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가 해킹 사고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이번 유출 사고는 금융회사로서 보안 관리의 책임이 도마 위에 오르는 계기가 됐다.
롯데카드는 9월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발생한 해킹으로 인해 고객 정보가 외부로 유출된 사실을 인정했다. 이날 조 대표는 “기술적·관리적 보안 조치가 미흡했다”는 점을 시인하며, 고객과 국민에게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유출된 고객 정보의 범위나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는 밝히지 않았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관련 기관과 공조해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사고가 단순한 보안 침해를 넘어, 금융회사의 시스템 전반에 대해 다시 점검해야 할 신호탄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최근 디지털 금융 서비스가 일상화되면서, 카드사들은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그런 흐름 속에서 정보보안 체계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다는 점을 드러낸 셈이다.
정부 당국도 이번 사태에 주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사고 직후 롯데카드에 대해 현장 점검에 착수했으며, 필요할 경우 추가 제재 조치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경찰청 등 유관 기관도 합동 대응에 나서 정보 유출 경로와 사고 경위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이번 일은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계기가 됐다. 최근 금융사들이 고객 데이터 기반 마케팅과 맞춤형 서비스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보 유출 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피해는 돌이킬 수 없는 수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보관 및 접근 시스템의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 같은 흐름은 카드사를 비롯한 전 금융권 전반의 보안 규제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향후 정부는 기업의 보안 경각심 고취와 함께, 금융 소비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관련 법령 개정이나 기술 표준 마련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