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비트코인 10.8만 달러 혼조세…코인베이스 해커, 1,250만 달러 추가 세탁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3

이번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에서는 7월 7일 기준 주요 암호화폐 시세와 함께 시장 동향을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아발란체 네트워크의 1분기 지표 분석을 통해 거래량과 활성 주소는 증가했지만, 시총과 TVL은 감소한 점을 짚었습니다. 기술 업그레이드와 RWA·게임 분야 확장이 생태계 다변화의 핵심이며, 향후 성장축이 디파이를 넘어설 수 있을지에 주목했습니다.

 [하루 5분 크립토뉴스] 비트코인 10.8만 달러 혼조세…코인베이스 해커, 1,250만 달러 추가 세탁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진행자
네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오늘 하루도 잘 마무리하고 계신가요? 이제 퇴근하시는 길일 텐데 편안한 마음으로 저희랑 잠시 함께 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2025년 7월 7일 이 시간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시세랑 또 주목할 만한 뉴스들 저희가 좀 알기 쉽게 짚어드리려고 합니다.

진행자
네 오늘 시장 뭐 전반적으로 보면요 약간 혼조세 이런 느낌이었어요.

토큰포스트
혼조세요?

진행자
네 근데 뭐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은 조금 올랐고 주요 알트코인들도 괜찮은 흐름을 보여서요 아주 나쁘진 않았습니다.

토큰포스트
다행이네요. 그럼 시세부터 좀 자세히 볼까요? 오늘 오후 4시 조금 넘어서 기준으로요 역시 비트코인 BTC는 전날보다 0.59% 상승해서 10만 8800달러 선

진행자
네, 그렇죠. 원화로는 거의 1억 4900만 원 가까이 되겠네요.

토큰포스트
맞아요. 그리고 이더리움 ETH는 1.7% 올라서 2565달러 우리 돈으로 한 350만 원 정도 되구요.

진행자
리플 XRP도 한 1.19% 솔라나 SOL은 2% 넘게 올랐죠 상승폭이 좀 더 컸어요.

토큰포스트
오 솔라나가 좋았군요.

진행자
네 다른 알트들도 보면요 BNB가 한 0.88% 뭐 카르다노 1.38% 트론 1.46% 요렇게 올랐는데 특히 도지코인이 눈에 띄었어요. 5% 넘게 올랐거든요.

토큰포스트
와 도지코인이요.

진행자
그래서 전체 시가총액은 이제 3조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는 한 4600조 원 가까이 되구요.

토큰포스트
시장 규모는 여전히 크네요. 거래량은 어땠나요?

진행자
24시간 거래량은 한 890억 달러 수준이니까. 뭐 아주 죽은 시장은 아니고 어느 정도 활기는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음 근데 비트코인 점유율은 조금 줄고 이더리움은 늘었다면서요.

진행자
아 네 맞아요. 비트코인 점유율이 64.45%로 0.17% 정도 빠졌고 이더리움은 반대로 9.22%로 0.08% 늘었어요. 이게 약간 자금이 알트 쪽으로 조금 흘러가는 거 아니냐 뭐 이런 해석도 가능하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아 그리고 디파이랑 스테이블 코인 쪽 움직임이 좀 재미있었다면서요.

진행자
네, 네 그게 좀 주목할 만한데요. 디파이 시가총액 자체는 869억 달러인데 24시간 거래량이 314억 달러로 전날보다 9% 넘게 늘었어요.

토큰포스트
오 디파이 거래는 활발했네요.

진행자
네 근데 반대로 스테이블 코인 있잖아요. 달러 연동된 거 이건 시총은 2379억 달러로 큰데 24시간 거래량이 850억 달러로 확 줄었어요. 전날보다 무려 41% 넘게 감소했거든요.

토큰포스트
41%나요? 와 그건 좀 의미심장한데요. 자금이 빠져나갔다고 봐야 하나요?

진행자
그럴 가능성도 있고 아니면 단순히 거래 활동이 좀 뜸해졌을 수도 있구요. 약간 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자금 흐름 변화를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런데 스테이블 코인 거래는 줄었는데 파생상품 거래는 또 엄청 늘었다면서요 이게 좀 아이러니한데요.

진행자
네 맞아요. 그게 진짜 특이점인데 24시간 파생상품 거래량이 무려 8289억 달러 우리 돈으로 1134조 원이에요. 전날보다 66.78% 거의 67%가 급증한 겁니다.

토큰포스트
7%요 와 이건 뭐죠 왜 이렇게 갑자기 늘었을까요?

진행자
이게 투자자들이 좀 위험 회피를 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레버리지를 써서 더 적극적으로 포지션을 잡거나 이런 움직임이 엄청 활발해졌다는 뜻으로 볼 수 있어요. 단기 변동성에 대한 베팅이 커진 거죠.

토큰포스트
뭔가 시장 방향성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면서 투기적인 움직임이 강해졌다. 이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상당히 좀 다이나믹한 상황인 거죠.

