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기준 스테이킹 시가총액 변동률이 네트워크별로 극명하게 갈리는 가운데, 트론은 상승세를 보인 유일한 종목으로 부각됐으며 아발란체·하이퍼리퀴드는 하락 폭이 가장 컸다.
7일 기준 스테이킹 데이터 플랫폼 '스테이킹리워드'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시가총액은 1313억3000만 달러로, 전주 대비 4.99% 감소했다. 스테이킹된 토큰 수량은 3581만 개로, 전체 공급량의 29.67%가 스테이킹된 상태다.
스테이킹 시가총액은 스테이킹된 토큰 수량에 현재 가격을 곱해 계산한 지표로,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 수준을 가늠하는 데 활용된다. 일부 자산은 락업된 토큰도 포함돼 시총보다 스테이킹 규모가 더 클 수 있다.
이어서 ▲솔라나(681억4000만 달러, –6.3%) ▲수이(256억3000만 달러, –9.63%) ▲BNB체인(224억3000만 달러, –4.38%)이 스테이킹 시가총액 기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 중 BNB체인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작았고, 트론은 유일하게 3.95% 상승했다.
하이퍼리퀴드(–12.19%)와 아발란체(–18.31%)는 스테이킹 시총이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하며 약세가 두드러졌다.
스테이킹 참여율 기준 순위는 ▲앱토스(96.47%) ▲수이(74.29%) ▲솔라나(67.18%) ▲카르다노(60%) ▲아발란체(43.73%) 순이다.
일간 스테이킹 순유입 수이 5억2198만 달러|하이퍼리퀴드 486만 달러|앱토스 220만 달러
일간 스테이킹 순유출 트론 –146억 달러|아발란체 –1억7409만 달러
스테이킹 월렛 순위 카르다노 125만 개 | 솔라나 110만 개 | 이더리움 105만 개
주간 월렛 증가 BNB체인 0.54%|이더리움 0.29%|트론 0.15%
주간 월렛 감소 수이 -100%|앱토스 –16.55%|카르다노 –2.13%

이더리움의 실질 스테이킹 보상률은 2.21%이다. 인플레이션율 0.7%를 반영한 수치다.
솔라나는 인플레이션율 4.98%로 실질 수익률 2.14%를 기록 중이다. 수이는 인플레이션율 4.53%로 실질 수익률이 –2.28%를 가리키고 있다.
스테이킹 시총 10위권 중 스테이킹 보상만을 기준으로 한 연간 수익률은 BNB체인(5.41%)이 가장 높았다. 이어 아발란체(3.65%), 앱토스(3.6%) 순으로 나타났다.
자산 가격 변동까지 반영한 전체 연간 수익률에서는 수이(+474.4%)가 압도적인 상승률을 기록했다. 트론(+185.09%)과 카르다노(+123.7%), 하이퍼리퀴드(+77.21%)도 세 자릿수에 가까운 수익률을 보였다.
반면 앱토스(–14.28%)와 아발란체(+9.65%)는 상대적으로 낮거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