의소, 리플랩스 등 겐슬러의 표적이 된 대상은 현재 법원에서 SEC와 법적 공방을 펼치고 있다. 또한 최근 법원이 그레이스케일-SEC 소송에서 'SEC는 자의적이고 변덕스러운 조치를 취했다'고 판결했음에도 겐슬러는 이와 관계 없이 새로운 규제안과 집행조치를 내놓을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EC가 법 집행, 규제를 통해 새로운 규칙을 제정하려는 건 의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법 공백으로 인해 결국 겐슬러의 의제가 실제 도입될지 여부는 사법부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SEC가 법적 권한을 과도하게 행사하는지 대해선 대법원이 판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보수적인 세력이 다수를 차지하는 법원은 이번 기회에 SEC를 통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미국 금융 시장에서 겐슬러의 야망이 역효과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려면 실용주의와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서 $5,900만 순유출...투심 악화]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약 5,90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4주 연속 순유출을 기록하며 누적 2.94억 달러가 빠져나갔다. 비트코인(BTC) 투자 상품에서 6,900만 달러가 순유출됐고, BTC 하락에 베팅하는 숏 BTC 상품에는 1,500만 달러가 되려 유입됐다. 숏 유입 규모는 지난 3월 이후 가장 많았다. 또 이더리움(ETH) 상품에서는 48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연간 누적 유출액은 1.08억 달러를 기록하며, ETP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선호하지 않는 종목으로 ETH가 꼽혔다. 반면 XRP 투자상품에는 지난주에 이어 70만 달러가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퀴드, 코스모스 생태계 원클릭 크로스체인 스왑 지원]
블록웍스에 따르면, 액셀라(AXL) 기반 크로스체인 유동성 라우팅 및 스왑 프로토콜 스퀴드(Squid)가 공식 채널을 통해 코스모스(ATOM)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오스모시스(OSMO)를 통한 코스모스 생태계 자산의 원클릭 크로스체인 스왑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스퀴드는 현재 액셀라의 GMP(General Message Passing) 기능을 활용해 12개 EVM 호환 블록체인 간 크로스체인 스왑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 스퀴드 공동 설립자 피그(Fig)는 "스퀴드 프로토콜은 각기 다른 체인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들을 연결해준다. 예를 들어 유니스왑(UNI)과 퀵스왑(QUICK)을 연결시켜 서로 다른 체인간 자산의 원클릭 토큰 스왑이 가능하다. 오스모시스 연동은 즉 코스모스 생태계로의 원클릭 크로스체인 이체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갓 "ETH 가격 유지되며 SOL $15까지 떨어지면 보유 ETH→SOL 스왑 예정"]
약 19만 X(구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크립토 인플루언서 알갓(Algod)이 방금 전 "만약 이더리움(ETH)이 같은 가격대를 유지하며 솔라나(SOL) 가격이 15달러까지 빠진다면, 보유하고 있는 ETH를 모두 SOL로 스왑(환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솔직히 곧 SOL과 관련된 좋은 트레이딩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애널리스트 "ETH, $800 아래로 자유낙하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약 78.7만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벤자민 코웬(Benjamin Cowen)이 10일(현지시간) 자신의 채널에서 "이더리움(ETH)은 800 달러 아래 가격대까지 자유낙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향후 3~6개월 ETH 가격은 이전보다 낮은 고점과 저점을 반복해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6월 기록했던 저점보다 낮아질 경우 800 달러 아래까지의 하락도 충분한 가능성이 있으며, 이후 600, 500, 400 달러까지 낙폭이 확장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2.35% 내린 1,586.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