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주요 지지선을 시험하면서,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 움직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100만(약 1억 원)이 넘는 비트코인 거래가 29,000건 이상 발생해 2025년 들어 가장 활발한 고래 주간을 기록했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샌티먼트(Santiment)는 최근 10만 달러(약 1,000만 원)를 초과한 비트코인 거래 건수는 10만 2,900건이 넘었고, 그 중 29,000건 이상은 $100만 규모였다며 시장 반전의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고래들이 하락장에서 물량을 던지기보다 오히려 매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제로 트레이더 카일 샤세(Kyle Chassé)는 커스터디 업체 비트고(BitGo)를 통해 약 121,000,000달러(약 1,210억 원) 상당의 1,300 BTC를 구매한 사례를 소개하며, 기관의 대규모 매수가 확인되고 있다고 전했다. 온체인 분석가 모레노DV_는 이와 함께 지난 10월 6일 이후, 장기 보유 성향의 ‘가격 비민감’ 투자자들이 18만 6,000 BTC를 흡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매집세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은 하락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10월 초 사상 최고가 약 126,000달러(약 1억 2,600만 원)에서 현재까지 약 28% 하락했으며, 최근 한 주 동안에도 11.5%나 빠졌다. 이례적인 매집과 가격 하락의 동시 발생은 시장 참여자들의 판단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도 의견은 분분하다. 분석가 EGRAG CRYPTO는 비트코인이 현재 월간 차트 기준 21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을 시험 중이라며, 이 수준이 과거 강세장과 약세장을 가른 핵심 구간이었다고 강조했다. 이 지지를 유지한다면 상승장 구조가 이어질 수 있지만 이탈 시 추가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반면 시장 심리는 여전히 극도로 부정적이다. 분석가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는 선물 시장의 숏 압력, 시장 심리 지수 -89를 언급하며 현재 매도 압력은 극단적인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빠른 반등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촉매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상황을 2025년 1분기와 유사한 ‘마지막 흔들기(shakeout)’ 단계로 보고, 리테일 투자자들의 투매가 마무리되는 시점이 반등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떨어지는 칼날 잡기(catching falling knives)’가 될 위험성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의 주요 지지선 테스트와 함께 나타난 거대 매수세는 단기 하락과 장기 반등 기대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장기보유자의 매집은 심리적 바닥 형성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 전략 포인트
현 구간은 기술적 분석상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21EMA 유지 여부에 따라 시장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단기 조정 속에서도 고래들의 저가 매집은 잠재적 반등 재료로 작용할 수 있다.
📘 용어정리
- 고래(Whale): 대량의 암호화폐를 보유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투자자
- 온체인 데이터(On-chain): 블록체인 상의 실시간 거래 및 지갑 활동을 분석한 데이터
- 21 EMA: 21일간의 지수이동평균선으로, 시장 추세 판단에 자주 활용됨
- 가격 비민감 투자자: 일일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 투자 전략을 취하는 투자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