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와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이벤트들이 이번 주 줄줄이 예정돼 있다. 연준(FOMC) 회의록 공개부터 상원 청문회, 새로운 디지털 자산 과세 정책 논의까지, 주요 일정마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특히 정책 입안자들의 ‘매파적 발언’은 리스크 자산에 압력을 가하는 반면, ‘비둘기파적 기조’는 비트코인(BTC) 등 암호화폐를 부양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
우선 7월 8일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 신용 데이터는 소비심리와 경제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예상보다 낮은 수치는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를 보여주는 동시에, 일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자산으로 눈을 돌리는 촉매가 될 수 있다. 반면, 수치가 기대 이상으로 높게 나오면 미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암호화폐 시장은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7월 9일에는 이번 주 시장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FOMC 회의록이 공개된다. 지난 5월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여전히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당국자들의 발언이 얼마나 ‘매파적’일지에 관심이 쏠린다. 만약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신호가 포착되면 시장은 조정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
같은 날,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는 XRP의 규제 지위를 결정짓는 핵심 청문회를 개최한다. 이번 청문회는 암호화폐가 증권으로 분류될지, 상품으로 해석될지를 두고 새로운 법률 초안을 논의한다. 리플(Ripple)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와 블록체인협회, 체이널리시스, 패러다임 소속 전문가들이 증언자로 나설 예정이며, 향후 알트코인 ETF 승인 여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하원에서는 ‘디지털 자산 과세 정책’ 청문회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주간 일정보류로 인해 일정이 연기됐다. 이 청문회는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과세 프레임워크 수립에 초점을 맞춘다. 폭스뉴스 기자 엘리너 테렛(Eleanor Terrett)은 하원이 이번 주 휴회 중이기 때문에 청문회 일정이 추후 재공지될 것이라고 전했다.
7월 10일에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발표된다. 전주 23만 3,000건에서 소폭 증가한 23만 5,000건이 예상되고 있으며, 수치 상승은 고용시장 냉각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연준의 긴축 완화 기대감을 자극해 비트코인 상승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수치가 하락하면 달러 강세와 함께 암호화폐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번 주를 지나 7월 14일부터는 일명 ‘크립토 주간(Crypto Week)’이 본격 시작된다. 미국 하원은 세 가지 주요 법안—GENIUS Act, CLARITY Act, Anti-CBDC Act—에 대한 표결에 착수할 예정이며, 이는 향후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가능성이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입법 활동이 *미국을 디지털 자산 혁신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