토큰포스트
정말 그렇네요. 자 그럼 이런 시장 분위기 속에서 나온 뉴스들도 좀 짚어보죠. 가장 좀 충격적이었던 건 코인 베이스 해커 소식 같아요. 예전에 크게 한탕했던 그 해커가 또 움직였다고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게 예전에 코인 베이스 이용자들한테서 3억 달러 이상 훔쳐간 걸로 추정되는 해커 주소인데요. 여기서 최근에 또 1250만 달러 우리 돈으로 한 170억 원 넘는 돈을 이더리움 4863개로 바꾼 정황이 포착됐어요. 온체인 데이터 분석 결과죠

토큰포스트
아직도 돈이 그렇게 많이 남아 있었군요.

진행자
네 심지어 다른 지갑 두 곳에 아직도 4500만 달러가 넘는 DAI 스테이블 코인을 가지고 있는 걸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돈세탁 수법도 점점 진화하는 것 같아요. 크로스체인 2체 이런 걸 쓴다고

진행자
그쵸. 그게 이제 여러 블록체인을 막 넘나들면서 자금을 옮기는 방식인데 이렇게 하면 추적이 훨씬 어려워지거든요.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 갔다가 또 다른 데로 가고 이런 식이죠.

토큰포스트
정말 골치 아프네요. 보안이 정말 중요하겠습니다.

진행자
네 이번 사건도 결국 암호화폐 보안 문제 그리고 불법 자금 추적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거죠.

토큰포스트
그 외에도 헤드라인으로 주목할 만한 뉴스들이 많았죠 좀 간략하게 정리해 주시겠어요.

진행자
네 일단 규제 관련 소식들이 좀 있는데요. 튀르키예 당국이 허가 없이 서비스한다고 팬케이크 스왑 같은 유명 탈중앙화 거래소 DEX라고 하죠. 46곳에 접속을 막았다는 소식이 있구요.

토큰포스트
이렇게 해요.

진행자
네 그리고 중국 선전시는 스테이블 코인을 이용한 불법 금융 활동 뭐 사기나 자금 세탁 이런 거에 대해 공식적으로 경고를 했습니다.

토큰포스트
중국도 여전히 예의주시하고 있군요.

진행자
그렇죠. 우크라이나는 또 러시아 제재 회피를 도운 암호화폐 기업 60곳 여기에는 채굴 업체랑 거래소도 포함됐는데 자산 동결 같은 제재를 내렸고요. 규제 움직임이 여러 나라에서 계속 나오고 있어요.

토큰포스트
반면에 미국은 좀 다른 분위기인가요? ETF 자금 유입은 계속된다구요.

진행자
네 미국은 비트코인 현물 ETF가 지난주에도 7억 7천만 달러 거의 1조 원 넘게 순유입됐어요. 벌써 4주 연속 순유입이구요. 이더리움 현물 ETF에도 2억 달러 넘게 돈이 들어왔습니다.

토큰포스트
기관들 관심은 여전하네요.

진행자
네 그래서 그런지 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입 소식도 계속 들려요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또 샀고 프랑스 더블록체인 그룹 영국의 스마트 웹컴퍼니 이런 데서도 계속 추가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뭔가 움직임이 있었죠. BNK 금융그룹이랑 바이프로스트 운영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냈다고요.

진행자
네 맞아요. BNK 지주랑 부산은행 경남은행 그리고 파이랩 테크놀로지 여기가 바이프로스트 운영사인데 각각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했어요. 국내 금융권이랑 블록체인 기업들이 이제 본격적으로 좀 관심을 보이는 거죠.

토큰포스트
이것도 주목할 만한 흐름이네요. 기술적인 소식도 있었죠. 비탈릭 부테린 제안이요.

진행자
네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이 EIP- 7983이라는 기술 개선안을 냈는데 쉽게 말하면 특정 거래가 너무 많은 가스를 쓰는 걸 좀 제한해서 DoS 같은 공격을 막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이자는 제안입니다.

토큰포스트
아 네트워크 안정성을 위한 거군요.

진행자
네 마지막으로, 이건 좀 흥미로운 소식인데 트위터 공동창업자 잭 도시 아시죠. 이 사람이 비트챗이라는 P2P 메세지 앱 베타 버전을 공개했어요. 이게 인터넷 연결 없이도 암호화된 통신이 가능한 분산형 앱이라고 하더라구요.

토큰포스트
인터넷 없이요. 와 신기하네요.

진행자
네, 그러니까 탈중앙화 기술이 이제 금융뿐 아니라 이런 통신 분야로도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거죠.

토큰포스트
와 정말 오늘도 다양한 소식들이 많았네요. 뭐랄까 규제랑 혁신 또 기관 투자랑 해킹 위협 같은 것들이 막 섞여서 돌아가는 복잡한 시장 상황이 계속되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희가 짚어드린 내용들 특히 뭐 규제 동향이나 보안 이슈 그리고 아까 말씀드린 그 파생상품 시장의 급격한 변화 같은 것들은 앞으로도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계속 좀 주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오늘 저희 이야기가 시장을 이해하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진행자
네, 그러셨기를 바랍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진행자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0:5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7.07 21:44:4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07 18:35:1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