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입니다. 2025년 8월 5일 화요일 오늘 시장 브리핑과 주요 뉴스들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시세부터 좀 볼까요? 오늘 오후 4시 기준으로 보니까 아 시장이 좀 방향이 엇갈리네요. 혼조세예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일단 비트코인 BTC는 좀 주춤해요. 전날보다 한 0.25% 정도 어 살짝 내려서 11만 4158달러
토큰포스트
아 11만 달러 선이군요. 원화로는 그럼 1억 5865만 원 정도 되겠네요.
진행자
네 그 정도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근데 또 이더리움은 분위기가 달라요. 3% 넘게 올랐어요. 3648달러면 우리 돈으로 이제 507만 원 정도네요.
진행자
네 이더리움은 강세고 리플이나 솔라나 SOL 같은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도 보면요 뭐 1%대 3%대 이렇게 상승 중입니다. 대체로 오름세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전체 시가총액은 3조 7천억 달러 수준이고 비트코인 점유율은 조금 줄고 이더리움 점유율은 늘었네요. 이게 약간 음 자금이 이더리움이나 알트 쪽으로 좀 이동하는 걸까요?
진행자
네, 뭐 충분히 그렇게 볼 수 있는 데이터인 것 같습니다. 시장 자금이 조금씩 움직이는 거죠.
토큰포스트
자 그럼 뉴스 쪽으로 넘어가 볼까요? 오늘 가장 눈에 띄는 소식은 아무래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소식 같아요. 근데 이게 좀
진행자
네 저도 그 뉴스 보고 좀 놀랐는데요. 8월 4일 하루 동안에요. 자금이 엄청나게 빠져나갔어요. 총 4억 6577만 달러
토큰포스트
4억 6천만 달러요 와 우리 돈으로 6400억 원이 넘는 돈이 하루 만에 순유출된 거네요. 이게 역대 최대의 규모라구요.
진행자
네, 그렇습니다. 역대 최대입니다. 특히 좀 우려되는 건 그 블랙록이나 피델리티 같은 주요 운용사 ETF에서도 동시에 자금이 빠져나갔다는 점이에요.
토큰포스트
아 블랙록이랑 피델리티요
진행자
네 블랙록 ETFA에 여기서만 해도 3억 7천만 달러 넘게 유출됐으니까요? 이게 시장 분란 심리를 좀 자극하는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러게요 가격은 오르는데 ETF에서는 돈이 빠져나간다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좀 복잡하네요.
진행자
이게 참 흥미로운데요. 뭐 단순하게 불안 심리 때문이다 라고만 보기는 좀 어렵구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뭐 초기에 들어왔던 투자자들이 대규모로 차익 실현을 했을 수도 있구요.
토큰포스트
아 그럴 수도 있겠네요.
진행자
네 아니면 뭐 특정 운용사가 포트폴리오를 좀 조정하는 과정일 수도 있고요. ETF 출시 초반에 기대감이 좀 컸다가 이제 약간 조정되는 과정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단기적으로는 이렇게 실제 가격이랑 ETF 자금 흐름이 좀 엇갈릴 수 있다는 점이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단기적인 흐름만 보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는 말씀이시네요. 아 그러고 보니 비트코인 ETF 관련해서는 또 다른 분석도 있었죠.
진행자
네 맞아요.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분석인데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고 나서 오히려 비트코인 변동성이 크게 줄었다는 내용입니다.
토큰포스트
아 그거 저도 봤어요. 90일 변동성이 예전엔 60 넘었는데 최근에 40 아래로 떨어졌다면서요
진행자
네, 그러니까 기관 자금이 들어오면서 시장이 좀 더 안정화되는 그런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확실히 그런 면도 있어 보입니다. 자 그럼 국내 소식으로 넘어가 볼까요? 카카오그룹 소식이 단독 보도로 나왔네요.
진행자
네 카카오가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좀 본격적으로 하려는 것 같아요. 아예 태스크포스 TF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토큰포스트
TF까지요 카카오랑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대표들이 직접 참여한다고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매주 회의를 열면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논의 중이라고 하니까요? 이걸 그룹의 어떤 미래 성장 동력으로 3~5년은 전략으로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카오가 직접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한다면, 이건 정말 큰 변화가 될 수도 있겠는데요.
진행자
그렇죠. 파급력이 상당할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스테이블 코인 얘기가 나온 김에 미국 쪽 소식 하나 더 있었죠. 규제 법안 통과 이후에 좀 다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구요.
진행자
아 네 그 USDe나 USDs처럼 스테이킹 예치하면 수익을 주는 모델의 스테이블 코인 있잖아요. 이 코인들 유통량이 오히려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토큰포스트
때문에 발행사가 직접 이자 주는 건 금지됐는데 사용자가 직접 스테이킹해서 수익 얻는 모델은 괜찮은 건가요? 그래서 그쪽으로 몰리는 거구요.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규제가 직접적인 이자 지급을 막으니까 투자자들이 이제 디파이랑 결합된 이런 스테이킹 수익 모델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거죠. 규제가 또 다른 형태의 시장을 만드는 셈입니다.
토큰포스트
흥미롭네요. 규제가 생기니까 또 그걸 피해 가는 방식이 나오는군요.
진행자
네 시장은 항상 그렇게 움직이니까요?
토큰포스트
그 외에 또 간단한 단신들도 좀 있었죠. 페이코인 운영사 다날이 외국인 전용 선불카드에 스테이블 코인을 넣는다는 소식도 있었구요.
진행자
네 국내 최초라고 하던데요. 3분기에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것도 스테이블 코인의 활용 사례가 되겠네요.
토큰포스트
코인 베이스의 레이어 투 네트워크 베이스가 잠깐 멈췄었죠.
진행자
네 한 30분 정도 블럭 생성이 중단됐다가 다시 재개됐습니다. 기술적 안정성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라는 걸 보여주는 사례죠
토큰포스트
있었지만 또 비트코인 변동성은 줄어드는 모습도 보이고
진행자
네 그리고 국내에서는 카카오 같은 큰 기업이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준비를 하고 미국에서는 규제 속에서 또 새로운 스테이블 코인 모델들이 주목받고 있구요. 아주 역동적인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정말 변화가 빠르네요. 특히 규제 환경 변화 속에서 빅테크 기업들의 움직임 또 새로운 기술 모델들이 앞으로 시장을 어떻게 만들어 갈지 계속 지켜봐야겠습니다.
진행자
네 주목할 부분이 많습니다.
토큰포스트
오늘 저희가 나눈 이야기들이 청취자 여러분께서 시장을 이해하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오늘 저희가 던져볼 질문은 이겁니다. 강화되는 규제 속에서 기술 중심의 탈중화가 스테이블 코인은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결국은 카카오처럼 거대 기업이 주도하는 좀 더 중앙화된 모델로 가게 될까요? 한번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진행자
이상 토큰 포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