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이 10월 대규모 청산 사태 이후 신중하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BTC)이 99,000달러(약 1억 3,086만 원) 아래로 떨어지는 등 거래자들의 방어적 자세와 불안정한 시장 분위기는 여전하다.
바이비트(Bybit)와 블록스콜스(Block Scholes)가 공동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파생상품 시장 전반에서 '변동성 회피' 심리가 강화되고 있다. 이는 특히 옵션 상품과 무기한 계약 시장에서 두드러진다.
10월 청산 사태 당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시장 전반에 걸쳐 매도세가 촉발됐다. 이 여파로 바이비트 플랫폼 내 무기한 계약의 명목 미결제약정은 이후 100억 달러(약 13조 2,000억 원)를 넘지 못하고 정체 상태다. 투자자들은 손실을 본 포지션에 재진입하는 데 여전히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후 미국과 중국은 외교적으로 다소 진전을 이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며 위축된 투자심리를 더욱 자극했다. 당시 BTC는 107,000달러(약 14억 1,240만 원)까지 하락했고, 단기 풋·콜 옵션의 가격 왜곡 현상은 강한 '풋옵션 쏠림'으로 나타났다.
현재 BTC와 이더리움(ETH) 옵션 시장의 변동성 스큐는 다시 하락 편향으로 돌아섰다. 두 자산의 만기 구조(term structure)는 정상화됐으나, ATM 변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여전히 옵션 수요가 강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선물 시장의 미결제약정은 지난달 대비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옵션 시장은 꾸준히 오픈 이너레스트가 증가하고 있다. BTC가 전체 옵션 미결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총 8개의 주요 알트코인에 분산돼 있다. 바이비트는 이 흐름이 청산 직전의 지표 수준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투자자들이 방어적인 옵션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단기 풋 옵션 중심의 수요가 꾸준히 나타나는 가운데, 거래자 다수는 위험 회피를 위해 옵션 상품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바이비트와 블록스콜스는 “시장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도 단기 변동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일시적으로 커브가 역전되었다”며 “이러한 흐름은 특히 풋옵션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기준 BTC는 105,000~115,000달러(약 13억 9,000만~15억 2,000만 원)의 박스권에서 움직이다 99,000달러까지 떨어진 후, 현재는 101,800달러(약 13억 4,376만 원)선을 회복한 상태다.
시장 일각에선 여전히 거래심리가 터닝포인트를 찾지 못한 채, 옵션 중심의 견고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파생시장이 더 큰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