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편집자주]
역대 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써싱트(Succinct, PROVE) – 1.56달러(ATH), 현재가 1.45달러 (–6.72%)
② 트롤(TROLL) – 0.190달러(ATH), 현재가 0.182달러 (–4.51%)
③ 튜링비트체인(TuringBitChain, TBC) – 5.67달러(ATH), 현재가 5.66달러 (–0.07%)
④ 유니아트AI(Uniart AI, UNIART) – 0.0395달러(ATH), 현재가 0.0394달러 (–0.24%)
⑤ 트레이딩앤페이먼트토큰(TPTU) – 1.11달러(ATH), 현재가 1.11달러 (–0.004%)
이밖에 버키(Bucky)까지 총 6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했다. 최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들은 대부분 8월 6일 기준 역대 최저가 대비 두 자릿수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트롤(TROLL)은 최저가 0.00387달러에서 현재가 0.182달러까지 약 4596% 상승해 가장 높은 반등률을 보였다. 그 외에도 튜링비트체인(TuringBitChain), 써싱트(Succinct), 버키(Bucky) 등은 모두 100% 이상 상승하며 강한 저점 반등 흐름을 나타냈다. 반면, 현재가는 신고가 대비 0.004%에서 최대 6.72% 하락한 상태로, 대부분 신고가 직후 일부 조정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단기 수급 유입에 따른 고점 형성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일부 출회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스트라이드(STRD) – 0.120달러(ATL) → 0.121달러(현재) (+0.57%)
② 나오리스 프로토콜(NAORIS) – 0.0282달러(ATL) → 0.0302달러(현재) (+7.17%)
③ 쿼이 네트워크(QUAI) – 0.0470달러(ATL) → 0.0498달러(현재) (+6.07%)
④ 오르트(OORT) – 0.0215달러(ATL) → 0.0233달러(현재) (+8.40%)
⑤ 제우스 네트워크(ZEUS) – 0.122달러(ATL) → 0.128달러(현재) (+4.87%)
이밖에 ▲로움(ROAM) ▲프랙탈비트코인(FB) ▲워트코인(WATC) ▲나마다(NAM) ▲헤이아논(ANON) ▲파이네트워크(PI) ▲유니아트AI(UNIART)까지 총 12개 종목이 역대 최저가를 경신했다. 이날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 중 일부는 가격 반등을 동반하며 단기 저점 인식에 따른 기술적 반응을 보였다. 특히 오르트(+8.40%), 나오리스(+7.17%), 쿼이네트워크(+6.07%) 등은 반등 폭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며 프랙탈비트코인(FB)은 최고점에서 –99% 하락한 뒤 소폭(+1.43%) 회복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는 고점 대비 80~99% 하락한 낙폭 과대 종목이 대다수이며, 이는 시장 내 전반적인 리스크 회피 심리와 유동성 위축이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가총액 TOP 5 종목 – ATH/ATL 대비 현황

① 비트코인(BTC) 113,961달러 | ATH 122,886달러 (–7.26%) | ATL 0.257달러 (+44,384,608%)
② 이더리움(ETH) 3,633달러 | ATH 4,860달러 (–25.2%) | ATL 0.421달러 (+863,112%)
③ 엑스알피(XRP) 2.94달러 | ATH 3.84달러 (–23.5%) | ATL 0.00280달러 (+104,817%)
④ 비엔비(BNB) 757.80달러 | ATH 859.13달러 (–11.8%) | ATL 0.0961달러 (+788,381%)
⑤ 솔라나(SOL) 163.75달러 | ATH 293.65달러 (–44.2%) | ATL 0.508달러 (+32,157%)
비트코인은 최근 고점인 12만2886달러 대비 –7.26% 하락한 11만3961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더리움은 ATH 대비 –25.2% 조정을 거친 가운데, ATH까지 약 33.8%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남기고 있다. XRP와 BNB는 각각 –23.5%, –11.8% 하락하며 비교적 완만한 조정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솔라나(SOL)는 –44.2%로 주요 종목 중 가장 큰 낙폭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간 국내 트렌딩 종목 – ATH/ATL 현황

① 마이엑스파이낸스(MYX) 현재가 1.68달러 | ATH 2.08달러 (–19.3%) | ATL 0.0474달러 (+3,451%)
② 로보더울프퍼피(LOBO) 현재가 0.00049달러 | ATH 0.00399달러 (–87.7%) | ATL 0.000121달러
(+305.5%)
③ 맨틀(Mantle, MNT) 현재가 0.906달러 | ATH 1.56달러 (–41.8%) | ATL 0.308달러 (+194.6%)
④ 토카막네트워크(Tokamak Network, TOKAMAK) 현재가 1.41달러 | ATH 4.09달러 (–65.6%) | ATL 0.856달러 (+64.3%)
⑤ 카이아(Kaia, KAIA) 현재가 0.141달러 | ATH 0.411달러 (–65.6%) | ATL 0.091달러 (+55.3%)
국내 커뮤니티에서 주목받고 있는 트렌딩 종목들은 전고점(ATH) 대비 19%에서 87%까지 낙폭을 기록 중이다. 반면, ATL(역대 최저가) 기준으로는 전 종목이 반등 흐름에 진입했으며, 특히 MYX는 약 3,450%, LOBO는 300% 이상 상승하며 주목할 만한 회복률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