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암호화폐 기업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이 미국 상원으로부터 새로운 조사를 받게 됐다. 두 명의 민주당 상원의원이 이 회사가 북한 및 러시아의 제재 대상 인물들과 연관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연방 규제 당국에 정식 조사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잭 리드 상원의원은 최근 파멜라 본디 법무장관과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WLFI가 자사의 거버넌스 토큰을 외국의 주소와 연결된 계좌에 판매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들은 CNBC 보도를 인용해, 해당 토큰이 북한의 국가 지원 해킹조직 ‘라자루스 그룹’과 연관된 블록체인 주소,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 및 이란 기업, 그리고 익명 거래 플랫폼 ‘토네이도캐시’와 관련된 트레이더들에게 분배됐다는 정황을 언급했다.
문제의 발단은 미국 비영리 감시단체 ‘어카운터블.US’가 지난 9월 공개한 보고서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WLFI는 자체 토큰을 발행하며 라자루스 그룹과 연관된 주소, 러시아의 제재 회피 도구, 이란 암호화폐 거래소 등과 연결된 계좌에 토큰을 판매했다. 이러한 행위는 외국의 적대 세력에게 네트워크에 대한 ‘지배권’을 일부 부여하는 셈이어서 미국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는 지적이다.
워런과 리드 의원은 “이러한 토큰 판매는 미국의 적대 세력들이 프로젝트의 운영에 관여할 수 있는 발언권, 즉 ‘자리를 마련해준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WLFI 측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회사는 “사전 판매 참여자 전원에 대해 엄격한 자금세탁·고객확인(AML/KYC) 절차를 적용했으며, 심사를 통과하지 못한 이들로부터 수백만 달러(약 수백만 원) 규모의 자금을 거절했다”고 밝혔다.
단순한 토큰 판매를 넘어선 이 사안은 암호화폐가 국가 안보와 어떻게 얽힐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과 연계된 기업으로 알려진 WLFI를 둘러싼 이번 조사는 향후 암호화폐와 정치, 규제 이슈 전반에 중요한 선례가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