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코인 테마 랭킹] 21개 중 4개 섹터만 상승…인프라 강세 vs 엔터프라이즈·밈 부진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알트코인 시장에서 인프라 등 일부 섹터가 반등을 주도했지만, 전체적으로는 21개 중 17개 섹터가 하락세를 보이며 뚜렷한 양극화 흐름이 나타났다. 지급결제 인프라와 스테이블 연관 자산 섹터가 상대적 강세를 보인 반면,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과 밈 섹터는 최대 7% 이상 하락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업비트 데이터 랩 섹터 수익률 랭킹

업비트 데이터 랩 섹터 수익률 랭킹

알트코인 시장에서 강세와 약세 섹터 간의 명확한 양극화 흐름이 포착됐다. 일부 인프라 섹터는 소폭 상승을 나타냈지만, 대다수 테마는 조정 흐름이 이어졌다.

8월 10일 오후 5시 8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체 21개 섹터 중 상승한 섹터는 4개, 하락한 섹터는 17개로 나타났다. 상승 섹터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분야는 '지급결제 인프라(+0.78%)'로 비트코인에스브이(+4.05%)와 비트코인(+1.02%)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뒤이어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0.64%)'과 '미디어/스트리밍(+0.63%)', '업비트 종합 지수(+0.07%)' 등이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 특히 스카이프로토콜(+1.02%)과 오디우스(+1.02%)가 각각 섹터 상승을 주도했다.

섹터 수익률 랭크

섹터 수익률 랭킹 하락 순 / 업비트 데이터랩

반면, 하락폭이 두드러진 섹터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3.51%)', '밈(–3.24%)', '월렛/메시징(–3.04%)', '데이터 인프라(–3.00%)', 'AI(–2.89%)' 순으로 나타났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섹터에서는 알트레이어(–4.38%), 헤데라(–3.55%), 폴리매쉬(–1.96%)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밈' 섹터에서는 브렛(–7.50%), 도지코인(–3.92%), 페페(–3.52%)가 낙폭을 키웠다.

월렛/메시징 섹터에서는 세이프(–3.68%)와 월렛커넥트(–2.79%)가 눈에 띄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데이터 인프라 섹터의 카이토(–4.27%)와 AI 섹터의 플록(–7.17%)도 급락세를 보였다.

섹터 수익률 랭크

섹터 수익률 비교 / 업비트 데이터랩

시가총액 상의 대형 테마인 '인프라', '디파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대체로 혼조세를 보였다. 특히 지급결제 인프라 테마가 상승세를 이끌었던 반면, 디파이와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자산은 전반적으로 힘을 잃으며 상승 반전을 꾀하지 못했다. 특히 디파이 관련 테마는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고, 스테이블코인 테마만이 소폭 오름세를 유지했다.

이처럼 전체적으로는 21개 중 단 4개 섹터만이 상승한 가운데, 인프라 중심 섹터의 선전으로 인해 시장의 급락은 제한됐지만, 대다수 테마에서 조정이 나타나며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무거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19:16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