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미디어 ‘토큰포스트’의 기술 인큐베이터인 토큰포스트랩스(Tokenpost Labs)가 제타큐브(ZetaCube)와 손잡고 초소형 온프레미스 AI 서버 ‘NANODC(Nano DePIN Center)’ 구독 에디션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기존에 출시된 NANODC를 기반으로, Web3 수익화 기능과 월 구독 모델을 결합한 토큰포스트랩스 특화 커스터마이징 버전이다.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AI 서버를 통해 데이터 보안성과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분산형 인프라 네트워크(DePIN)에 참여해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AI 인프라 모델이다.
클라우드 없이 가능한 AI… 수익까지 연결되는 구조
‘NANODC 구독 에디션’은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하는 초거대 언어모델(LLM)을 탑재했다. ▲ 문서 요약, 보고서 자동 생성, 챗봇, 코드 분석 등 다양한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 외부 연결 없이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작동해 기밀 보호가 중요한 조직에도 적합하다.
또한 ▲ GPU 및 스토리지 자원을 Aethir, Filecoin 등 글로벌 네트워크에 연결해 ▲ AI 자원을 DePIN 노드로 활용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구조도 갖췄다.
토큰포스트랩스는 이 제품을 “AI의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전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초기 도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월 구독 방식도 함께 제공한다.

Web3 프랜차이즈 비즈니스로도 확장 가능
특히 ‘NANODC 구독 에디션’을 통해 Web3 기반 AI 프랜차이즈 사업을 전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누구나 이 장비를 기반으로 AI 서버를 직접 운영하면서 지역 내에서 자체 챗봇 서비스, 기업 문서 요약 자동화, 온프레미스 데이터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제공 등의 형태로 소규모 AI 사업자 또는 인프라 사업자 역할을 할 수 있다.
토큰포스트랩스는 이를 “Web3 시대의 프랜차이즈형 디지털 인프라 사업 모델”로 정의하고, 다양한 산업군에 맞춘 맞춤형 에디션과 브랜드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사업 기회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AI, 더 이상 대기업만의 것이 아니다”
생성형 AI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과 기관은 여전히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클라우드 기반 AI의 높은 비용, ▲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해야 하는 구조, ▲ DePIN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높은 진입장벽 등이 대표적인 이유다.
토큰포스트랩스는 이번 ‘NANODC 구독 에디션’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토큰포스트랩스 관계자는 “AI는 이제 누구나 구축하고 활용하며, 동시에 수익화에도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에디션은 이를 실현한 첫 사례로, 앞으로 교육, 미디어, 데이터 산업군에 맞춘 프랜차이즈형 DePIN 솔루션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토큰포스트랩스, Web3 실험실
토큰포스트랩스(Tokenpost Labs)는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 ‘토큰포스트’ 산하의 Web3 기술 및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다. 탈중앙화 인프라(DePIN), 온체인 데이터 분석, 미디어 토큰화, AI 기반 솔루션 등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험하며, 기술 상용화와 생태계 확장을 위한 투자 연결 및 마케팅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미디어가 Web3를 만드는 실험실’이라는 슬로건 아래, 콘텐츠와 기술이 결합된 Web3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
NANODC 구독 에디션에 대한 자세한 정보나 제휴 관련 문의는 이 링크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