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가 최근 거래량 급감과 함께 가격 하락세를 이어가며 시장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주요 지표들의 악화 속에 투자자 심리도 위축되면서 향후 추가 하락 가능성이 제기된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XRP의 현물 거래량은 약 32% 급감한 46억 4,000만 달러(약 6조 2,944억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최근 몇 주간 상승세를 보인 뒤 거래소에서의 매수세가 한풀 꺾인 결과로 해석된다. 11월 10일 고점인 2.58달러(약 3,477원)에서 하락세를 이어온 XRP는 11월 20일 기준 2.11달러(약 2,841원)까지 밀리며, 최근 8일 중 7일에서 하락을 기록했다.
이 같은 거래량 감소는 투자자들이 당분간 관망세로 전환했음을 시사한다. 11월 19일 일시적인 반등으로 2.24달러(약 3,015원)를 회복했지만, 하락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곧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온체인 분석가 Ali는 “장기 보유자들의 심리가 ‘환희’에서 ‘부정’으로 이동했으며, 이제는 ‘불안’이 시장에 스며들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추가 하락 시 XRP의 다음 지지선으로 각각 1.91달러(약 2,573원)와 1.73달러(약 2,332원)를 제시했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XRP에 대한 온라인 관심은 여전히 높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샌티먼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XRP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은 언급을 기록한 토큰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의 가격 변동뿐 아니라, XRP 기반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논의, XRP 옵션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시장 전반의 분위기 자체도 여전히 불확실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0월 회의록이 현지시각 20일 공개를 앞두고 있으며, 금리 인하에 대한 내부 의견 분열이 어느 정도인지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준은 당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75~4.00% 수준으로 조정한 바 있다. 하지만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는 분위기다.
또한,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이 58%까지 하락하며 알트코인 중심의 자금 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두드러지는 방향성 없이 불안정한 시장 분위기 속에 투자자들은 뚜렷한 촉매제의 등장을 기다리고 있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현재 XRP는 거래량과 가격 지표에서 동반 침체를 겪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 매수세 약화와 투자 심리 위축을 반영한다. 다만 ETF 이슈 등 외부 재료가 시장의 새 변곡점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 전략 포인트
1. 기술적 반등을 노리기보다 주요 지지선(1.91달러, 1.73달러) 부근에서의 반응 확인이 우선
2. ETF 출시에 따른 중장기 수급 변화 여부 주목
3. 전체 시장 변동성 확대 시 알트코인보다 비트코인 중심 포트 재조정 고려
📘 용어정리
- 현물 거래량: 실제 암호화폐를 주고받는 거래에서 발생한 전체 금액
- ETF: 특정 자산(이 경우 XRP)의 가격을 추종하는 금융 상품으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됨
- 기술적 지지선: 과거 가격 흐름 속에서 매수세가 강하게 형성됐던 가격대, 하락세를 방어할 수 있는 구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