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솔루션이 회계처리 기준을 어기고 재무제표를 잘못 작성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금융당국이 총 1,860만 원의 과징금을 해당 관계자들에게 부과했다. 이와 함께 감사 절차에 소홀했던 회계법인에도 별도의 제재가 내려졌다.
금융위원회는 11월 19일, 코스닥 상장사 모델솔루션이 회계처리 오류로 인해 재무제표를 부정확하게 공시했다며, 대표이사와 전·현직 담당 임원 등 회사 관계자에게 개별적으로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발표했다. 대표이사와 전직 임원에게 각 630만 원, 현직 임원에게 600만 원이 부과됐다.
문제가 된 회계처리는 지난 2022년 모델솔루션이 원자재 매입 관련 내용의 반영을 누락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이 오류는 2023년에 발견됐으나, 소급 적용하지 않고 그 해의 수치에 반영하며 2022년과 2023년 각각의 자기자본과 당기순이익을 과대 또는 과소 계상하게 됐다. 특히, 유상사급(기업 간 무상 제공이 아닌 판매 형식으로 거래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 거래에서는 매출을 실제보다 부풀려 인식한 부분도 지적됐다. 2022년에는 25억 7,200만 원, 2023년에는 20억 7,500만 원의 매출과 매출원가가 과대 계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회계상 오류는 기업 공시의 신뢰성을 해치고 투자자 보호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은 보다 강도 높은 제재를 가했다. 앞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회사에 대해 1억 9,000만 원의 과징금과 함께 향후 3년간 외부감사를 특정 감사인에게 맡기도록 하는 ‘감사인 지정’ 조치도 이미 결정한 바 있다. 이는 제3자가 공정하게 감사를 수행하도록 해 회계 투명성을 높이려는 취지다.
아울러 회사 외부감사를 맡았던 동현회계법인 역시 감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책임을 물어, 이날 금융위로부터 6,75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감사인이 정해진 절차를 충분히 이행하지 않으면 이 같은 회계 오류를 사전에 적발하지 못해 투자자들이 오도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계 위반에 대한 지속적인 제재는 기업들의 회계투명성을 높이고, 시장 전반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다. 특히 상장기업의 공시 정보가 투자 판단의 기반이 되는 만큼, 당국은 앞으로도 감사인과 기업 양측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려는 방향으로 감독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