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네트워크(TON)를 지원하는 톤 재단이 아랍에미리트(UAE) ‘골든 비자’ 관련 혼선을 해소하기 위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재단은 현재 이 프로그램이 초기 논의 단계에 있으며, 실제 비자 발급 권한은 전적으로 UAE 정부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10일(현지시간) 톤 재단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UAE 골든 비자와 관련해, 정부와의 공식 파트너십에 따른 비자 발급이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현재는 UAE 정부의 면허를 보유한 파트너와 함께 비자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탐색 중인 초기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어 “‘골든 비자’ 프로그램의 어떤 권한도 TON이나 그 파트너에게 부여된 바 없으며, 모든 사항은 UAE 행정기관의 승인 및 법률 체계에 따라 움직인다”고 덧붙였다.
문제의 발단은 톤 재단이 주말 사이 자사 토큰 '톤코인(TON)'을 활용해 UAE 10년 골든 비자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를 낸 데서 출발했다. 이 보도는 디지털 자산 보유자라면 10년 비자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으로 이어졌고, UAE 정부는 즉각 진화에 나섰다. UAE 연방 신원·시민권·세관·항만안전청(FICP), 증권상품청(SCA), 가상자산규제청(VAR)은 공동 성명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골든 비자를 발급하는 일은 없다”고 해명했다.
해당 사건은 웹3 커뮤니티와 시장 내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바이낸스 창업자 창펑 자오(CZ)조차 “이게 진짜인가?”라며 의문을 표한 바 있다. 이처럼 논란이 커지자, 톤 재단은 실제 정부 승인과 무관한 민간 차원의 초기 논의였을 뿐임을 재차 밝히며 진화에 나선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해프닝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정부 제도와 연계한 사업을 추진할 때 얼마나 신중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도 선호한 투자이민 비자, 일명 ‘골든 비자’는 UAE 내에서도 외국인 유치 전략의 핵심 정책인 만큼, 어느 누구도 임의로 주도할 수 없는 고도로 규제된 영역이다. TON의 향후 사업 구도 역시 UAE 행정당국의 지침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