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멕스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하이퍼리퀴드(Hype) 토큰을 대량 매도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그가 최근 매도한 토큰 수량은 9만 6,000개 이상으로, 매각 금액은 총 480만 달러(약 66억 7,200만 원)에 달한다. 이 소식에 하이퍼리퀴드 토큰(HYPE)의 가격은 하루 만에 12% 급락했다. 헤이즈는 매도 직후 “신형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 계약금을 치르기 위해 매도했다”고 밝혀 논란을 키웠다.
헤이즈는 지난달 일본 도쿄에서 열린 ‘Web3 콘퍼런스’ 무대에 올라 하이퍼리퀴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을 내놨다. 그는 당시 “하이퍼리퀴드는 연간 수수료 수익 증가에 기반해 126배 상승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강하게 밀었던 자산이다. 하지만 현재 그는 투자 원금 대비 약 19.2%의 수익인 82만 3,000달러(약 11억 4,400만 원)를 챙기고 해당 포지션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다. 단기 차익 실현 이후의 ‘선전 후 매도’라는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하이퍼리퀴드는 고배율 영구계약 거래를 지원하는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로, 최근 들어 빠르게 거래량과 유동성을 확대해온 프로젝트다. 헤이즈 역시 해당 플랫폼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그의 이번 매각이 알려지자, 커뮤니티 일각에서는 “프레젠테이션이 끝나자마자 전량을 던지고 나간 셈”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헤이즈는 주말 동안 또 다른 발언도 내놨다. 그는 미국 재무부 일반계정(TGA)의 보유 자금이 8,500억 달러(약 1,181조 5,000억 원)를 돌파한 점에 주목하며, “유동성 흡수가 끝났으니 이제 상승 랠리가 재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시장의 전반적인 유동성 흐름에 대한 그의 또 다른 매크로 관점이다.
한편, 하이퍼리퀴드 외에도 이날 알트코인 시장은 다수 종목이 하락했다. 바이낸스($BNB)의 경쟁 탈중앙 거래소에서 유통 중인 아스터(ASTER)는 하루 만에 17% 하락했으며, 솔라나(SOL) 기반 밈코인 플랫폼 펌프펀(Pump.fun)의 토큰(PUMP)도 15% 빠졌다. 크로노스(CRO)는 9% 내려앉았고, 이더리움(ETH), XRP, 솔라나 등 주요 코인들도 평균 4% 가까이 하락세를 기록했다.
도지코인(DOGE), 에이다(ADA), 체인링크(LINK) 등 기타 주요 알트코인들도 추가 하락 압력을 피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수 시간 만에 800억 달러(약 111조 2,000억 원) 증발하며, 하루 낙폭은 2.2%에 이르렀다. 단기 급반등을 기대하던 시장은 주요 인물의 매도 타이밍과 맞물려 다시 흔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