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하루도 잘 마무리하고 계신가요? 퇴근길 편안하게 저희 방송 들으시면서 오늘 암호화폐 시장 한번 같이 살펴보시죠. 네 오늘은 7월 8일자 시장 움직임이랑 또 주목할 만한 뉴스들 저희가 받은 자료들 보면서 좀 짚어보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진행자
네 좋습니다. 오늘 시장은 뭐랄까 딱히 방향성을 찾기보다는 좀 혼조세였어요. 큰 움직임은 없었네요.
토큰포스트
맞아요. 관망세가 좀 지쳤던 것 같은데, 그럼 시세부터 한번 보죠. 오늘 오후 4시 넘어선 기준으로 보니까 비트코인 BTC가 0.46% 음 약간 내렸어요. 그래서 10만 8300달러 선 우리 돈으로 하면 한 1억 4820만 원 정도 되는 거죠.
진행자
네, 그렇죠. 이더리움도 비슷하게 한 0.25% 정도 하락해서 2559달러 약 350만 원 수준이구요.
토큰포스트
아 근데 리플은 또 약간 올랐네요. 0.23 % 상승
진행자
네 리플은 조금 올랐고 반면에 솔라나는 한 1.28% 정도 내렸습니다. 그 외에 뭐 비앤비나 트론 도지코인 같은 다른 알트코인들도 대체로 조금씩 하락하는 네 그런 분위기였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전반적으로는 좀 조용한 느낌이었는데. 전체 시가총액은 그래도 꽤 견조하게 한 3조 3400억 달러 정도 유지되고 있네요.
진행자
네 맞아요. 거래량도 24시간 기준으로 보면 거의 뭐 1천억 달러 가까이 되구요.
토큰포스트
근데 여기서 좀 재미있는 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시장 점유율이 아주 약간이지만 0.02%씩 올랐어요.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진행자
아 그렇죠. 비트코인 점유율이 64.47% 이더가 9.25%인데 이게 뭐랄까 시장이 좀 주춤할 때 오히려 좀 더 큰 자산 핵심 자산 쪽으로 자금이 몰리는 경향이 있거든요. 일종의 뭐 안전자산 선호 비슷한 심리일 수도 있겠죠. 변동성 속에서 좀 안정성을 찾는 움직임
토큰포스트
아하 그럴 수 있겠네요. 어 그리고 또 하나 눈에 띄는 게 가격 변동은 크지 않았는데 스테이블 코인이랑 파생상품 거래량이 꽤 늘었어요. 스테이블 코인은 13% 넘게 파생상품은 14% 넘게 증가했는데 어 이건 뭘까요? 그냥 포지션 정리라고 보기엔 증가폭이 좀 있는데요.
진행자
네 그거 좋은 지적이십니다. 가격은 조용한데 이쪽 거래량이 늘었다는 건 단순 조정보다는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뭐 큰 이벤트를 앞두고 미리 자금을 좀 준비해 둔다거나 아니면 현물 시장이 좀 잠잠하니까 레버리지를 써서 좀 더 적극적으로 베팅하거나 뭐 헤징을 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걸 수도 있고요. 시장 에너지가 여전히 좀 밑에서는 움직이고 있다. 뭐 이런 신호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뭔가 물밑에서는 계속 움직임이 있다는 거네요. 자 이런 시장 상황에서도 계속 들려오는 소식이 있죠. 바로 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집인데요. 이 흐름은 오늘 좀 자세히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진행자
맞습니다. 이게 단순히 뭐 단기 투자 이런 걸 넘어서서 비트코인을 좀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이나 아니면 전략적인 자산으로 보는 시각이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죠. 특히 좀 주목할 만한 건 이 매입하는 주체들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원래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하던 호주의 디지털 X나 프랑스의 더블록체인 그룹 같은 곳도 있지만 일본 패션기업 안압 있잖아요. 여기가 1000 BTC 이상 보유를 목표로 또 추가 매입을 했다는 건 아 이건 정말 흥미로워요 패션 기업까지 들어온다는 건 이게 특전 산업군을 넘어서고 있다는 뜻 아닐까요?
진행자
정확합니다. 패션 기업까지 관심을 보인다는 건 큰 변화죠 거기다 중국 자동차 플랫폼 칸고도 4천 BTC를 보유한 게 확인됐고요. 그러니까 이제 기술기업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패션 자동차 플랫폼 같은 정말 다양한 산업에서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에 넣고 있다는 거죠. 과거에 뭐 테슬라나 마이크로 스트레티지 같은 기술기업 중심 매집과는 또 다른 뭐랄까 새로운 정규 자산화 단계로 접어드는 신호가 아닌가 그렇게 볼 수도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정규 자산화 단계라 의미심장하네요. 이런 기업들 움직임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디지털 금융 인프라 자체가 발전하는 소식들도 있었어요. 특히 국내 상황이 좀 흥미롭던데요.
진행자
네 맞아요. 그 리워드 기반 소셜 플랫폼 펜 씨가 법무법인 바른이랑 손잡고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KRWc 발행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있었죠. 여기서 중요한 건 준비금을 신탁에 분리 보관하고 또 법무법인이 감시까지 한다는 건데 이건 투명성이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엿보이는 부분입니다.
토큰포스트
오 준비금 관리 방식이 중요하겠네요.
진행자
그렇죠. 그리고 동시에 한국은행도 디지털원 같은 CBDC 관련 상표권을 지금 44건이나 등록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하구요. 그러니까 민간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중앙은행 차원에서도 CBDC 양쪽에서 디지털 화폐 움직임이 아주 구체화되고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와우 민간이랑 중앙은행이 같이 움직이는 거네요. 이게 앞으로 규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서로 영향을 줄지 이것도 지켜봐야 할 포인트겠어요. 그 외에도 헤드라인만 좀 보면 웹3 소셜 플랫폼 UXLINK가 분기 순이익 사상 최대를 찍었다는 소식도 있고 이건 웹3 서비스의 성장 가능성을 좀 보여주는 것 같구요. 아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 아들 에릭 트럼프가 8월에 홍콩에서 열리는 비트코인 컨퍼런스에서 연설한다는 소식도 있네요. 암호화폐가 점점 정치 영역과도 가까워지는 느낌이랄까요?
진행자
네 다 연결되는 이야기들입니다. 기업들이 자산으로 편입하고 민간이랑 중앙은행은 디지털 화폐를 만들고 또 웹3 서비스는 성장하고 정치권 관심도 높아지고 이게 다 암호화폐가 우리 경제 시스템 또 사회 시스템 안으로 점점 더 깊숙이 들어오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단면들이라고 할 수 있겠죠.
토큰포스트
정말 그렇네요. 뭐랄까 여러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받아들이고 또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디지털 화폐를 준비하는 걸 보면 암호화폐가 점점 제도권 그리고 실물경제랑 가까워지고 있다는 게 느껴지는데요. 여기서 문득 이런 질문을 던져보게 됩니다. 혹시 당신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분산 투자라는 게 여전히 그냥 전통적인 주식 채권 여기에만 머물러 있지는 않으신가요? 이 새롭고 거대한 흐름을 어떻게 내 자산 관리에 반영하고 또 준비해야 할지 한 번쯤 진지하게 고민해 보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진행자
네 아주 시해 적절하고 또 중요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서 계속 고민하고 전략을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죠.
토큰포스트
오늘 저희가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이상으로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