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보유자라면 사망 이후 유산 상속과 관련된 계획, 즉 크립토 상속 플랜 수립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처럼 프라이빗 키 또는 시드 구문(seed phrase)이 있어야만 접근 가능한 코인들은, 해당 정보가 유실될 경우 영원히 회수할 수 없게 된다. 매년 상당수의 코인이 이런 실수로 미래 세대에 전달되지 못한 채 자산으로서 기능을 잃고 있다.
암호화폐는 은행 계좌와 달리 중앙기관 없이 개인이 직접 자산을 관리하는 비보관(self-custody) 방식의 사례가 많다. 이 때문에 단순한 유언장만으로는 상속인들이 사망자의 지갑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실제로 약 157만 개의 비트코인이 유실된 상태이며, 이는 전체 공급량의 약 7.5% 수준에 이른다. 디지털 자산의 물리적 접근 자체를 모르면, 자산 자체가 ‘영구 동결’ 상태로 남는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속 계획에 무엇보다 프라이빗 키 저장 위치, 자산 목록, 신뢰할 수 있는 실행자(trusted executor)까지 포함해 구체적인 지시 사항을 담아야 한다. 단, 상속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도 중요하다. 민감한 정보가 공개 유언장이나 공공 문서에 노출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된 파일, 봉인된 문서 또는 탈중앙 신원 관리 도구 등으로 보호하는 방식이 권장된다.
특히 모든 자산을 중앙화 거래소에 보관하거나 복수의 키를 메모지에 적어 공유하는 식의 단순한 방식은 오히려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보관형(custodial)과 비보관형(non-custodial) 솔루션을 적절히 조합하여 보안성과 가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만약 사전 대비 없이 불의의 상황이 생긴다면,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의 암호화폐가 손쓸 틈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
디지털 자산 투자자는 코인의 가치 변동뿐 아니라, 예정되지 않은 이별 이후에도 자산이 제대로 전해질 수 있는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암호화폐 상속 플랜은 단순한 유언장을 넘어, 기술적 이해와 법적 장치를 함께 갖춘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