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요, 그 토큰포스트 7월 16일자로 올라온 에이엠매니지먼트 리서치 자료입니다. 네 이걸 보면서 지난 한 주간 암호화폐 시장과 또 거시경제 환경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핵심만 좀 빠르게 짚어보려고 합니다. 자 우선 지난주에 비트코인이 음 눈에 띄게 올랐어요. 그쵸.
진행자
네 맞아요.
토큰포스트
주관으로 보면 9% 넘게 올라서 11만 9천 달러 선에서 마감을 했는데 어 근데 이 자료에서는 시장이 좀 불안정한 균형 상태다 이렇게 분석하더라고요.
진행자
그게 좀 흥미로운 지점이죠.
토큰포스트
뭐 트럼프 전 대통령 관세 경고 얘기도 나오고 연준 개입 논란 같은 약간 정치적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리포트를 보면 일단 글로벌 공급망 긴장 문제나 또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 같은 게 있고요. 여기에 또 중앙은행 독립성 논란까지 막 더해지니까 시장 참여자들이 정책 불확실성하고 또 금리 인하 기대 사이에서 굉장히 좀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거죠.
토큰포스트
네, 네 특히 이번 주에 발표될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있잖아요.
진행자
중요하죠.
토큰포스트
이게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결정에 상당히 중요한 분기점이 될 걸로 보여요. 만약에 물가상승세가 좀 둔화된다. 그러면 이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다시 좀 살아날 수 있겠죠.
진행자
그렇군요. 거시경제가 좀 이렇게 복잡한데 암호화폐 시장 안쪽 흐름도 재미있는 것 같아요. 비트코인 시가총액이 잠깐이지만 구글을 넘기도 했고
토큰포스트
네 그랬었죠.
진행자
전체 암호화폐 시총도 뭐 10% 이상 늘었다고 하구요. 근데 정작 비트코인 자체의 비중 그 도미넌스는 살짝 줄고 이더리움이랑 테더 도미넌스가 크게 변했네요. 맞아요. 특히 테더 USDT 점유율이 확 빠졌죠 9%나요?
토큰포스트
9%나요? 와 그게 뭘 의미하는 걸까요? 비트코인은 오르는데 스테이블 코인이 빠진다
진행자
바로 그 지점을 리포트에서 좀 주목하는데요. 스테이블 코인에서 자금이 이탈하는데 동시에 비트코인은 신고가를 찍었다는 거 이게 그러니까 자금이 단순히 빠져나가는 게 아니라 비트코인을 넘어서 다른 알트코인 쪽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초기 신호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 같아요.
토큰포스트
자금 이동의 신호다
진행자
실제로 보면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한 4.7% 이상 올랐거든요. 다만 이번 주에 또 Starknet이나 Arbitrum, Zksync 같은 주요 프로젝트들 있잖아요. 여기서 토큰 언락 잠금 해제 물량이 대규모로 풀릴 예정이라서 개별 알트코인들 가격 변동성은 좀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염두해두셔야 합니다.
토큰포스트
아 토큰 언락 이슈도 있군요. 알겠습니다. 작은 흐름이 좀 바뀔 수 있다는 신호고 그럼 기술적 분석 차트상으로는 어떻습니까? 비트코인 12만 달러 목표치 도달했다. 이런 분석도 있었던 것 같은데요.
진행자
네 기술적으로는 그 소위 불 플래그 패턴 패턴이라고 하죠. 상승 추세 중에 잠깐 쉬었다가 다시 오르는 그런 강세 패턴인데 이걸 완성하면서 딱 12만 달러에 도달했어요. 근데 보통 이렇게 기술적 목표치에 도달하면 단기적으로 좀 조정이 나올 가능성도 생각을 해야 하거든요.
토큰포스트
저 숨 고르기 같은 거요
진행자
그래서 리포트에서는 만약에 11만 5천 달러 아래로 좀 밀리면 그 CME 갭이라고 11만 4천 달러 부근에 있거든요. 거길 메우면서 좀 횡보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어요.
토큰포스트
아 그 CME 갭이요. 주말 사이에 생기는 가격 차이
진행자
네 맞습니다. 거길 메우러 갈 수 있다는 거죠. 반면에 만약에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좀 내려온다면 이건 알트코인한테는 좋은 신호일 수 있는데요. 한 64.8% 아래로 내려오면 알트코인 초기 상승 흐름으로 보고 만약 63.5%까지 하락하면 이제 본격적인 알트코인 순환매 장세가 펼쳐질 수 있다. 뭐 이런 분석이 나옵니다.
토큰포스트
이야 복잡하네요. 종합해보면 거시적으로는 정책 불확실성 또 인플레이션 둔화 기대감 이게 막 섞여 있고 암호화폐 시장 안에서는 비트코인이 단기 조정받을 수도 있지만 또 알트코인으로 자금이 옮겨갈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있고 딱 그런 상황이군요.
진행자
네 맞아요.
토큰포스트
그럼 이번 주는 역시 말씀하신 CPI 지표랑 또 무역 관련 이슈들이 좀 핵심 변수가 되겠네요.
진행자
그렇죠. 이런 여러 요인들이 막 얽혀있는 복잡한 상황인데요. 음 그래서 청취자분께서는 한번 이런 질문을 던져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런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 관세 문제라든가 연준 정책 같은 것들 그리고 암호화폐 고유의 이벤트 토큰언락이라든지. 도미넌스 변화 같은 것들 사이에서 당신은 과연 어떤 신호에 더 주목하면서 시장의 기회와 위험을 가늠하시겠습니까?
토큰포스트
네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이네요. 이상으로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