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가 암호화폐 채굴로 인한 대규모 전력 도난 사태에 휘말렸다. 공공 전력회사인 테나가나시오날(TNB)은 최근 4년간 10억 달러(약 1조 3,000억 원)가 넘는 전력 손실이 있었다고 공식 확인했다.
말레이시아 에너지수자원전환부는 국회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이후 전국 1만 4,000곳에 이르는 사업장과 주택에서 전기 계량기를 조작하거나 우회하여 불법적으로 전력을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다고 밝혔다. 대부분은 비트코인(BTC) 등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한 범죄 행위로 판단된다.
정부는 이 같은 불법 채굴이 발전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전력회사와 경찰, 통신규제 당국, 반부패위원회 등 여러 기관이 합동 단속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TNB는 자체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고위험 용의 건물의 거주 정보와 임차 정보까지 추적하고 있고, 실시간 전력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계량기’도 도입 중이다.
작년 8월에는 비트코인 불법 채굴에 가담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당 7명이 체포되기도 했다. 이들은 총 52개의 채굴 장비와 25만 링깃(약 8,000만 원) 규모의 전기 장비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라왁주에서도 매달 3만 링깃(약 970만 원)에 달하는 전력 절도 사례가 적발돼, 120대의 채굴 머신이 압수됐다.
현지 법률에 따르면 전력 절도는 최저 10만 링깃(약 3,250만 원)의 벌금형과 함께 징역형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취약한 규제 체계와 저렴한 전력 요금 구조로 인해 말레이시아는 여전히 불법 채굴의 온상으로 남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채굴 규제를 구체화하고 단속 권한을 명확히 하면 유사한 범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스마트 계량기 도입과 전력 이상 감지 시스템의 발전은 향후 전력 관련 범죄 예방에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 채굴 수요는 떨어지지 않고 있으며, 저가 전력을 노리는 불법 행위는 신흥국의 에너지 인프라에 직접적인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 에너지 비용이 낮은 지역의 채굴업자 활동에 주목
- 불법 채굴 관련 규제가 강화될수록 합법적 채굴 기업에 기회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 용어정리
- 스마트 계량기: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기록·전송해 이상 사용을 조기에 감지하는 디지털 장비
- 전력 절도: 전기 계량기를 조작하거나 무단으로 불법 접속해 요금 없이 전기를 사용하는 행위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