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암호화폐 은행 차단에 제동…'디지털 금융차별' 해소 행정명령 추진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트럼프 대통령이 은행의 암호화폐 기업 차단에 제재를 가하는 행정명령을 검토 중이다. 업계는 이를 글로벌 금융 진입 장벽을 허무는 계기로 보고 있다.

 트럼프, 암호화폐 은행 차단에 제동…'디지털 금융차별' 해소 행정명령 추진 / TokenPost.ai

트럼프, 암호화폐 은행 차단에 제동…'디지털 금융차별' 해소 행정명령 추진 / TokenPost.ai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암호화폐 기업의 금융 진입 장벽을 허무는 행정명령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명령은 암호화폐 산업과의 거래를 제재하거나 차단한 은행에 금전적 벌금과 기타 징계 조치를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전통 금융 기관에 진입하지 못하고 외곽을 맴돌던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이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 행정명령은 암호화폐 업계 전체에 오래도록 이어져온 불합리한 차별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된다. 현재 미국 내 일부 은행들은 암호화폐 거래소나 지갑 서비스, 핀테크 회사들의 계좌 개설 혹은 자금 이체를 거부해왔다. 특히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환전하기 위한 거래 경로가 차단되는 사례가 반복되며, 실질적인 금융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조치는 미국을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올 들어 트럼프 행정부는 암호화폐 등록, 수탁, 거래, 기록 관리 등 각종 정책을 구체화하면서 업계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규제를 단순화해왔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 관련 기업들의 혁신을 유도하고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한 환경 마련이 가속화되고 있다.

업계 인사들도 이번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강조했다. 바이낸스 창립자인 창펑 자오는 이번 방안이 미국 내 은행만이 아닌 전 세계 시스템의 변화도 유도할 수 있다며, “한때 미국 은행망은 암호화폐 구매와 관련된 거래를 차단해왔지만, 이번 조치로 전 세계적 금융 진입 장벽이 완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이러한 행정명령이 미국 은행들이 소위 ‘초크포인트 작전(Operation Chokepoint 3.0)’이라는 이름으로 암호화폐 산업을 간접적으로 배제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한 대응 조치라고 분석한다. 실제로 지난달 제미니 공동창업자 타일러 윙클보스는 JP모건이 핀테크 기업들에 고객 금융 데이터 접근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한 조치를 맹렬히 비판하며, “이는 소비자의 금융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그는 “제이미 다이먼과 그의 측근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창하는 ‘혁신 친화적, 암호화폐 중심 국가’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전략적으로 훼방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업계 단합을 촉구했다.

이번 조치가 실제 발효될 경우, 암호화폐 산업과 전통 금융 간의 단절됐던 다리가 복원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동시에 미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데 있어 보다 확고한 방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실질적 정책 변화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