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9만 4,000달러(약 1억 2,290만 원) 선까지 하락하며 단기적인 핵심 수요 구간에 도달했다. 이는 기술적 분기점으로, 향후 시장 흐름이 반등으로 전환될지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지를 가늠할 중대한 시점이다.
일간 차트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100일 및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 거래되며 기술적 저항에 직면해 있다. 특히 11만 달러(약 1억 4,410만 원) 부근의 100일선에서 강한 매도세가 유입되며, 9만 9,000~10만 달러(약 1억 2,950만~1억 3,100만 원)대의 유동성 지대를 단숨에 무너뜨렸다. 이로 인해 시장은 지난해 고점 근처에서 대규모 분배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다.
현재 주목받는 수요 블록은 9만 4,000~9만 6,000달러(약 1억 2,290만~1억 2,560만 원) 구간이다. 이 영역은 올해 초부터 고래 및 장기 보유자들이 활발히 매수한 가격대로, 지지가 이뤄질 경우 시장 구조의 기반으로 재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이 구간이 붕괴된다면 다음 강력한 지지선은 8만~8만 2,000달러(약 1억 400만~1억 700만 원)대까지 밀려날 가능성이 크다.
4시간 차트에서는 일명 상승 쐐기 패턴이 무너지며 전체 하락 시퀀스를 완성한 모습이다. 하락 이후 비트코인은 10만 6,000~10만 8,000달러(약 1억 3,870만~1억 4,110만 원) 부근에서 이전지지선이었던 추세선을 재시험했지만, 명확한 저항으로 작용하며 하락세를 되돌리지 못했다. 이후 하방 압력이 강화되며 다시 수요 구간으로 밀려난 상태다. 시장이 기술적 반등의 신호를 발산하려면 우선 10만 1,000~10만 3,000달러(약 1억 3,220만~1억 3,470만 원)대 유동성 영역을 돌파해야 한다.
온체인 분석은 매도 압력과 지지세 간의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1~6개월 보유자 집단의 실현가격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해당 영역은 ‘실현 매물대’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은 비트코인이 회복세를 보일 경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도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반면 6~12개월 보유자들은 여전히 수익권에 있으며, 이들의 실현가격이자 현 시세인 9만 4,000~9만 6,000달러 부근은 중장기적 매수세가 응집된 구간이다.
결국 비트코인은 단기 매도세가 누적된 지점과 중기 수요가 맞서는 지점 사이에 끼여 있다. 향후 이 구간을 방어하지 못하는 경우, 시장은 더 깊은 하락 국면과 투자 심리의 리셋 과정을 겪을 수 있다. 단기 반등을 기대하려면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여건 모두에서 확실한 추세 전환의 신호가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